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코뮌주의는 마르크스주의와 다른 점이 많지만, 진정한 형태 즉 순수한 형태의 아나키즘과는 더욱 그렇다. 아나키즘 앞에 무정부주의적, 사회적, 신, 심지어 리버테리언 등 어떤 형용사가 붙어도 사정은 같다. 코뮌주의를 아나키즘의 한 변종으로 보는 것은 두 사상의 차이점을 간과하는 것이고, 두 주의가 민주주의, 조직, 선거, 정부 등에 대해 서로 상충되는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무시하는 것이다. 코뮌주의라는 정치적 용어를 만든 셈인 파리코뮌 투사 귀스타브 르프랑세는 단호히 선언했다. " (나는) 코뮌주의자다. 아나키스트가 아니다." 무엇보다도 코뮌주의는 권력의 문제에 관여한다. 자칭 아나키스트들입네 하는 이들의 소위 공동체운동과 사뭇 다른다. 공동체주의자들이 벌이는 사업의 예는 서민차고지, 인쇄소, 생협, 뒷마당 가꾸기 운동 등이다."
............................................
북친씨! 조금 급하신가봐요?!  결론부터 얘기하는 것이 좋겠다구요. 두괄식으로 사회적 생태론에 대해 말했으니 어서 코뮌주의를 집고 넘어가자구요. 아~~ 정 그렇다면? 내친 김에 달리죠. 귀를 기울릴까요? 그러지 않아도 급히 온 감이 있는데요. 안그래요! 북친씨!! 아니라구요. 결론부터 이야기하는 것이 오히려 쉬울 듯하다구요. 그래요. 밑져야 본전 아니겠어요. 후후.


 

당신 사상에 아나키즘 냄새가 풀풀 난다고 하는데 어떤 면에서 다르다는거죠. 순수한 아나키즘의 변종 아닌가요? 차이가 있다면 뭐죠. "민주주의, 조직, 선거, 정부에 대해 상충된 생각을 갖고 있다." " 그 가운데 권력의 문제에 관여한다."는 점에서 아나키즘의 와류와 근본적으로 달리한다면서요. 공동체주의자들이 한뼘공원, 생협, 텃밭가꾸기 운동에 올인한다면 뭐가 그들과 다르다는 겁니까?  좀 쉽게 설명해주세요.


 

2. "하지만 코뮌주의자들은 온 힘을 모아 시의회 선거에 참여한다. 왜냐하면 시의회는 잠재적으로 매우 중요한 권력의 중심이기 때문이다. 또 코뮌주의자들은 시의회로 하여금 법률적 권한이 있는 마을 회의를 만들게 한다....이렇게 만들어진 마을회의는 그런 국가기관들의 법적 지위를 박탈하고 무력화시키는 노력을 할 것이다. 그러면 법률적 권한을 가진 마을 회의는 권력행사의 실질적 엔진이 된다....다음단계로 자치체 간 동맹을 맺고 그 동안 국민국가가 했던 역할에 도전하게 된다."
..........................
온 힘을 다해 시의회 선거에 참여한다구요. 음~ 우리는 별반 생각없는 듯 한데요. 무엇을 해야하는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 그림도 없는데요. 있다고 해도 조직적인 차원이 아닌 듯한데요. 홀홀 단신 무엇을 건드려야 하는지 말에요. 그런데 시의회로 하여금 법률권한이 있는 마을의회?? 아니 마을의회를 만들게 하는 것이라구요. 북친씨!! 당신은 만들고 바꾸자고 말씀하고 있는 거예요. 구체적인 로드맵을 공유하는 것은 물론이구요. 당신 속마음은 거기에 있는 것인가요? 그 마을회의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무엇을 사회적 실험으로 할 수 있다는 거죠. 뭔가 있죠!! 물에 물탄 듯 다음단계로 자치체가 동맹을 맺고...슬쩍 넘어가지 마시구요.!!

 

3. "코뮌주의 정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민회에 참석하는 다양한 직업의 노동자들이 이해관계를 가진 노동자의 자격으로 참가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그들은 시민으로서 민회에 참석한다. 그러니까 직업은 특수 직종의 노동자지만 사회 전체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시민으로 참가한다는 말이다. 시민은 특수 이해관계를 가진 노동자, 전문가, 개인이라는 편협한 신분 의식을 버려야 한다. 자치체의 삶 자체가 이런 시민을 키우는 역할을 한다. 새로운 시민을 받아들이고 젊은이들을 교육한다. 결국 민회는 의사결정 기구일 뿐 아니라 복잡한 공동체의 문제, 지역의 문제를 다루는 가운데 사람들을 시민으로 키우는 교육의 장소이다."
............................................
또 도대체 알듯 말듯한 소리를 해대고 계시는군요. 민회?! 노동자의 자격이 아니라 시민의 자격으로 사회의 이해를 대면하여 참가하여야 된다구요. 지금 여기처럼 부문 이기심이 많은 곳에서 편협한 신분 의식을 버려야 한다구요. 자치체나 공동체가 다른 단계로 나아가는 수단 말씀하시는 건가요? 민회가 지역의 문제를 다루고 시민으로 키우는 장소가 되어야 한다구요. 음~ 이해하기 벅차군요. 권력을 만들고 갖는다에만 방점을 찍고 돌이켜 볼께요. 북친씨! 오늘 너무 많은 말씀을 하셨어요. 이것저것 헛갈리게 말입니다. ㅜ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