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1006

2000 교육예산강좌 첨부자료를 보다 목별 산출기초에 눈길이 가다. 학교별로 동일한가? 적절한가? 수익자 부담분은 늘어나고 지역별 격차가 초교에 1인당 20-30만원씩 차이가 난다. 강남 70만원선, 평균 40만원선 의무교육, 무상교육을 바라본다지만 공교육마저 돈냄새가 물씬 풍긴다. 가난하면 어찌하라구. 국민학교 육성회비 400원 600원때문에 방과후 남아 벌을 선 기억이 난다. 너무들 가볍게 생각하는 것은 아닌가? 비정규직-실직의 경계선에 머물면 자식교육도 맘대로 할 수 없다. 왜 이렇게 눈높이가 높아지는지?

한친구가 도서관개방연대라는 단체가 있다라고 한다. 사회에 열린공간을 만들자는 취지인데. 대학은 주차비받는다고 꼭꼭 걸어잠그질 않나? 도서관개방이야 일반인은 꿈도 꾸질 못하고? 초등학교의 닫힌 성문, 운동장도 개방하게 되어있지만 쉽지 않은 것처럼 여전히 벽은 높다. 하물며 도서관도 공공의 재산이라기보다 사유라 여기는 것은 아닐까?

2230 한분의 사례발표 뒤 간단한 뒤풀이를 갖다. 어쩌다 발 담그고 있는 조직이야기가 나온다. 활동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마음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새삼스럽다. 4명이 모여 학운위 전반적인 사항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데, 조금은 허전한 마음이 들다. 학부모님들 이야기를 하다 천동설론, 지동설론...지구는 돌지만 사람들 마음은 여전히 내 위주로 세상은 돌아주어야 한다. 모든 관계, 내새끼, 나, 우리팀, 우리부서, 우리단체, 우리노조. 자유로울 수 없지만 문득 세상을 보는 시야에 벽은 여전히 높다는 느낌에 머물다

2400 한친구의 연락으로 귀가길을 옮기다. 민*당 지역 최근 소식을 접하며 절망감을 느끼다. 공적-사적영역의 구분도, 개념도  없이 조직을 소유물 정도로만 여기는 것은 아닐까? 조직이든 일처리 방식이든 이것저것 다른 경험이 없어 유아기라는 생각에 보태 중독이라는 생각이 든다. 끊을 수 없는 무엇~. 그러다 소주에 취하다. 이리저리 마음이 아프고 아리다. 실타래를 풀 실마저 가물가물 거리는 것은 아닐까? 묘연해지는....아연함을 보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