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파란여우 > 독서에 관한 18문답

1. 책상에 늘 꽂아두고 있는 책이 있는가? 있다면 무엇?
 책상보다는 개다리 소반?을 좋아함. 여기저기 널어놓고 봄. 도서관에선 쌓아놓고 봄.

2. 어쨌든 서점에서 눈에 뜨이면 사지 않고는 못 배기는 종류의 책들이 있는가? 있다면 무엇?
: 시집, 인문사회과학 서적 - 우연히 들러 꼬옥 시집 한권은 딸려나온다. 그리고 인문사회과학 서적.하지만 이상한 것은 이과 출신임에도 자연과학-공학책에는 손길이 잘 가질 않는다. 병?인가?

3. 올해 읽은 책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책은? :
: 혁명의 시간, 리오리엔트, 친밀성의 구조변동(성,사랑,에로시티즘), 현대사회학


4. 인생에서 가장 먼저 '이 책이 마음에 든다'고 느꼈던 때가 언제인가?
: 초등학교 시절 위인전집(계몽사-헛갈려요.?) 이 책꽂이에 꽂혀있었다. 무심코 읽었는데..그리고 책과는 머언 사춘기시절. 칠순을 지난 부모님의 자식에 대한 손길이었다는 것을 생각하면 내용을 떠나 그 고마움과 따뜻함이 느껴짐. 어디 헌책방에서 구할 수 없을까?

5. 인생에 큰 영향을 미친 책이 있는가? 있다면, 어떤 책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 .별로 생각나지 않는다. 고등학교 아무생각없이 읽었던 이광수 '무정', 대학시절 뭣도 모르고 읽었던 불온?서적, 과 헤르만헤세책 몇권, 그리고 철나서도 읽고 있는 철학류의 책들의 행간이 계속 맘을 흔드는 것 같다.

6. 단 한 권의 책으로 1년을 버텨야 한다면 어떤 책을 고르겠는가?:
... 세계의 종교, 요즘 관심이 여기에 가있어서인가? 암튼 내년 1년 한권으로 버티라면 두꺼운 책을 수면용, 피로회복용, 명상용, 기억력 시험용 등등 다용도로 써먹을 수 있을 것 같다.

7. 책이 나오는 족족 다 사들일 만큼 좋아하는 작가가 있는가?
: 신경림,나희덕,김동춘,박노자,신영복

8. 언젠가는 꼭 읽고 싶은데 엄두를 못 내고 있는 책이 있는가? 있다면 무엇인가?
: 소설책과 고전들 - 토지,아리랑,삼국지,사기 등등

9. 헌책방 사냥을 즐기는가, 아니면 새 책 특유의 반들반들한 질감과 향기를 즐기는 편인가?
: . 잡식...여기저기 동네서점,할인매장,인터넷서점: 헌책방도 좋은데 대전에도 좋은데가 있다던데.. 한번 걸리면 가만두질 말아야쥐..

10. 시를 읽는가? 시집을 사는가? 어느 시인을 가장 좋아하는가? :
자주 읽는 편이구, 자주 사는 편임. 늘 한결같음에 신경림, 고은 여린 뼈있는 서정의 안도현,정호승.... 새로움 나희덕, 삶과 한결같은 이면우...의 삶이 우러나오는 시인들... ... 때론 시 한편에 맘을 온통 뺏겨 서성거릴때도 있다.

11. 책을 읽기 가장 좋은 때와 장소를 시뮬레이션한다면?
. 주말 도서관이나 평일 모임 없는 날, 도서관에 들러 15분씩 짤라서 집중독서할 때. 또는 일요일날 저녁 거실에서 책 쌓아두고 소반에서...

12. 혼자 책을 읽으면서 조용히 주말 오후를 보낼 수 있는 까페를 한 군데 추천해 보시라.:
: 그것보단 행선지까지 시간 많이 걸리는 버스편에서 읽는 책들이 좋더군요. 가끔 서울가고 오는 길 버스안도 편안하고, 그러다가 드는 꽃잠도 참 맛이 있더라구요.


13. 책을 읽을 때 음악을 듣는 편인가? 주로 어떤 종류의 음악을 듣는가?:
. 가리지 않는데도 요즘은 신경에 거슬려요. 나이가 들었나봐요. 텔레비전 틀어놓고도 동요하지 않았는데..

14. 화장실에 책을 가지고 들어가는가? 어떤 책을 갖고 가는가? :
 . 그림 많거나, 얇은 책, 잡지류


15. 혼자 밥을 먹으면서 책을 읽는가? 그런 때 고르는 책은 무엇인가?:
. 가끔 음식점에서 혼자 식사하게 될 때, 새책을 사고 궁금해 죽겠을 때, 멀티 액션을 한답니다. 양해해주세요.

16. 지금 내게는 없지만 언젠가 꼭 손에 넣고 싶은 책이 있다면 무엇인가? :
  피와 살이 되는 동서양 고전들... 물론 앞 뒤 맥락을 알고 난 뒤, 소장하고 싶은 욕구가 생기는 것들이죠. 그 전엔 무의미할 것 같아요. 심심찮게 맘에 들어오는 책들이 보입니다.


17. e-book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e-book이 종이책을 밀어낼 것이라고 보는가? :
.  PDA로 지하철 오가는 서울 생활에서 간간이 보았는데요. 아무래도 문자세대고 여건이 바뀌니 쉽지 않네요.  아직 무겁고 불편해요. 책을 보기까지 단계도 많이 걸리겠죠. 효율성과 우리 습관의 문제가 동시에 걸려 있죠.

18. 책을 읽는 데 있어서 원칙이 있는가? 있다면 무엇인가?:
. 무대뽀입니다.  원색적 욕구를 자극하는 것이면 가리지 않아요. 편향이 문제지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가을산 2004-12-21 14: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여울마당님도 풀으실거죠? ^^

여울 2004-12-21 15: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끙끙. 힘드네요. 휴~우.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