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롭다


새롭다 새것만을 탐한다. 문득 망각에 가까운 것은 아닌가. 역사학의 아버지 이븐할둔은 14세기 책에서 놀랍게도 뇌의 기능에 대해 말한다. 뇌의 앞부분이 받아들이는 것에 관여하고, 기억력은 뇌의 뒷부분, 가운데는 사고나 숙고의 과정에 개입한다고 말이다. 새것을 찾고 있다는 착각은 아마 중독된 것으로 목을 길게 늘이려는 것은 아닌가 싶다. 찰나 찰라 뇌의 앞부분만 있는 군상이 아닌가 싶다. 어느 사이에 사유나 숙고, 현실에 뿌리내리지 못하는 좀비가 되어버린 것은 아닌지?  찾는 것만 보이고,  보이는 것만 찾으려하는 것이 나의 모습이 아닌가 싶다.

 

 

욕망하다


욕망이나마 자신을 넘게 만드는 것은 아닌가. 자신너머를 되게하는 것 말이다. 심리적인 저지선을 뚫는 것에는 예의나 예정, 자신에 대한 존중, 존경은 아무 소용이 없다는 생각이 불쑥 솟는다. 되기라는 것도 예의상, 미안하니까, 의무감에서 하는 일들은 결코 문턱을 넘지 못한다. 욕망에 편승해서 잘잘못을 떠나 부지불식간에 너머 버려야 그 되기가 만들어진다는 사실이다. 배려하고 순서를 생각하고 이것저것 이유를 대는 일들이 그 자리에 머물겠다는 구실을 대는 것일 뿐이다.

 

 

 

하나씩만


생각은 여러 번, 여러 곳을 동시에 뛰어다니지만 몸은 한번에 한번씩만 움직일 수 있다. 두리번 두리번하면 할수록 몸은 그 자리에서 어지러움에 뱅글뱅글 돌 뿐이다. 뭔가 하고자 한다면 생각을 몸에 집중시켜보자. 몸이 어지럽지 않도록 한번 생각하고 몸에 맘주고 두번 생각해도 몸에 마음주자.

 

 

 

뱀발.  쓸 글이 몇 편이 있고, 쓰고 싶은 논문? 몇 편을 추스려야 한다. 그러기에 앞서 지난꼬리를 살펴서 나눠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짬을 내어 마음에 드는 사진들을 모으고,  추상화시킨 흔적들을 모아서 추린다.  그러다보니 시간의 결에 잡힌 생각, 자주 쓰는 단어들이 실매듭처럼 맺히거나 거미줄처럼 걸린다. 그 생각꼭지점을 잇는 그물안에 있다 싶다. 자주 쓰는 말, 고민들도 한해-두해의 여운의 그물에 걸려있다 싶다.  그렇게 펼쳐진 나를 보니 이어진 너에 대한 흔적도 읽힌다. 그래서 돌이켜본다.  좀더 욕망해서 너머서야겠다는 마음을 앞에 툭 던진다.  지인들에게 만든 PDF 파일을 보낸다. 마음들을 다시 건네본다. 가을바람 속에 겨울 느낌을 콕콕 쏘는 녀석들이 있다. 사금파리처럼 반짝인다. 왠지 싫지는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