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가 개인의 상승을 허용하면서 보편적이고 합리적인 지식에 봉사하는 중립적인 제도라는 확신과 반대로, 부르디외의 사회학은 그것이 문화적 특권들을 재생산하는 중심기구들 중의 하나라는 것을 입증했다.


1. 민중 계급은 상징적 폭력에 굴복한다


- 교육관계는 암묵적인 전제에 근거를 둔 일종의 역관계이다.

학교체제는 피지배 계급들에게 지배 계급의 지식을 인정하도록 강요하고, 다른 합법적인 문화의 존재를 부인함으로써 이러한 합법화의 기능을 공고히 한다.

“의무교육 기간이 갖는 가장 눈에 띄지 않는 효과들 중의 하나는, 그것이 실질적으로 피지배 계급들이 알고 있는 지식과 수완(예를 들면 관습법, 가정의학, 수공업적인 기술, 오락이나 예술 등)을 가치 폄하하도록 이끌면서, 이들로 하여금 (법,의학,기술,오락이나 예술에 관한)지식과 적법한 전문 지식을 인정할 수밖에 없도록 한다는 것이다....”

학교는 ‘차이들에 무관심한’ 척하면서, ‘교육 부재의 교육’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실상 ‘상속자들’만이 접근 가능한 암시된 것과 암묵적인 것을 배양한다.

 

- 여러 다른 문화들 사이의 관계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문화 동화를 야기시킨다

부르조아의 언어는 언어와의 일정한 관계, 추상화와 형식주의 그리고 주지주의를 추구하는 일정한 경향, 학교의 언어 규범에 속하는 온갖 특징들을 드러낸다. 민중언어는 반대로 특수한 경우를 과대평가하고, 학교의 요구와는 반대로 구조화된 논증을 개진시키지 않으려는 경향을 두드러지게 나타낸다. 학교 문화의 획득은 이처럼 상징적 폭력의 한 예가 될 수 있는 듯하다. 실제로 이는 마치 피지배 계급의 구성원들이 외국어를 배워야 하는 상황과도 같다고 할 수 있다.

 

- 정원의 증가는 학위의 가치를 변화시켰다.

“문화적으로 가장 빈곤한 가정 출신의 학생들 혹은 대학생들은 때로 과도한 희생을 치르기도 한 오랜 교육기간을 마치고서 가치 절하된 학위하나 얻는 것이 고작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학위 인플레이션)


2. 사회계급들은 그들의 전략에 따라 차별화된다

 

- 교육체제의 이용은 불균등하다

..교직자 자녀들이 자격증없는 노동자들의 자녀들에 비해 중등교육과정 2학년에 진입할 기회가 3,4배 더 높다...집안으로부터 모범적인 사례나 지침을 물려받은 태생이 좋은 학생들은 유리한 전공과정, 훌륭한 기관, 전망있는 분야에 투자할 수 있다. 반대로 아주 가난한 집안 출신의 학생들은 점점 복잡해지는 세상속에서 극도로 축소된 문화적 자본을 나쁜 시기에 잘못된 방향으로 투자하게 되어 있다.... 이 전략들을 살펴보면 우리는 사회의 요직에 이를 수 있는 가장 명망 있는 제도에 접근하는 것이, 여전히 지배계층의 특권임을 알 수 있다. 반대로 가장 빈곤한 계층 출신의 학생들은 하위로 밀려난 전공 분야로 몰리게 된다.


* 밑줄 그어둔 것을 옮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