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노동계급의 형성 -상
에드워드 파머 톰슨 지음, 나종일 외 옮김 / 창비 / 200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동자들이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 톰슨의 '영국 노동 계급의 형성'은 노동 계급이 무지하고 난폭하다는 자본가들의 루머에 대한 강력한 문제 제기이며 노동자가 지닌 창조적이고 적극적인 역능에 대한 부인할 수 없는 증거이다. 이 책 앞에 달린 수많은 수식어와 그 역사적 의의를 논하기 이전에 이 책은 어느 영웅담 못지않게 흥미진진하고 감동적인 이야기책이라는 점을 먼저 말하고 싶다. 이 책은 1790년대 초의 런던 교신 협회의 활동부터 1832년의 차티스트 운동까지 영국 노동 계급의 완성에 이르는, 억압 속에서 자신의 인간다운 삶을 찾기 위해 단결하고 자신의 삶과 역사의 주체로 일어서는 영국노동자들의 서사시 같은 장대한 투쟁의 기록이다.

우선, 톰슨이 사용하는 계급이라는 개념이 그 톰슨 이전의 계급 개념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톰슨 이전에는 계급이라는 것을 현상파악을 위한 사회 과학적 개념, 범주, 혹은 맑스에 따라서 경제적인 생산관계에 따라서 결정되는 물체 혹은 구조로 보는 경향이 강했다. 그러나 톰슨에 의하면 계급이라는 것은 하나의 문화 현상이다. 톰슨은 계급이라는 것을 노동자들의 마음 속에 일어나는 하나의 의식이라고 파악한다. 따라서 이러한 계급에 대한 정의에 따라 '영국 노동 계급의 형성'에 몇 가지 중요한 특징들이 생겨나는데 우선, 계급 형성이 일종의 문화적 현상이라 할 때 프랑스 혁명과 같은 외부의 사건보다는 당시 노동자들이 지니고 있었던 문화적 전통이 노동 형성에 중요한 특징으로 떠오르게 된다는 점이다. 또한 계급은 경제 구조에 의해 단순히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노동자들의 투쟁 과정에서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노동자들의 주체적인 활동이 중요하게 부각된다. 즉 여기서부터 '아래로부터의 역사'가 시작되는 것이다.

톰슨에 의하면 당시 노동 계급의 형성은 노동자들의 삶이 피폐화되는 데에 대한 수동적인 반작용이 아니었다. 기존의 노동사 연구를 통해 비춰진 노동자들의 모습은 새로운 진보에 적응하지 못하고, 난폭하고 음주를 즐기는 무절제한 집단의 모습이었다. 그러나 톰슨은 노동자들을 절제하고 스스로 만든 규칙을 지키며 이성적으로 행동하는 집단으로 묘사한다. 일례로 러다이트 운동이 단순히 기계 문명에 대한 거부라는 반동적인 성격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노동자들의 전통적인 '도덕경제'적인 가치를 지키기 위한 것이었음이 톰슨의 연구를 통해 드러난다. 따라서 노동자들이 거부했던 것은 산업혁명 그 자체가 아니라 산업혁명을 둘러싸고 있던 여러 정치적 억압들, 노동자에게 저임금과 고된 노동을 강요하는 자본가와 국가 그리고 그것을 뒷받침하는 이데올로기들이다. 그러므로 톰슨에 의하면 노동 계급의 형성에 이르기까지의 영국 노동자들의 투쟁은 절망에 의한 폭동도, 유토피아적 향수에 의한 반동적 운동도 아닌, 산업혁명 후의 사회를 인간적으로 만들기 위한 헌신적인 투쟁이다.

톰슨의 책은 '우리는 이 시대의 영웅적 문화를 꽃피운 그들에게 감사할 만하다'라는 감동적인 말로 끝난다. 그러나 이후에 나온 실증연구에 의하면 영국의 노동 계급들이 제국주의에 전혀 적대적이기 않았고 오히려 제국주의가 노동자들로부터 올라오는 '아래로부터의 압력'에 의한 것이었다고 한다. 그리고 노동 계급 역시 백인 남성이라는 자기 계급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고 한다. 하지만 노동 계급 역시 그 시대의 한계를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고 해서 당시 노동자들의 운동을 폄하할 수 있을까? 영국 노동계급들이 당시에 보여줬던 영웅적인 기록들은 당시의 시대적 맥락 안에서 평가 받아야할 것이다. 따라서 '영국 노동계급의 형성'이, 단순히 이 책이 가져온 인문사회과학의 방법론적 혁신으로만 평가된다면 안타까운 일이다. 오히려 폭압에 대항하며 역사의 주체로 일어서는 노동자, 보통 사람들의 역능을 생생히 증언하는 그 내용이 더욱 소중하지 않나 생각해 본다. 끝으로 강산도 변한다는 10년을 한 작품의 번역에 쏟은 역자들에게 감사를....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울 2005-01-25 13: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제 지인 술자리로 향하던 중, 건축일하는 친구이야길 한다. 일거리도 없고 아이들 먹여살리기가 힘들다고 '죽음'을 생각해보았느냐구 해서 '멍청한 생각'하질 말라고 했단다. 그러면서 둘이서 대작을 주거니 받거니하면서 폭음을 하였는데, "삶과 죽음"의 경계에 대해 자꾸 시선이 간다. 부르디외의 아비투스..노동계급의 코드가 베여 있는 절망을 반복한 시선은 어떨까? 삶과 죽음은 늘 같은 시선으로 반복될 것이고, 그 경계에 대한 심각한 절망도 고독도 옅어지는 것은 아닐까? 너무 가진것?이 많아 소자본가의 코드로 인해 죽음에 대해 담을 쌓아두고 이해했던 것은 아닐까?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다면... 솔직함과 건강함이 노동계급의 미덕이라고, 내일 하루 품팔려면 지나친 음주, 사치스러우면 그만큼 고통이 따르기에 사치스러울 수도 없는...

당신들로부터 그런 습관을 배우지 못하고 있는 것일까? 살림살이도, 아름다운 죽음을 위해 건강한.... 나의 얄팍한 삶의 태도에 대해 주저스럽다.

톰슨 책을 보고 싶다. 계급은 그 구성원들이 유형화된 관계, 제도, 관념들을 정립함으로써 가시적으로 만들때만 비로소 가시적인 것이 된다는, 계급 형성은 정적 형성이 아니라 능동적 과정이라는 톰슨의 책을 보고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