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적 - 다음 관심있는 주제들의 학술발표회가 열리는데, 학교도 지역에 홍보를 하지 않을 뿐? 지역에도 아는 사람이 없는 듯.... 학술회의는 주민들, 관심있는 사람들이 참여하지 말라는 불문율이라도 있는 것일까? 벌쭘하더라도 시간쪼개서 가보려한다.  **  소장학자분들의 발표가 궁금하다.   언젠가는 아파트 입구마다 몇달전부터 이런 참여독려가 넘치는 현수막과 광고가 많았으면 좋겠다 싶은 생각이다.

역시 상아탑, 배우는 것이 자족적인 잔치로 끝나고 마는 것은 아닌지? 그리고 소중한 논문들이 아무도 보지 않는 도서관에 차곡차곡 쌓여가는 것은 아닌지?  열린 공간으로 일상에 대해 한번 되돌아보게 하는 것이 맞는 것은 아닐까?  아래는 분야별 일정입니다. 


2005년도  한국사회학회  전기사회학대회



   한국사회의 지구화와 근대성





 

         ■ 일시 :  2005년 6월 17일 (금) ~ 6월 18일 (토)

         ■ 장소 :  충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 주최 :  사단법인 한국사회학회

         ■ 후원 :  한국학술진흥재단

      




     

사단법인 한국사회학회


인사말




회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여름이 성큼 다가온 6월입니다.


학회에서는 6월 17-18, 양일 간 충남대학교에서 전기사회학 대회를 개최합니다. 「한국사회의 지구화와 근대성」이라는 대 주제로 열릴 이번 대회에서는 30개가 넘는 분과에서 100편 이상의 논문 발표와 토론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부디 참석하셔서 왕성한 한국사회학의 학문적 열기를 체험하시고 성공적인 학술대회가 되도록 협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번 대회를 준비하는 데에는 각 분과 조직 책임자, 그리고 충남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님들과 학생 여러분의 노고가 컸습니다. 특히 이동인 부회장님과 김선건 학과장님의 적극적 지원에 감사드립니다. 끝으로 이번 대회는 학술진흥재단의 재정적 지원을 받았습니다. 재단 관계자 여러분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2005년 6월


한국사회학회 회장 양 종 회 









대 회 일 정

6월 17일 (금요일)

    장소

시간

1분과

105호

2분과

108호

3분과

110호

4분과

111호

5분과

112호

6분과

115호

7분과

216호

8분과

314호

9분과

315호

10:00

등록 및 개회식 / 사회과학대학 108호

10:30

12:30

이론 I

국제이주 및 소수자

경제조직I

계급계층 및

산업노동

농촌사회

보건사회학

<집담회>

사회운동

동양사회

사상 I

과학기술

I

12:30

14:00

                               점심식사 / 2학생회관 교직원식당

14:00

16:00

이론 II

정치

사회

경제조직II

국제사회

연구

여 성

사회사

문 화

동양사회

사상 II

과학기술

II

16:00

16:20

                                           휴식

16:20

18:20

<집담회>

이론

<라운드테이블>

정치사회

종교사회학

NGO와 

시민사회

가족 및

사회복지

인구 및

고령사회

<집담회>

영상사회학

도시공간 및 지역사회 I

정보사회

18:20

20:00

                                리셉션 / 1학생회관 교직원 식당

6월 18일 (토요일)

     장소

시간

1분과

108호

2분과

109호

3분과

113호

4분과

114호

5분과

115호

6분과

105호

7분과

110호

8분과

111호

9분과

112호

10:00

10:30

 등록 / 사회과학대학 108호

10:30

12:30

사회운동

범죄 및

일탈

북한사회

도시공간 및

지역사회 II

사회구조와 발전

 

 

 

 

12:30

14:00

                               점심식사 / 1학생회관 교직원 식당

                                          폐  회

※ 314호, 315호: 산학연교육연구관

등록 및 개회식                           10:00 ~ 10:30  /  사회과학대학 108호



6월 17일 (금요일)   오전발표  10:30 ~ 12:30



<제 1 분과>  이론 Ⅰ                                                                 사회: 전태국(강원대) / 105호 

1. 성찰성 이론의 계보학

   발표: 김상준(경희대)                           

   토론: 정태석(전북대)

2. 성찰적 근대화: 사회학적 시대진단의 잠재력과 한계

   발표: 임운택(노총중앙연구원)                                        

   토론: 최종렬(연세대)

3. 사이버공간, 탈근대적인가?

   발표: 박창호(숭실대)

   토론: 송재룡(경희대)



<제 2 분과>  국제이주 및 소수자                                                      사회: 이혜경(배재대) / 108호 

1. 북한이탈주민 가족의 사회적응: 강점관점(strength perspective)의 접근

   발표: 윤인진(고려대)                         

   토론: 박현선(고려대)

2. 비교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의 외국인 AIDS 정책

   발표: 이정환(청주대)                                  

   토론: 고성호(통일교육원)

3. 한국 내 조선족 여성이주자의 가사노동 경험

   발표: 이주영(연세대)                                      

   토론: 송해련(서울대)



<제 3 분과>  경제조직 Ⅰ                                                            사회: 한  준(연세대)  / 110호

1. 인정(人情)의 개념과 적용가능성: 사회자본과 관련하여

   발표: 김준우(전남대)                           

   토론: 박찬웅(연세대)

2. 결속형 거래 연결망의 형성과 분화

   발표: 김우식(이화여대), 김효선(이화여대)                          

   토론: 한신갑(일리노이대)

3. 부도기업 정상화 과정에 대한 연구

   발표: 박찬웅(연세대)                                       

   토론: 김우식(이화여대)

<제 4 분과> 계급계층 및 산업노동                                                     사회: 남춘호(전북대) / 111호

1. 한국사회 직업지위의 20년의 변화

   발표: 유홍준(성균관대), 김월화(성균관대)                                        

   토론: 박노동(대전발전연구원)

2. 한국사회의 양극화: 경험적 연구

   발표: 신광영(중앙대)                            

   토론: 김재훈(경상대)

3. 계급타협을 위한 노동정치의 조건: 스웨덴 금속노조(Metall)와 한국 금속노조의 비교 연구

   발표: 이주희(이화여대)

   토론: 은수미(한국노동연구원)

4. 노동시장 분절이 산별노조의 전환에 미치는 효과

   발표: 김재훈(경상대)

   토론: 신원철(부산대)



<제 5 분과>  농촌사회                                                                사회: 김태헌(교원대) / 112호

1. 베트남의 종족마을(동성마을)에 대한 사회학적 탐색: 하노이 근교의 다이모 마을의 Nguyen Quy(阮貴)씨 집단을 중심으로

   발표: 한도현(한국학중앙연구원)    

   토론: 김흥주(한국청년정책연구소)

2. 농촌 거주 남성의 국제결혼과 농촌사회의 변화

   발표: 김정태(공주대)                       

   토론: 이영세(충남여성정책개발원)

3. 외국인 농업연수생의 근로조건과 직무만족도

   발표: 황대용(농촌자원개발연구소)

   토론: 백승우(전북대)

4.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농촌지역 정착과정 및 지원방안

   발표: 박재규(전북발전연구원)

   토론: 오미란(전국여성농민회)



<제 6 분과>  보건사회학: 사회불평등과 건강불평등                                      사회: 조병희(서울대) / 115호

1. 한국 성인의 건강 불평등: 사회계층과 지역 차이를 중심으로

   발표: 이미숙(배재대)

   토론: 정진주(여성개발원)

2. The Impacts of Individual- and Contextual-Characteristics on the Health of Metropolitan Seoul Adult Residents

   발표: 조영태(서울대)

   토론: 김한곤(영남대)

3. 우리나라 사회경제적 건강불평등: 현황과 기전

  발표: 강영호(울산의대)

   토론: 신광영(중앙대)


<제 7 분과>  사회운동 집담회: 민주화운동의 문화적 기원                                사회: 박선웅(교원대) / 216호

1. 사회운동에서의 사건, 도덕감정, 프레임 형성: 80년 광주에서 감정적 도식과 인지적 프레임의 융합

   발표: 신진욱(전북대)

   토론: 강현아(전남대)

2. 저항의 기억, 의례와 정체성 형성: 1980년대 학생운동 연구

  발표: 고동현(전북대)

   토론: 최  현(성균관대)

3. 민중담론과 6월항쟁의 문화적 기원

   발표: 정철희(전북대)

   토론: 이승훈(상지대)


 

<제 8 분과>  동양사회사상 Ⅰ                                                         사회: 이동인(충남대) / 314호

1. 「대대(對待)문화문법」에 관한 이해와 오해(1)

   발표: 강신표(인제대)

   토론: 우실하(한국항공대)

2. 한국인의 과잉권력욕과 인격투쟁

  발표: 최봉영(한국항공대)

   토론: 정성원(서강대)

3. 동양의 눈으로 본 현대문명비판

   발표: 최석만(전남대)

   토론: 홍승표(계명대)



<제 9 분과>  과학기술 Ⅰ: 생명공학과 한국사회                                         사회: 김문조(고려대) / 315호

1. 생명과학의 '대중의 이해'와 인터넷 공론 : 2005년 5월 20일 황우석교수의 연구성과 발표를 중심으로

   발표: 서이종(서울대)

   토론: 허상수(성공회대)

2. 유전적 정보의 한국적 특성

  발표: 이정호(고려대)

   토론: 박희제(경희대)

3. (불)순수 생명윤리: 미국에서의 줄기(幹)세포 논쟁과 관련한 생명윤리에 대한 과학기술학적 접근

   발표: 김은성(렌슬러 공대)

   토론: 김환석(국민대)



점심식사                               12:30 ~ 14:00  /  2학생회관 교직원 식당 



6월 17일 (금요일)   오후발표Ⅰ  14:00 ~ 16:00



<제 1 분과>  이론 Ⅱ                                                         사회: 이윤희(인천대) / 105호

1. '이방인'과 인간행위자: 초월과 내재 사이

   발표: 김광기(경북대)                               

   토론: 박창호(숭실대)

2. "사람"이 있는 사회이론

   발표: 김혜순(계명대)                

   토론: 한상진(서울대)

3. 망루(望樓)의 질서로부터 공관(共觀)의 질서로

   발표: 이복수(강원대)

   토론: 이재혁(한림대)



<제 2 분과>  정치사회                                                      사회 : 윤상철(한신대) / 108호

1. 17대 국회의 이념, 네트워크, 그리고 정책

   발표: 장덕진(서울대)                         

   토론: 이기홍(한림대)

2. 국방백서 허물기와 바로잡기: 안보관, 북한주도 안보위협론, 자주국방, 동북아균형론을 중심으로

   발표: 강정구(동국대)

   토론: 박노영(충남대)

3. 한일 시티즌쉽 비교: 시민의 공적 영역 지향성과 능동성을 중심으로

   발표: 최  현(성균관대)               

   토론: 한영혜(서울대)


<제 3 분과>  경제조직 Ⅱ                                                             사회: 이재열(서울대) / 110호

1. 전문대학원 설립에서의 동형화 연구

   발표: 김도희(연세대), 한  준(연세대)                                  

2. 네트워크 외부성 하에서의 상품시장 모형 연구

   발표: 임동균(서울대), 장덕진(서울대)                                

3. 한국의 기업지배구조에 대한 연구

   발표: 이항영(고려대), 백경민(고려대)                      


   총괄논평: 한  준(연세대), 장덕진(서울대)



<제 4 분과>  국제사회연구                                                   사회: 박윤철(호서대) / 111호

1. 현대 중국 사회의 직업구조와 직업위세: 한국 및 일본과 비교연구

   발표: 유홍준(성균관대)           

   토론: 장겹섭(서울대)

2. 키르키즈스탄 레몬혁명과 친 서구 NGO의 역할

   발표: 이채문(경북대)                            

   토론: 한종만(배재대)

3. 자기대표에서 인민대표로: 중국 변호사의 정치 참여

   발표: 이동진(경북대)                      

   토론: 원재연(연세대)



<제 5 분과>  여성                                                           사회: 양현아(서울대) / 112호

1. 남성의 육체자본화 지대와 외모관리의 허용수위

   발표: 임인숙(고려대)

   토론: 이미숙(배재대)

2. 출산과 가부장제: 여성, 통제의 대상에서 통제의 주체로

   발표: 이미정(한국여성개발원)                        

   토론: 정진주(한국여성개발원)

3. 합리적 선택이론에서 본 성성호

   발표: 이성용(강남대)

   토론: 이혜경(배제대)



<제 6 분과>  사회사                                                                  사회: 정근식(서울대) / 115호

1. 조선시대 잡과중인(雜科中人)의 사회적 재생산: 기회매점을 통한 신분(고착)화 가설

   발표: 한신갑(일리노이대)                 

   토론: 은기수(서울대)

2. 신여성현상의 세계적 차원과 사회적 차이-영국, 일본, 그리고 인도와 중국을 중심으로

   발표: 김수진(서울대)                      

   토론: 김혜경(전북대)

3. 조선중기 천장례의 준비

   발표: 박미해(연세대)

   토론: 안호용(고려대)


 

<제 7 분과>  문화                                                                    사회: 김무경(서강대) / 216호

1. 유기농산물 소비분화의 딜레마

   발표: 허미영(부산대)                                  

   토론: 최샛별(이화여대)

2. 자살의 이유를 알아야 하는 이유

   발표: 천선영(경북대)                            

   토론: 이병혁(서울시립대)

3. 문화와 소통: 전달모델에 대한 검토

   발표: 박해광(전남대)                          

   토론: 이기현(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제 8 분과>  동양사회사상                                                사회: 이영찬(계명대) / 314호

1. 동양사상과 서양사상의 연결고리로서, 데리다 사상이 갖는 의미와 문제점

   발표: 김영주(초당대)           

   토론: 정선기(대전발전연구원)

2. ‘인간크기’ 그리고 ‘물질크기’: 과시적 인간관계

   발표: 이하배(성균관대)                                 

   토론: 박남희(연세대)

3. 탈현대적 가족여가를 위한 구상

   발표: 이현지(계명대)                          

   토론: 박수호(고려대)



<제 9 분과>  과학기술 Ⅱ: 과학기술인력과 한국사회                                     사회: 김환석(국민대) / 315호

1. 이공계 대학의 유형화: 획일화된 다양성

   발표: 한경희(연세대)                       

   토론: 전민용(충남대)

2. 공학분야 여성교수임용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

   발표: 박찬웅(연세대)

   토론: 이주희(이화여대)

3. 과학기술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통해 본 이공계 위기론의 재해석: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이해조사’ 분석

   발표: 박희제(경희대)

   토론: 서이종(서울대)




휴식                                                                   16:00 ~ 16:20



6월 17일 (금요일)   오후발표 Ⅱ  16:20 ~ 18:20



<제 1 분과>  이론: 쓰고 옮기고 가르치는 일들과 관계된 문제들                                     105호


  토론: 전성우(한양대), 전태국(강원대), 김문조(고려대), 김용학(연세대), 양영진(동국대),

       이윤희(인천대),이창순(경희대), 노진철(경북대), 이홍균(연세대), 이재혁(한림대), 

       최종렬(연세대), 이선미(한양대), 임운택(노동연구원), 천선영(경북대)



<제 2 분과>  정치사회-라운드테이블: “민주발전지수”의 구성과 활용             사회: 윤상철(한신대) / 108호

1. ‘민주발전지수’평가사업의 개황

   발표: 윤상철(한신대)                

2. ‘민주발전지수’의 변화-2004-2005년

   발표: 장상철(성공회대)                    

3. 민주발전지수 평가를 통해서 본 국가와 정치사회

   발표: 장세훈(동아대)          

4. 민주발전지수 평가를 통해서 본 시민사회

   발표: 윤민재(서울대)        

  

   종합토론: 박은홍(성공회대), 정태석(전북대), 김만흠(성균관대), 설동훈(전북대)



<제 3 분과>  종교사회학                                                              사회: 김성건(서원대) / 110호

1. 세속화냐 탈세속화냐

   발표: 송재룡(경희대)                      

   토론: 윤원근(숭실대)

2. 오순절 운동은 페미니즘 운동인가

   발표: 정종현(교회성장연구소)

   토론: 김항섭(한신대)

3. 체제종교에서 접속과 이용 자원으로서의 종교로: 국내 일본 신종교 활동의 유형과 이용자의 태도 변용을 중심으로

   발표: 박승길(대구가톨릭대)                         

   토론: 임태홍(성균관대)


<제 4 분과>  NGO와 시민사회                                                사회: 조대엽(고려대) / 111호

1. 정책결정의 참여모형에 관한 연구: 정책공동체의 모형을 중심으로

   발표: 선한승(한국노동연구원)             

   토론: 이재열(서울대)

2. 한국과 일본의 시민운동론 비교

   발표: 한영혜(서울대)

   토론: 정철희(전북대)

3. 시민사회, 공공성, 사회통합의 정치

   발표: 조대엽(고려대) 

   토론: 이승훈(상지대)

4. 제 2건국운동 실패의 이론적 고찰

   발표: 송백석(국민대) 

   토론: 윤상우(고려대)



<제 5 분과>  가족 및 사회복지                                                        사회: 안병철(한양대) / 112호

1. 가사노동의 여성복지적 고찰

   발표: 이창순(경희대)     

   토론: 김혜경(전북대)

2. 성격 차이와 이혼

   발표: 조성숙(한국가족문화원)            

   토론: 임인숙(고려대)

3. 동아시아 사회복지제도 발전 과정에 대한 사건사적 분석

   발표: 정동철(연세대), 박찬웅(연세대)                                  

   토론: 정재기(서울대)

4. 복지국가 변화 연구를 위한 몇가지 제언

   발표: 김신영(동신대)                                 

   토론: 김  욱(천안대)



<제 6 분과>  인구 및 고령사회                                                        사회: 전광희(충남대) / 115호

1. 여성노인의 재사회화교육을 통한 인적자원 활용방안

   발표: 강신옥(공주대)    

   토론: 임송은(대전보건대)

2. 대구광역시 노인들의 치매 실태 및 치매노인들의 생활 습관적 특성

   발표: 김한곤(영남대)       

   토론: 류재룡(대전광역시 유성구 노인복지관장)



<제 7 분과>  영상사회학, 어떻게 할 것인가?                                            사회: 주은우(중앙대) / 216호

   기조발제: 한국에서의 영상사회학의 모색과 시도

   발표: 김현숙(아주대)                    

   보조발제 및 토론: 정근식(서울대), 조은(동국대), 주은우(중앙대), 이인규(우석대)



<제 8 분과>  도시공간 및 지역사회 Ⅰ                                                  사회: 나간채(전남대) / 314호

1. 지역의 보수성 비교

   발표: 최태룡(경상대)

   토론: 이은진(경남대)

2. 조선시대 열녀를 통해 본 대구지방의 가부장성

   발표: 이민주(계명대), 김혜순(계명대)

   토론: 이혜숙(경상대)

3. "생각"의 지역격차: 지역발전정책 개발역량을 중심으로  

   발표: 김준우(전남대), 오미란(전남대)

   토론: 원도연(전주시정발전연구원)



<제 9 분과>  정보사회                                                                사회: 서이종(서울대) / 315호

1. 인터넷 10년과 시민사회의 변화: 연구동향

   발표: 서이종(서울대), 강민구(서울대)

   토론: 민경배(경희사이버대)

2. 정보사회와 신뢰

   발표: 최항섭(정보통신정책연구원)

   토론: 고동관(전북대)

3. 경합적 다원주의와 온라인 정치토론: ‘양심적 병역 거부’ 논란 사례연구

   발표: 이항우(충북대)

   토론: 최  현(성균관대)

4. 디지털 유산보존과 정보트러스트 운동

   발표: 민경배(경희사이버대)

   토론: 박창호(숭실대)

5. 행위자-연결망으로서의 정보기술확산: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의 사례 연구

   발표: 문용갑(가톨릭대)  

   토론: 박정석(한국전자통신연구원)





리셉션                                       18:20 /  1학생회관 교직원 식당

등록                                     10:00 ~ 10:30  /  사회과학대학 108호



6월 18일 (토요일)   오전발표  10:30 ~ 12:30


  

<제 1 분과>  사회운동                                                                사회: 정철희(전북대) / 108호

1. 국가페미니즘과 여성운동

   발표: 김경희(중앙대)                                           

   토론: 장미경(전남대)

2. 유기농업운동단체의 생명운동-정농회를 중심으로

   발표: 허미영(부산대)                                    

   토론: 허  장(농촌경제연구원)



<제 2 분과>  범죄 및 일탈                                                            사회: 이순래(원광대) / 109호

1. 차별적 가족구조와 청소년 성행위에 대한 인과요인의 변이

   발표: 김정규(계명대)                                 

   토론: 전영실(형사정책연구원)

2. 사회자본과 범죄학 이론

   발표: 신동준(계명대)                         

   토론: 황지태(형사정책연구원)



<제 3 분과>  북한사회                                                                사회: 전성우(한양대) / 113호

1. 한국통일의 사회통합 문제: 북한사회화의 효과

   발표: 전태국(강원대)        

   토론: 장세훈(동아대)                                   

2. 북한 어린이책에 나타난 바람직한 아동상에 관한 연구

   발표: 김은하(이화여대)               

   토론: 김석향(이화여대)



<제 4 분과>  도시공간 및 지역사회                                         사회: 설광석(동아대) / 114호

1. 아시아의 근대성과 공간환경의 재편

   발표: 조명래(단국대)     

   토론: 한상진(울산대)                                

2. 세계화 시대의 지역경제발전: 클러스터론과 세계생산네트워크론의 비판적 검토

   발표: 이용숙(싱가포르 국립대)

   토론: 김영정(전북대)

3. 도시 지역발전과 거버넌스의 변화: 부산․울산의 지역발전 정책 비교연구

   발표: 조형제(울산대)  

   토론: 윤일성(부산대)



<제 5 분과>  사회구조와 발전                                               사회: 김필동(충남대) / 115호

1. 태도, 확률 그리고 선택: 투표 예측조사의 경우

   발표: 이명진(국민대)     

   토론: 고종욱(안양대)                         

2. 변호사 선임의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 변호사 사무실 방문과 연결망의 강도

   발표: 김정철(고려대)     

   토론: 이동진(경북대)   

3. 동아시아 국가-기업관계의 특성과 동학: 한국·일본·대만 비교연구

   발표: 윤상우(고려대)     

   토론: 박재규(전북발전연구원)     


오찬 및 폐회                                   12:30 ~ 14:00 / 1학생회관 교직원 식당



☞ 충남대학교 캠퍼스 지도 바로가기

http://www.cnu.ac.kr:8888/cyberpr/tour/tour.jsp

충남대 사회학과 042-821-6331





사단법인 한국사회학회

(151-050) 서울 관악구 봉천동 875-7 미주하바드오피스텔 904호

TEL: (02)871-8747 FAX: (02)871-8748

MAIL: tksa@chol.com  

http://ksa.re.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