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꾸로된 세상의 학교 코멘트http://www.aladin.co.kr/blog/mypaper/699906

하나.  운*위를 점점 더 강하게 느끼는 것은 아이들 바보만들기 입니다. 사육한다는 표현이 맞을까요? 아이들 시험지를 보면서, 점수에 천착하는 부모, 그리고고 부모인 나... 예전에도 잘못되었지만, 지금도 여전히... 그렇다고 대안교육이 정답이라고 여기지도 않습니다. 홍세화님이 이야기하는대로 대학평준화, 무상교육..등등 시스템의 문제라고 강하게 여기기도 합니다.  대학까지 어떻게 공부에 질리게 할 수 있을까? 하는 시험장이기도 한 것 같고, 그 와중에 살아왔던 나이고, 점점 불감증으로 치닫는 사회와 이웃, 그리고 나. 뒤섞여 있어 맘 아픕니다. 죽도록 고생하고 정작 대학에 왜 갔는지? 도 모르고 근근히 지내는 학생들. 어쩌면 갈레아노가 지적한대로 공포와 폭력, 불의만 가르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내새끼"에서 "우리새끼"로 회복되었으면 좋겠군요. 학생이 공부를 즐기는 것인지? 부모가 대신 살아주는 것인지? 여전히 상식이 전도된 세상. 가출한 상식을 찾기도 힘들군요.  뻔뻔스럽고, 양심은 어디에 둔 줄 모르는 운영위원들을 보면서 참으로 어이없어지기도 합니다.

 


둘.  몇년전 타계한 부르디외의 강연록을 녹취한 것으로 아는데, 얇지만 말하고자 하는 바, 정출연연구기관들이 돈과 공공성의 사이에서 아니, 돈에 전도된 연구에서 그나마 해나가야할 바, 연구원의 할 역할에 대해 밝혀주고 있습니다.  장, 상징자본, 아비투스에 대한 개념이 서투르다면 아래 부르디외 사회학입문과  살림의 책(2800원)이 좋을 듯 싶습니다.









부르디외 재생산  코멘트: http://www.aladin.co.kr/blog/mypaper/651570




셋. 위의 책들은 부르디외 책입니다.  점점 더 돈있는 자식들만 더 좋은? 대학에 가는 현실, 재생산과정을 밝히고 있습니다. 제일 큰 문제는 오히려 초교보다 대학이 더문제일지 모릅니다. 도대체 어떤 사람을 만들고 있는지? 교육관련해선 부르디외 사회학입문 6장 사회적 재생산을 참고 하면 좋을 듯하구요. 시간나시면 나머지 책을 보셔도 괜찮겠습니다.








칼폴라니 경제사회학? : http://www.aladin.co.kr/blog/mypaper/708239

 

넷, 경쟁력, 힘, 시장 만능에 대한 신화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습니다. 사회에서 빠져나온 시장, 돈의 환상에 쫓겨 나온 우리들,  우리들 되돌아보게 만듭니다. 짐멜의 책은 돈, 대도시의 정신적 삶, 얼굴, 신의, 부끄러움 등 너무도 당연하게 여기거나 무뎌진 감각들에 대해서 돌이켜보게 만듭니다. 왜 점점 뻔뻔스러워지고 둔감해질 수밖에 없는 것인지? 우리 맘속을 빠져나간 상식, 양심에 대해 반추하게 만듭니다. 갈레아노 책을 보자면 낙담할수도 있겠으나 현실과 상식을 회복코자 하는 그의 노력에 집중해서 봐주면 좋을 듯합니다.  그럭저럭 신자유주의에 대한 논리적 접근은 아니지만 정서적 감흥에 젖게 할 수 있을 듯합니다.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코멘트 : http://www.aladin.co.kr/blog/mypaper/67236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