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나를 이렇게 만들었는가
주*샘, 장마가 오르락내리락 하며 불볕도 마다하지 않는 여름도 무척 깊어졌네요. 삼계탕이든 국밥이든, 영양보충을 해줘야 한계절 지낼 만 하다죠. 보양식과 함께 청원 부용에 있는 부강이란 동네가 떠오르네요. 세종시 편입 문제로 동네가 들썩였던 곳이기도 하고, 대전 갑천에서 흐르는 물과 청주 무심천을 따라 내려오는 강물이 합강하려는 부근이기도 하지요. 부강이란 동네를 다시 보게 된 것은 초원(장경숙샘)의 상상잡지 준비호 [캄캄한 하늘에 획을 긋는] 이란 비평글을 본 연유도 있네요. 일제에는 큰 시장이었기도 했고 가네코 후미코가 고모네집에 식모살이를 하다시피 한 곳이죠. 한번 걷고, 두번 걷고 골목길을 걸으며 그 간절함을 나눌 수는 없었지만, 이내 몸에 익숙해져 이제 그 길들과 아담한 시장풍경이 그립기도 하네요.
가네코 후미코를 생각하면, 러시아에서 미국으로 망명한 엠마골드만이 겹쳐요. 불우하다고 하기보다도 더 처참한 환경, 노예의 삶을 벗어나는 그녀들의 모습을 보면 가슴이 뜨겁기도 하고 벅차기도 하네요. 눈물겨운 삶 속에 어떻게 그렇게 꽃처럼 피어날 수 있는지를 보면, 상징자본이니 문화자본이니 하는 이론의 함정이 부질없이 보이기도 해요. 20대의 꽃다운 나이에 스러진 삶이 이렇게 다시 필 수 있다고 여겨요. 두 분다 아나키스트이죠. 역사에도 지워지고 발굴조차 되지 않고 있는 아나키스트는 무정부주의자로 폄훼되고 있는 실정이기도 하죠. 그녀들이 만났던 크로포트킨, 바쿠닌, 프루동.......가네코 후미코는 막스 슈티리너에게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들었어요. 온전히 번역된 번역서도 없는 실정이긴 하지만, 그 얘기도 살짝 들려주면 좋겠어요.
쓸데없는 소리를 주절주절 읊었네요. 초원님이 상상잡지에 소개한 가네코 후미코와 옥중수고를 이제서야 완간한 나는나란 제목의 책도 있더군요. 그리고 손수 디자인한 누가 나를 이렇게 만들었는가란 책 좀 소개해줘요. 이곳 인근에는 구룡포라는 통영 풍의 일본인 마을과 골목, 일제시대 아나키스트의 흔적이 많은 마을들 속에 있어요. 가네코 후미코의 연인이었던 박열의 고향이 이 근처이기도 하죠.
주*샘, 저도 같이 읽어보려합니다. 여름 더위를 식혀줄 안내독서가 되었으면 좋겠어요. 소나무 향기가 가득한 파도보러 가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