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셀은 이성과 충동으로 구분한다. 이성은 충동보다 행동을 하게 하는데 약하다고 한다. 충동은 목적을 채우고자 하는 욕구와 맹목적 충동으로 나눈다. 충동 가운데 행동을 유도하는 것은 욕구보다 맹목적 충동이라고 한다. 행위를 이끄는 충동은 파괴적인 충동과 생명력을 갖게 하는 것으로 나뉠 수 있다. 파괴적인 충동이 전쟁과 같은 행위로 이어진다면 생명력을 갖게하는 충동은 과학,예술,문학으로 낳는 본능이라고 한다.

일상의 수많은 행동을 낳는 것은 이성의 힘보다 오히려 충동의 힘이 대부분이며 중요한 것은 그 충동을 긍정적인 합으로 이끌어내는 것이 관건이다. 제도도 그러하다. 인류는 아직까지 충동의 힘을 이끌어내는데 미숙하다. 경제조직의 본질이 이윤을 추구하는 의도를 갖기에 성원의 창조적 충동을 본질적으로 살릴 수 없는 공동체이다. 

 

뱀발. 1916년 전쟁의 와중에 강연한 내용들을 모은 글이다. 행복사회 재건의 원칙이 원제라고 한다. 첫장이 이 강연과 글을 쓰게 한 동기인데, 어쩌면 행동경제학의 원류인 듯도 싶지만, 이성과 의도보다 충동이 본능적이고 행위나 행동을 따르게 한다는 점에서 놀랍기도 하다. 그의 논리가 쉽고도 명쾌한 듯 싶은데, 모임이나 공동체가 합이 되기위한 방편도 사람에 대한 인식론과 존재론이 바뀐다면 이 이후의 서술도 바뀌어야 될 듯싶다. 충동적인 존재다. 바뀌고 변화한다라고 하면 의도나 조직의 목적과는 달리 운영이 되는 경우가 태반이다. 민주주의가 주장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고 이렇게 관점을 달리하면 또 다른 틈이 보이기 시작할 것 같다. 

이렇게 틈들을 좀더 가슴으로 가져가 숙성을 시켜보면 어떨까? 모임이나 조직의 성과, 공동체는 어떤 방향을 가져야 하는 것일까? 

빌린 그림도서 몇권을 들척이다 꼭 봐야지 하며 든 것이 한시가 넘었다. 덕분에 지각인데 아무래도 책때문이 아니라 달님으로 인한 듯 싶다. 

충동이 해소가 되지 않을 경우, 더 파괴적인 결과로 이어지며, 몸의 격한 자극으로 해소될 수밖에 없다. 긍정적 충동이 해소되지 못한 그늘은 또 다른 모습을 갖게 된다. in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