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칼 폴라니의 <거대한 변환> 요약문: 정리가 잘되어있다. 사회에서 탈출한 시장의 맥락과 19세기 사상가의 흐름, 초기 공상적 사회주의자의 활동, 자유주의자의 기원과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어 좋다. 자본주의의 유아기의 상부구조를 들이댄 벤야민의 아케이드 프로젝트의 흐름과 비교해 볼 수 있어 겹쳐보기가 끌린다.

2. 맑스주의 향연 - 벤야민 장을 읽다. 너무 글을 잘 써 딱딱한 글을 읽음에도 가슴이 뭉클하다.(어제 술기운인가?!) 시집에서나 간간히 뭉클함을 느끼는데 왠 일??

3. 아케이트 프로젝트 - 강독중: 번역자는 맑스주의, 포스트모더니즘의 파고가 휩쓸고자는 이 자리를 벤야민이 채울 것이라고 한다. 번역자의 말대로 그런 지적유행이 한단면이라면 맘이 거슬린다. 편집자 서문과 일어판 서문을 읽고 파리-19세기의 수도...아케이드-만국박람회--자본주의 초두를 보고 있다. 번역자는 맑스가 자본주의 하부구조를 x레이로 투시하여 그대로 드러냈다면, 벤야민 자본주의의 상부구조를 내시경으로 속속들이 파헤치고, 세계를 다 해체하고 다시 조립하려하고 있다한다. 주말 꼼꼼이 흐름을 따라 가려한다.

4. <노는만큼 성공한다> - 단순하게 살아라, 삶과 일의 균형을 이야기하는 버전이다. 처세서가 아니라고 강변하지만 기본적인 서술의 조건이 탄탄한 정규직의 흐름을 타고 있다. 상황의 변화로 여가라는 분위기가 그의 출세의 분위기와 겹쳐진 것도 그에게 행운인 듯하다. 개인적인 어려운 경험(학생운동과 군대경험, 독일유학경험)을 간간히 이야기하고 있지만 그의 문화적 자본력의 향상인지 시선은 실직과 비정규직 시선은 없다. 여전히 일등주의 주장하는 배경으로 그의 열정만큼 처세서가 아니라는 강변은 아닌 듯하다. 하지만 책에 물린 직장인들이 그래도 봐야할 책이다. 다른 처세서보단 많이 나은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