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비평과 비난사이__반짝반짝 삼랄회(신랄~,발랄~,지랄~)
  - 신랄할 책한권, 발랄하여야하는 발제자, 지랄할 참여자(준비)
 


 - NL/PD 논쟁은 아직 유의미한가? 바라보는 이의 관점, 살아가는 이의 관점, 유지하고 있는 이의 관점, 현실에서 합이 가능한 지점은 무엇인가?
 - 지역의 전교조교사, 교사와 사회활동, 어떻게 나누고 세울 것인가?
 - 연구단지 노조 바라보는 이와 참여하는 이, 그리고 그 중간의 여백을 어떻게 채우고 보듬을 것인가?
- 시민단체 왜 권력감시만할까? 왜 이해는 생각지도 않고 가치가 주구장창인가?회원과 친밀도를 높이는 것은 불가능한가?
- 학생운동 과연 불가능한가? 할 수 있는 접점들에 대해 고민해보나?
- 주민운동, 풀뿌리, 나는 왜 풀이 아닌데 가능한가?
- 삶을 섞다. 따로 또 같이 살다. 어떻게 가능한 삶을 튕겨보다
- 공동체, 도시 또는 시골. 다 가능한가? 모두 가능하지 않은가? 왜, 무엇때문인가? 어떻게?의 문제인가?
- 월50만원으로 기획해볼 수 있는 활동에 대해? 얼마나 오래동안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당신의 아이디어는? 당신이 1년동안 해보고싶은 활동은?
- 운동을 섞다. 활동을 섞다. 함께 하고싶은 단체, 함께 기획해보고 싶은 꺼리들
- 왜 선거때만 되면, 지역은 지역다운 전략을 못쓰는걸까? 왜 선거때만되면 연대인가? 왜 선거전에는 다 남남일까? 왜 일상에서는 만나지조차 못하는가? 만나거나 섞을 수 있는 넛지는 없는 것일까?
- 국회의원 왜 줄어야 하나? 늘어야 한다.
- 왜 대학교수 줄여야 하나? 늘어야 한다.
- 소비보다 직접 생산을 장려하는 분위기라면 수강보다 직접 강의....작품....
 

** 위 꼭지 하나씩 신랄한 텍스트 하나. 중심에 있는 발제자, 그리고 지랄할 각오를 한 님들... 


2.

                            A4지 한장의 만남
( 일상과 삶이 녹아있는 만남 )
- 오시는 분들은 유명한분이나 아니나 달랑 한쪽만 준비해주세요. 글씨가 크든 적든 관계없답니다. 


- 내 인생에서 제일 설레일 때?
- 올해 여기 모임에서 가장 기쁜 날? 올해 가장 열받는 날?
- 가족이 합쳐진다면~, 민중의 집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 귀농을 왜 생각해봤는가? 보는가? 왜 생각하지 않는가? 왜 가르는가?
- 가족? 당신은 무엇이라 생각하나? 홀로가족? 또 다른 가족-가족의 연대의 삶은 불가능한가?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 친구?
-   



 


3. 



백만원 받고, A4지 3장의 에세이  

- 당신의 삶과 주제를 걸어라, 무엇을 하고 싶은가? 도와주겠다. 진심으로 온몸으로~

 


4.

- 찾아가는 강연회시리즈는 가장 먼저 참*란 모임에서 시도한 것 같은데 다들 지적소유권을 주장하지 않는다고 아무말도 하지 않는 걸까?

- 글꼭지에 가장 먼저 0.을 쓴 것 같은데 다른 이는 왜? 0을 쓰는 것일까? 쓰기 시작한 것일까?

- 왜 여기 서재는 사회적이슈를 다양하게 품으며, 새로운 아이디어의 산실이 되지 못하는 것일까? 그렇다고 신변잡기의 산실도 되지 못하는가? 사회적 이슈를 만드는 기술이 너무 없는 것은 아닌가? 물밑 연결망은 살아있는가? 공감하는 아픔이란 것이 서로 다른 것이 아닌가? 공감하는 아픔의 경계가 서로 넓어질 수 있는 방법은 없는 것일까? 왜 자유주의적 주부는 주제의 공론화를 꺼리는 것일까? 왜 농담에 까르르 함께하지 못하며 농담이 자라지 못할 정도로 진지한가? 가벼움은 왜? 섹시함은? 왜 디테일한 경망이라고 꼬리표를 붙여야 하는가? 왜 오프모임은 자라지 못하는가?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