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 꿈

 

 

 

아이들에게 어른들은 묻는다
꿈이 뭐니
넌 뭐가 되고 싶어
뭘 하고 싶어

 

 

어른들은 아이에게 묻지 않는다
꿈이 몇이나 되느냐
넌 되고 싶은게 뭐뭐뭐냐
하고싶은 것들이 뭐냐

 

 

어른들의 수명이 줄었다
사회적 수명 말이다
정작 사회는 어른들에게 물어야 한다
꿈이 뭐냐
좋아하는게 뭐냐
하고싶은 게 뭐냐고

 

 

어른들은 갸우뚱해야 한다
꿈이 녹슬지 않고 죽지 않았다고 말해야 한다
좋아하는 것이 이것저것 저것이라고 해야한다
아이에게 꿈을 짜내라고 하기전에
해야할게 많다. 요구할 것도 많다

 

 

생물학적 삶이 아니라

사회적 장수를 사회에 요구하고 꿈꿔야 한다.

 

 

 

볕뉘. 친구와 차수를 옮겨 얘기를 더 나눈다. 아직 술기운이 남아 여기상태다.  참 생각도 많고 하고싶은 말들도 꼬리를 물기도 하는 때이다.  가끔 몸의 들뜬 상태, 평소에 닿지 않는 말들이 스며들 때가 좋기도 하다.  아이를 잘 키우고 싶다는 욕심은 끝이 없을 것이다. 일반고가 아니라 대안학교를 챙기고, 국내가 아니라 유학이 더 낫다고 말이다. 맹모 삼천지교를 탓하는 것은 아니지만 과잉이다. 아이들이 몸이 아프고 나서야 공부가 다가 아니라고 깨닫지만 그것도 오래가지 못한다. 팔이 안으로 굽듯이 부모된 도리로 자식은 챙겨야하지 않느냐고 말한다. 부모가 내려놓아야 한다. 조손가정이나 결손가정의 아이들을 생각해야 하고, 특별한 아이가 아니라 함께 자라야 한다는 생각을 해보면 내려놓는 것이 맞다.  그래야 잘 큰다. 부모가 자신의 사회적 삶을 살고 기획하는데 많은 시간을 쏟아붓는 것이 맞다. 아이들 삶을 살아주는 시간을 줄여야 한다. 계부, 계모. 그래 맞다. 그런 소리 듣는 것처럼 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