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에서 역사와 반복
공포는 자본주의 경제에서 생기는 반복적인 현상입니다. 그것은 경기순환의 일환입니다. 즉 자본의 축적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생기는 반복성입니다. 마르크스는 이 두 가지 반복이 결부되어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다시 말해, 그는 국가라는 차원의 반복성과 자본주의 경제라는 차원의 반복성이 결부되어 있다는 것에 주목했다고 말해도 좋습니다. 173
자본주의의 단계적 ‘발전’은 그저 리니어한 것일 수 없습니다. 단계적 발전은 세계상품의 교대는 물론, 장기적 불황 또한 수반합니다. 동시에 그것은 헤게모니를 둘러싼 국가의 사활을 건 항쟁을 수반합니다. 그러므로 그것은 국가 차원의 고유한 반복을 수반합니다. 따라서 세계자본주의의 단계는 ‘제국주의적’인 단계와 ‘자유주의적’인 단계의 반복으로 볼 수 있습니다. 176
(자본주의의 발전단계는 다음과 같이 생각됩니다. 중상주의, 자유주의, 제국주의,후기 자본주의...다른 관점에서 보면, 이와 같은 단계는 세계상품의 교체에 의해 특징지어집니다. 즉 중상주의는 양모공업, 자유주의단계는 목면공업, 제국주의단계는 중공업, 후기자본주의단계는 자동차나 전자제품과 같은 내구소비재입니다. 그리고 1980년 이후에 새로운 단계(신자유주의)는 정보에 의해 특징지어집니다. 이런 리니어한 발전은 기본적으로 생산력의 변화에 대응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관점으로부터는 제가 서술해온 것과 같은 반복적 구조를 볼 수 없습니다. 174)
1990년대에 전면화된 글로벌리제이션이라고 불리는 사태는 1970년대 선진국에서의 이윤율저하 만성불황이라는 위기에서 기인합니다. 그 원인의 하나는 내구소비재가 보급되어 이제까지의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렀다는 것에 있습니다. 그리고 내구소비재 생산과 관련하여 일본과 독일의 급격한 발전 때문에 아메리카는 헤게모니를 상실했습니다. 이 때문에 아메리카의 자본은 글로벌한 자유경제에 활로를 찾으려고 했던 것입니다. 하지만 그것은 아메리카라는 국가의 군사적인 헤게모니에 의거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합니다. 현재의 자본주의 단계는 그 때문에 ‘신자유주의’라기보다도 오히려 ‘신제국주의’라고 해야 합니다. 180
아메리카가 신자유주의로 향했을 때, 그것은 19세기 말에 영국이 자유주의에서 제국주의로 향했을 때와 유사합니다. 이 시기에 우세하게 된 이데올로기가 사회다위니즘이었습니다. 적자생존, 약육강식을 당연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신자유주의는 그와 같은 것이 생겨납니다. 예를 들어, 신자유주의로 말하면 자조(self-help), 자기책임, 적자생존과 같은 사고방식은 사회다위니즘의 재판입니다. 물론 1990년대 이후의 상태는 19세기 말과 다릅니다. 제국주의 열강이 세계를 분할하고 재분할하는 것과 같은 사태는 없습니다. 하지만 19세기 말과는 다른 의미에서 현재의 세계는 몇 개의 제국이 병립해 있는 상태가 되어 있습니다. 181
현재의 ‘신자유주의’는 1890년대의 제국주의와 유사합니다. 이 유사성은 특히 동아시아를 볼 때 분명합니다. 현재 동아시아의 지정학적 구조는 1890년대에 형성된 것입니다. 예를 들어, 현재의 동아시아에는 중국, 북한, 한국, 대만, 일본, 그리고 아메리카와 러시아가 존재하는데, 이것은 청일전쟁 전후의 상황과 유사합니다.
청일전쟁 무렵이 중국은 원래 대국이었을 뿐만 아니라 아편전쟁 이후 군대의 근대화를 통해 일본에게 있어 강적이었습니다. 이어서 청일전쟁에 이른 원인 중 하나는 조선왕조의 두파, 즉 일본 측에 서서 개국을 하려는 파와 청조의 지원을 받아서 쇄국을 유지하려는 파의 대립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오늘날 ‘남북조선’의 분단은 어떤 의미에서 여기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이어서 대만은 청일전쟁 후 청조가 배상으로 일본에 준 것입니다. 이에 더하여 이 시기 하와이왕구을 멸망시키고 태평양을 넘어서 동아시에 등장한 미국을 놓쳐서는 안 됩니다. 당시 미국은 일본과 손을 잡고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러일전쟁 후에는 일본이 조선을 영유하고 미국이 필리핀을 영유한다는 비밀협정이 이루어졌습니다. 이상과 같은 점에서 지금의 동아시아적 지정학 구조가 반복적이라는 것은 명확합니다. 189-190
한마디로 말해, 우리는 지금 동아시아에서 청일전쟁의 전야에 가까운 상황에 있습니다. 나는 일본에서 몇 년 전부터 이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만, 귀를 빌려주는 사람이 적습니다. 190
물론 현재의 상황은 유사하지만 120년 전과는 다릅니다. 무릇 중국은 지난날의 청조처럼 쇠퇴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러기는커녕 어쨌든 당분간 발전해가는 상태에 있습니다. 한편 아메리카는 쇠퇴하고 있습니다. 일본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런 것이 청일전쟁과 결정적으로 다른 점입니다. 그러므로 만약 역사가 반복된다면, 120년전과는 반대의 결과가 생길 것이라고 생각하는 쪽이 좋을 것입니다. 192
볕뉘.
1. 따로 정리할 겸해서 서너번을 정독한다. 하지만 그 틈새로 다른 일이 끼어들어 호와 흡을 놓친다. 고진은 세계사의 구조를 쓴 이유가 이 전쟁의 위험성때문이라고 거듭 말하고 있다. 120년전의 역사의 구조가 반복되는 지점이 바로 여기라는 것이다. 그가 제시하고 있는 방법은 일본헌법 9조 전쟁방기의 사수이다. 이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 아니라 전쟁보다 오히려 쉬운 것이라고 말한다. 증여의 한 형식으로 호혜의 한 흐름으로 만들어가지 않으면 역사는 또 반복되기 마련이라는 것이다. 120년전에는 일본과 미국이 솟아 올랐지만 지금은 거꾸로이다. 미국은 경제적 헤개모니를 읽고 군사적으로 안간힘을 쓰고 있다. 아시아로 귀환과 재균형이라는 이름으로 말이다.
2. 동북아의 역사는 안보만이 아니라 문화, 역사적으로 입체적으로 조망해야 한다. 5년뒤의 삶, 10년뒤의 삶, 100년 뒤의 삶을 조망하면서 미래세대에게 물려줄 것이 무엇인가...경제적 부도 없고 평화도 없는 세상까지 물려주어서는 되겠는가... 경기의 순환은 공포의 순환으로 이어진다. 국가는 공포를 먹으면서 통제될 수 없는 지경에 까지 이르렀다. 고삐도 없는 채로....시민의 힘은 좋아요공화국에 고개를 쳐박고 나올 수가 없다....고삐가 어디에 있는지조차 모르는 현실은 아닐까....
3. 빨리 호흡을 가다듬고 정리하고 싶다. 될는지 모르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