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장 - 墨莊
표윤명 지음 / 가쎄(GASSE) / 2010년 3월  

추사 김정희는 알겠는데 우봉 조희룡은 처음들어보는 이름이다. 궁금하다.. 이 책이.. 표지가 참 마음에 든다. 내용도 궁금하고...

조선 후기에 글씨로 정점을 이룬 추사와 그림으로 정점에 오른 우봉의 파란만장한 일대기를 그린 역사소설이다. 추사에게 마음속으로 경계하던 라이벌이 있었으니 그가 바로 우봉 조희룡이다. 작가는 설타스님이라는 가상의 인물을 창조하여 추사와 우봉의 세계를 자연스럽게 연결하며 조선의 두 남자 이야기를 흥미진진하게 풀어내고 있다.  

“스승님, 항간에 수예론을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를 어찌 보시는지요?”
허유의 물음에 추사는 미간을 찌푸렸다.
“수예론이라?”
“그렇습니다. 손의 기예를 연마하면 누구든지 예술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는 화론입니다.”
“대체 누가 그런 경망스런 화론을 입에 올린단 말이더냐?”
추사의 추상같은 소리에 허유는 조아리며 답했다. 마치 입에 담아서는 안 될 말을 읊조린 듯한 태도였다.
“우봉 조희룡이란 분이 그런 화론을 이야기 한다 들었습니다.”
“우봉 조희룡이라?”
추사는 우봉 조희룡이란 말을 되 뇌이고는 입 꼬리에 힘을 주었다. 매우 못마땅하다는 태도였다.
“그 작자가 그예 요망스럽고 경망된 화론을 들고 설치는구나! 그래 세상이 무어라 하더냐?”
추사의 물음에 허유는 보고 들은 그대로 고해바쳤다.
“그 분의 매화가 장안에 화제이옵니다. 저도 보았는데 지금껏 보아오던 매화와는 확연히 다른 출중한 매화그림이었습니다. 전통의 화법에서 벗어나 있기는 했으나 그것 이상의 훌륭한 기법과 격이 있어 보였습니다. 그 분의 말로는 진정한 조선의 매화를 그려내려 노력한 결과물이라 한다 하였습니다.” - 알라딘


댓글(4)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늘바람 2010-03-29 08: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묵장이란 묵을 만드는 장인을 가리키는 말로 알고 있었어요. 그런데 아닌 가 싶기도 하고요. 정말 재미날 것같은데요

후애(厚愛) 2010-03-29 09:22   좋아요 0 | URL
국어사전에 검색을 해 보니 두가지 뜻이 있더군요.
그중에 하나는 <묵장 [墨匠] [명사] <역사> 조선 시대에, 관아에 속하여 먹을 만드는 일을 맡아 하던 사람.>
추사 김정희 대하소설을 예전에 읽었지만 이 책 관심이 많이 갑니다.^^
무엇보다 우봉 조희룡에 관해서 알고 싶어요.

하늘바람 2010-03-29 11: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우봉 조희룡 님 덕분에 저는 아네요

후애(厚愛) 2010-03-29 11:51   좋아요 0 | URL
저는 <묵장> 이 책 때문에 우봉 조희룡 이름을 알게 되었어요.
그래서 <묵장>은 꼭 읽어볼겁니다.^^
 

엄마 찾아 삼만리
김종래 지음 / 씨엔씨레볼루션 / 2010년 3월 

김종래 작가의 <엄마 찾아 삼만리> 조선 시대 배경으로 한 역사 만화다. 조선 시대라고 하니 많이 땡긴다. 그런데 가격이 좀 비싸다. <단원 김홍도>와 <흙> 이 책 두권을  반품하고 나서 적립금으로 받으면 이 책을 구매할까 생각중이다. 어차피 적립금은 사용해야 하니까... 어릴적에 보았던 만화 <엄마 찾아 삼만리>와 <플란다스 개>가 생각이 난다. 다시보고 싶다.

1958년에 첫 출간된 김종래의 〈엄마 찾아 삼만리〉는 공전의 인기를 끌며 전 국민의 심금을 울렸던 한국 만화사의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술과 노름으로 방탕한 생활을 하는 아버지 탓에 팔려간 엄마를 찾아 전국을 떠도는 아들의 눈물겨운 이야기를 그린 것으로 출간 당시 전쟁으로 인해 가족과 생이별을 해야 했던 사람들의 마음을 적시고 달래주었던 시대의 명작이다.
엄마가 집으로 돌아오길 기다리다 아버지와 찾아 나선 일곱 살 금준의 인생은 파란만장 그 자체이다. 고향을 떠난 구월산 고갯길에서 아버지를 비명에 보내고 어린 아이는 산적들 소굴에 들어간다. 금준을 죽이려는 산적들과 곧이어 들이닥친 관군들과의 일전. 가까스로 목숨을 부지한 금준은 허기를 달래려고 들어간 어느 집에서 의문의 한 사내를 만난다. 그는 사연 많은 인생으로 양반들을 혼내고 힘없는 백성들을 돕는 의적으로 알려진 복면태산 유국달이다. 유국달은 뒷날 금준이 팔도 암행어사가 되자 그를 그림자처럼 보필하며 따른다.
금준은 꿈에도 그리던 엄마를 일찌감치 만나는 듯하다. 초판은 상하 두 권으로 돼 있는데, 상권의 마지막 장면에서 금준은 극적으로 엄마를 만나게 된다. 그런데 포도감 관직의 부인자리에 앉아있는 여인을 엄마라고 생각한 것은 금준의 오해이다. 이 여인은 엄마와 피를 나눈 사이인데, 부인 스스로도 그 사실을 모른다. 악랄한 이 여인은 금준을 이용해 먹으려하고 이 때문에 금준은 자신의 가슴에서 엄마를 지워야 하는 고통에 빠지게 된다. 그래서 진짜 엄마를 만났을 때는 냉정하게 고개를 돌리고 만다. 불가에 몸을 담았다 천재적인 머리로 장원급제한 금준이 암행어사가 되고서도 엄마에 대한 사무치는 마음은 떨치지 못한다. 금준은 어떻게 그리운 엄마를 만나게 될 것인가. -출판사 제공 책소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글누림 한국소설전집 11
이광수 지음 / 글누림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도 단원 김홍도와 함께 내일 반품할 책이다. 책을 어떻게 보관했기에 지저분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홍매화... 아름답다.. 

봄에 통도사에 가보고 싶다. 언젠가는 가 보겠지...


댓글(18)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세실 2010-03-28 07: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아름다워요. 어쩜 홍매화가 이렇게 아름답다니....
몇년전 네명이 부산 출장가서 방 구하러 시내를 돌아다니다 결국 통도사까지 간 기억이 있습니다. 다음날 아침 통도사 걷는길 참 좋았던 기억이 납니다. 작은 연못과 다리가 인상적이었습니다. 그때가 가을이었어요.

후애(厚愛) 2010-03-29 06:40   좋아요 0 | URL
홍매화.. 정말 아름다워요..
봄에 가보고 싶은 통도사인데 여름에 시간이 나면 가 볼까 합니다.
자동차로 소요시간 약 1시간 40분정도 걸린다고 하네요.
여름의 통도사는 어떤지 무척 궁금해집니다.^^

프레이야 2010-03-28 09: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언제 봄에 찍어놓으신 사진인가요?
홍매화, 너무 아름답지요.
전 얼마 전 홍매화 한 가지를 받았어요.
작고 여린 꽃이 매달린 그 가지가 참 굵고 튼실하더군요.
향기도 좋구요. 떨어진 꽃 하나는 책갈피에 넣어뒀어요.
그걸 주신 그 분은 홍매화 꽃잎을 냉동실에 보관해뒀다가 차 마실 때
띄워주신대요. 마셔봤는데 향이 어찌나 좋던지요..
후애님 행복한 주말 보내세요.^^

후애(厚愛) 2010-03-29 06:42   좋아요 0 | URL
아닙니다. 인터넷에 통도사 이름이 보여서 검색을 했더니 홍매화가 나오더군요.
너무 아름다워서 검색해서 올려 봤어요.
아 저도 홍매화 향기를 맡고 싶어요.
여름에 가면 홍매화가 없겠지요..
네 그럴께요. 오늘 너무 조용한 일요일 오후에요.^^

마녀고양이 2010-03-28 10: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여행가고 싶당... 아우, 아침부터 기분 꿀꿀하니 진짜 떠나고 싶네요.

후애(厚愛) 2010-03-29 06:44   좋아요 0 | URL
저두요.. 이상하게 봄과 가을에는 여행을 떠나고 싶은 충동이 마구 생겨요.
예전에 한국에 있을 때는 가을 여행을 가곤 했는데...

꿈꾸는섬 2010-03-28 12: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통도사도 참 멋진 절이었다고 기억해요. 통도사에 대한 지식없이 방문했던 적이 있었는데, 큰절이라 깜짝 놀랐었어요. 홍매화 너무 아름답네요. 다시 가보고 싶어요.^^

후애(厚愛) 2010-03-29 06:45   좋아요 0 | URL
전 아직 통도사에 가보지를 못했어요.
여름에 시간이 나면 형부한테 통도사에 가고 싶다고 해봐야겠어요.
홍매화 정말 아름답지요.. 향기도 맡고 싶고 만지고 싶고 그러네요.^^

순오기 2010-03-28 13: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멋져요!!!
언제 통도사에도 가 보면 좋겠네요.

후애(厚愛) 2010-03-29 06:46   좋아요 0 | URL
그죠 그죠.. 저두 통도사에 가보고 싶어요.^^

행복희망꿈 2010-03-28 14: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진들이 다 너무 멋지네요.
통도사의 홍매화~ 생각만해도 기분이 좋아지는데요.
저도 다음에 한 번 가보고 싶네요.

후애(厚愛) 2010-03-29 06:47   좋아요 0 | URL
사진들이 너무 마음에 들어서 하나씩 이미지로 사용하려고요.
홍매화 너무 아름다워요..
저두 올 여름에 꼭 가보고 싶은데 홍매화는 없겠지만 통도사를 구경하고 싶네요.^^

무스탕 2010-03-28 21: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곱네요..
통도사는 가을에 한 번 가봤어요. 평일에 갔는데 걸어 들어가면서 그 조용함이랑 나무들이 얼마나 좋던지... +_+

후애(厚愛) 2010-03-29 06:49   좋아요 0 | URL
네 홍매화 한 가지 꺾어서 집에다 두고 싶어요.
언젠가는 통도사에 핀 홍매화를 보게 되겠지요.
여름에는 통도사가 어떤지 궁금하고 가보고 싶어요.^^

마노아 2010-03-29 16: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절경이에요. 눈을 뗄 수가 없어요. 어쩜 이렇게 아름다울까요!

후애(厚愛) 2010-03-30 07:23   좋아요 0 | URL
그죠.. 실제로 보면 더 아름다울 것 같아요. 홍매화 갖고 싶어요.^^

카스피 2010-03-29 20: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절경이네요^^

후애(厚愛) 2010-03-30 07:24   좋아요 0 | URL
네 봄에 통도사가서 홍매화를 보고싶어요.^^
 
단원 김홍도
오주석 지음 / 솔출판사 / 2006년 8월
평점 :
절판


보고싶었던 책이였는데 책표지가 구겨지고 찢기고 긁히고 반품할 예정이다. 속상하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후애(厚愛) 2010-03-27 09: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반품하고 나서 적립금이 들어오면 적립금으로 다른 책을 구매해야겠다.

마녀고양이 2010-03-27 13:05   좋아요 0 | URL
후애님두 책 엄청 사세요... 이 책들 모두 제때 읽고 계시는거여여? 감탄감탄~

후애(厚愛) 2010-03-28 06:55   좋아요 0 | URL
책 엄청 산 거 아닌데요.. 작년 12월부터 올 3월까지 합쳐서 열여섯권 정도 밖에 안 되는데... 그것도 옆지기의 선물.. 앞으로 제때 읽으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