고딕 성당, 거룩한 신비의 빛
강한수 지음 / 파람북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딕 양식, 거룩한 신비의 빛]은 어떻게 구성되었나? 


이 책의 목차를 보면, 고딕 양식을 두 가지 카테고리로 나눠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건축 구조의 발달 단계에 따라 시대적으로 구분하여 ‘초기 고딕’, ‘전성기 고딕’, ‘후기 고딕’으로 나누고, 국가에 따라 ‘영국 고딕’, ‘독일 고딕’, ‘이탈리아 고딕’으로 나눈 것은 그런 느낌을 더 강하게 준다. 그런데 다르게 생각하면 이 책은 프랑스[초기, 전성기, 후기], 영국, 독일, 이탈리아 유럽 4개국의 고딕 양식을 국가별로 대표적인 성당들을 사례로 들어 소개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고딕 양식이란?


‘로마네스크’가 ‘로마다운’이란 뜻이었다면, ‘고딕’은 게르만족의 하나인 고트족을 가리키는 ‘고트인의’란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 중략 ~

‘고딕’이라는 이름은, 르네상스 시대의 이탈리아인들이 이 양식을 두고 게르만족의 세련되지 못하고 야만적인 것이라고 경멸하면서 붙인 것인데, 계속 사용하면서 후대에 공식 명칭이 되었습니다. [p. 8]


마치 중국인들이 자신들의 나라는 ‘中’國이고, 자신들의 문화는 ‘華’라고 자부하면서 주변 국가와 문화를 ‘夷’라고 무시하는 것처럼, ‘고딕’이라는 명칭도 이탈리아인의 뒤틀린 자존심에서 붙여진 셈이다.


그렇다면 이 고딕 양식은 어떻게 형성되었을까?

정치적으로는 왕령지(王領地)를 실질적인 왕의 땅으로 만든 루이 6세(재위 1108~1137) 이후, 카페 왕조는 왕권 강화를 시작하여 중앙집권적 군주 국가로의 변화가 진행되었다. 종교적으로는 ‘서임권 분쟁’으로 유명한 교황 그레고리오 7세(재위 1073~1085)의 개혁 이후 로마 카톨릭 교회가 세속권력으로부터 성직자 임명권을 회수하여 교황권을 강화했다. 지리적으로는 카페 왕조가 영향력을 끼칠 수 있던 일 드 프랑스가 ‘몽샐미셸 수도원 성당(Abbaye du Mont-Saint-Michel)’으로 대표되는 북쪽의 노르망디와 ‘제 2 클뤼니 수도원 성당(Abbaye de Cluny Ⅱ)’으로 대표되는 남쪽의 부르고뉴 프랑슈 콩테(이하 ‘부르고뉴’) 사이에 있어 노르망디의 일체성과 부르고뉴의 대형화를 조화한, 보편주의 건축을 태동시킬 수 있었다.

이 세 가지 요소의 교집합이 루이 6세와 루이 7세의 정치적 조언자이자 생드니 수도원장인 쉬제(Suger, 1081~1151)였다. 그는 수직화와 경량화라는 모순의 갈등을 해결할 새로운 건축 양식, 즉 고딕 양식을 내놓았다. 최초의 고딕 양식 성당이라 할 수 있는 생드니 대성당(Cathedrale royale de Saint-Denis)에도 그의 손길이 닿았다.



전성기 고딕 성당의 요소


고딕 양식의 사상적 배경이 된 스콜라철학은 사유의 논리를 타인도 알 수 있는 명료성[명료화 원리]을 추구하고, 대론[~라고 생각된다. 正]과 반론[그러나 반대로. 反] 그리고 대답[나는 다음과 같이 말해야 한다고 답한다. 合]으로 이어지는 논증 방식[일치(concordantia)의 원리]을 따른다고 한다.


다시 말해서 건축에 있어서 이전까지 사용해오던 두 요소가 모순되는 것처럼 보이면 그 중 하나를 없애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두 요소가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파사드의 창을 예로 들면, 전통적인 아치창은 긍정(대론)이고, 생드니 대성당에 나타난 아치창 위의 장미창은 부정(반론)입니다. 문제의 해결(대답)은 위그 리브르지에 건축가가 생니케즈 성당에서 장치창 안에 아치창을 통합함으로써 이루어냅니다.

고딕 성당의 수직화와 경량화라는 상호 모순의 두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 고딕 건축가들은 유기적인 구조 체계를 연구했고, 결국 포인티드 아치, 리브 그로인 볼트, 플라잉 버트레스 등의 구조 부재들을 고안해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이 해결 방식이 일치성의 원리라는 스콜라철학의 습성이 확산된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pp. 104~105]


저자는 고딕 성당 양식의 싹을 틔운 쉬제가


하느님의 집인 성당을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공간으로 만들고 싶어 했습니다. 곧 창조주께서 첫날 만드신 빛으로 성당을 밝히고 그 안에서 둘째 날, 셋째 날의 피조물들로 가득 채우는 것이 그의 꿈이었을 것입니다. [p. 53]


라고 얘기한다. 쉬제의 바램 때문인지 고딕 성당의 벽체는 높고 얇게, 창은 크고 넓게 설계되었고 이로 인해 실내에 들어오는 빛의 양이 충분히 증가했다. 덕분에 성당의 맑은 투명창을 오늘날 고딕 성당하면 떠오르는 요소 가운데 하나인 색유리창[스테인드글라스]으로 바꿀 수 있었다. 이 모든 공간적 변화는 수직성의 원천인 포인티드 아치[Pointed Arch, 첨두(尖頭)아치)], 천장에 설치되어 하중을 안정적으로 분산하는 리브 그로인 볼트[Rib Groin Vault, 늑재 교차 궁륭(肋材 交差 穹窿)], 건물 외벽에서 팽창하는 힘을 지탱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는 플라잉 버트레스[Flying Buttress, 공중 버팀벽] 덕분에 가능했다. 그래서 이 세 가지 건축 기술을 고딕 성당의 가장 큰 특징이자 핵심이라고 한다.


고딕성당의 구조


출처: <고딕성당>, p. 92



각국의 고딕 성당


프랑스 고딕은 건축 구조의 발달 단계에 따라 시대적으로 구분하여 초기 고딕, 전성기 고딕, 후기 고딕으로 나뉜다. 초기 고딕은 크게 두 가지 방향성을 지니고 있었는데 수직성을 지향하는 생드니 대성당과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Cathedrale Nortre-Dame de Paris), 수직성과 더불어 고전적 비례를 위한 수평성도 함께 고려하는 랑 대성당(Cathedrale Nortre-Dame de Laon)이 대표적이다. 이 두 흐름은 전성기 고딕에도 이어졌는데, 수평성도 고려하는 부르주 대성당(Cathedrale Saint-Etienne de Bourges)과 수직성을 지향하는 샤르트르 대성당(Cathedrale Nortre-Dame de Chartres)이 대표적이다. 다만, 프랑스 고딕의 주류는 수직성을 강조하는 쪽이었고, 랭스 대성당(Cathedrale Nortre-Dame de Reims)에서 절정을 이루며 프랑스 고딕을 완성시켰다고 평가된다. 고딕 양식의 쇠퇴기인 후기 고딕은 빛의 밝음 그 자체만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13세기 중반에 시작된 레요낭(Rayonnant) 양식과 15세기에 등장한 플랑부아양(Flamboyant) 양식으로 대표된다. 생트샤펠(Sainte-Chapelle)과 트루아의 성 우르바노 바실리카(Basilique Saint-Urbain de Troyes)로 대표되는 레요냥 양식이 구조가 단순해진 성당의 전체 조도를 일정하게 맞추기 위해서 최대한으로 넓힌 창을 효과적으로 표현한다면, 루앙의 생마클루 성당(Eglise Saint-Maclou de Rouen)으로 대표되는 플랑부아양 양식은 처음부터 장식 그 자체가 목적이라고 한다.



영국은 노르망디를 통해 프랑스 전성기 고딕 양식을 수입했지만 지역주의적 독립성을 가미하여 초기 영국 양식(Early English style), 장식 양식(Decorated style, 곡선 중심), 수직 양식(Perpenddicular style, 직선 중심)으로 분화되었다. 초기 영국 양식은 수평성과 기하장식이라는 영국 고딕 성당의 전형을 이룬 켄터베리 대성당(Canterbury Cathedral)을 증축하는 과정에서, 장식 양식은 레요냥 양식과 곡선 양식이 조화를 이룬 요크 민스터(York Minster)에서, 수직 양식은 글로스터 대성당(Gloucester Cathedral)에서 각각 시작되었다.



중앙집권이 이루어진 프랑스와 달리 지방분권이 강한 독일


프랑스 고딕건축의 수입에 철저히 의존하는 경향과 독일만의 독자적 양식을 고집하는 경향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영국에서는 이러한 두 양상이 하나로 합쳐졌지만, 독일에서는 각각의 양식을 이루면서 독일 고딕만의 특색을 가졌습니다. [p. 207]


따라서


프랑스의 고딕 보편주의를 따른 스트라스부르 대성당과 쾰른 대성당을 독일 고딕의 전성기로 본다면, 이후의 독일 고딕은 지역주의가 강세를 이루어 다양한 형태로 분화됩니다. [p. 215]



완성된 고딕 양식이 전해진 영국이나 독일과는 달리 이탈리아는 로마네스크 양식의 짙은 영향 아래 고딕 요소가 첨가되는 정도에 머무른다.


보편적인 프랑스 고딕 성당의 구조 원리를 배워서 이탈리아에 고딕 성당을 세운 것이 아니라, 이탈리아의 장인이 프랑스의 고딕 성당을 보고 스스로 학습하여 이탈리아 고유의 고전적 그리스도교 전통에 입각하여 재해석한 것으로 보는 것입니다. 그런 면에서 이 고딕 양식은 전례가 없는 고유한 형태로, 이탈리아 고딕의 전형이 되었습니다.

결국 이탈리아 고딕을 보면 영국의 캔터베리 대성당과 웨스트민스터 수도원 성당, 독일의 스트라스부르 대성당과 쾰른 대성당처럼 프랑스의 전성기 고딕을 거쳐 완성된 고딕 양식이 수입된 사례는 없고, 매우 배타적인 방법으로 받아들였습니다. 그래서인지 믿기지 않겠지만, 골목마다 성당으로 가득 찬 로마에서 고딕 성당은 ‘산타 마리아 소프라 미네르바 성당’이 유일합니다. [pp. 229~231]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시우행 2024-03-18 23: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유럽 여행 때 만난 뾰족한 첨탑이 특징인 이런 건축 양식이 고딕임을 알았지만 이렇게 깊은 지식을 배울 수 있어서 좋아요.

KOEMMA 2024-03-22 09: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호시우행님, 격려해주셔서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