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 한마지기, 고등어 한손 그리고 난초 한촉(酌)
목련이 익어 유성처럼 툭툭 떨어질 듯 싶다. 맑스의 자본론 제1장을 읽는다.
20아마포=1저고리
를 놓고 이렇게도, 저렇게도, 경우의 수를 고려하여 이 얘기도 저 얘기도 한참을 이야기한다. 가치형태에 대한 모든 배려를 하는 듯이, 산은 이야기하지 않고 여기저기 나무들 꽃들에 대한 수다다. 그러다가 개인적인 생각을 툭툭, 정작하고 싶은 이야기는 압축을 해놔서 몇번이고 되돌이켜 읽지 않으면 빗나갈 정도로 해놓았다 싶다. 작은 고개에서 풍경을 보고 쉴 즈음에 다가 톡톡 서문에서 봤던 얘기를 슬쩍 건들여놓는다 싶다.
등호 =는 산술의 등식이 아니었다. 물신의 이면에서 보이지 않는 그것을 보게 하는 다양할 것을 권면하는 장치는 아닌가? 이전의 경제학자들이 보지 못하거나 뒷심이 부족해 결코 보지 못했던 추상적 노동에 대해 이야기한다.
뒷풀이엔 젊은 친구와 *보*당 친구와 이야기를 나눈다. 첫강의보다는 나았다는 평으로 시작한다. 마지기가 수확기준이라는 이야기, 고등어한손처럼 도량형의 통일이 어쩌면 이렇게 몸말이나 느낌이 살아있는 말들을 죽이고 있다. 표준어와 사투리처럼 획일화의 문제점들에 대해 콕콕 짚어본다. 청년 맑스의 행간을 보며, 뭔가 통찰을 알려주고 싶은 마음이 불쑥거리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때로는 격하기도 하고, 때로는 에둘러 보이기도 하고, 이렇게 고전을 보는 재미는 요약본과 해설서의 번역과는 남다르지 않은가 하고 말이다. 고전의 생명력이란 늘 전후시대적 맥락이 이해되어야 한다.
아리스토텔레스도 잠깐 나오지만 그는 [좋은 삶]을 이야기했다. 그 이후에 번진 자유, 평등, 박애를 나눠 이야기하지 않았다. 앞집 형과 같은 이가 맥주한잔하며 [좋은 삶]에 대해 이야기는 표준어나 도량형이 통일된 회색톤이 아니었을 것이다. 들으면 가슴이 울렁거리고 손발이 꿈적거리는 몸말이지 않았을까? 가끔 고전을 읽는다는 것은 멋진 선배, 친구, 연인을 제대로 사귄다는 이야기일 것이다. 그렇게 고전이야기를 보탠다. 그 점에서 맑스는 글감으로 보건데, 가슴이 따듯하고 두루두루 살필 줄 아는 친구이자 하고픈 말이 많은 친구는 아닐까?
한친구와 교육와 교양의 힘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다. 진보는 가분수다. 머리만 큰. 당장만 관심이 있다. 헌데 시간의 길이에 바래지 않을 수 있을까? 바래지 않으려면 방법은 없을까? 책읽는 인문학모임을 내심 바라지 않은 것은 아닐까? 현안이 산적해있는데... ... 시간을 길게 잡으면 다들 문화, 교양, 교육이 필요하다고 한다. 그런데 이렇게 시간에 쫓기고 머리의 의욕이 가슴도, 손발도 감당하지 못하는 체계에 대해서는 고민이 없거나 감당하지도 못하는 것은 아닐까?
어쩌면 당원이나, 단체의 회원을 그저 소비자처럼 개인으로 환원시켜 보는 것에도 한가지 원인이 있는 것은 아닐까? 서사적인 나, 이웃의 이웃, 이웃의 3승처럼 연결되어 있는 그물속의 나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저 가입을 시켜야 하는 개인으로만 보는 것은 아닌가? 머리말만 겹쳐는 것이 아니라 몸이 겹치고 겹쳐, 한 일곱번쯤 겹쳐야 친구의친구에게 진심이 동심원처럼 퍼지는 것이 현실 아닌가? 그렇다면 이념이나 하고자하는 정치적 판단을 주입시켜서 당장을 끌고 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관심을 둬야하는 것은 당원이 회원이 끌고 가는 아우라를 함께 봐야하는 것은 아닐까?
함께 느껴야 하는 가슴이 먼저이고 그 다음에 이념과 정치적 양식을 담을 수 있는 것은 아닐까? 그런면에서 진보는 순수한 것이 아니라 순진하기 그지 없는 것은 아닐까?
제발 가입해주세요라고 애원하는 것보다, 친구의친구의 아우라속에 몸의 겹침이 일곱번 있는 것과 어느 쪽이 회원가입율이나 당원 가입률이 높을까? 해보기나 한 것일까? 그런면에서는 다단계나 보험의 집요함은 벌써 과학과 철학을 몸으로 넘어서고 있는지도 모른다. 돈만 관심이 있어서 그렇지만... ...
[ 강독 조금 + ]
제1장 상품
서울대에서 자본론 강좌가 개설되었으나 취업란 등 세상의 변화에 따라 100명에서 점점 줄어 폐강된 상태이다. 자본론 강좌라기보다는 그렇게 할 경우 강의자의 주관이 들어가기 때문에, 자본론 읽기라는 형태로 진행한다.
제3절 가치 형태 또는 교환가치
가치가 노동시간이지만 그것으로는 물건을 살 수 없다. 형태란 그것을 표현하는 것인데 3절에서는 화폐를 말하고 있다.
A. 단순한, 개별적인 또는 우연적인 가치형태
B. 전체적 또는 전개된 가치형태
C. 일반적 가치형태
D. 화폐형태
모든 가치형태의 비밀은 이 단순한 가치형태 속에 숨어 있다. 그러므로 이 가치형태의 분석이 우리의 중요한 난관이다. 상품은 자기의 가치를 상대적 가치로 표현한다.
64 상이한 상품들 사이의 등가의 표현이 상이한 상품들에 들어 있는 각종 노동을 그것들에 공통된 것[즉, 인간노동 일반]으로 실제로 환원하고 있기 때문에 가치형성 노동의 독자적인 성격이 드러나게 된다.
66 저고리가 아마포의 등가로 되는 가치관계에서 저고리의 형태는 가치형태로 간주된다....아마포의 가치로서의 존재는 아마포와 저고리와의 동등성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마치 기독교도의 양과 같은 성질을 기독교도=신의 새끼양이라고 표현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73 어떤 물건의 속성은 그 물건과 다른 물건과의 관계로부터 발생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그러한 관계 속에서 실증되는 데 지나지 않는다...경제학자의조잡한 부르주아적 안목은 이 등가형태가 완성되어 화페로 자기 앞에 나타날 때 비로소 이 신비성에 주목하게 된다....그는 20미터의 아마포=1개의 저고리라는 가장 단순한 가치표현이 벌써 우리가 풀어야 할 등가형태의 수수께끼를 제기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지 못한다.
79 노동생산물은 어떤 사회제도에서도 유용한 대상이지만, 그것의 생산에 지출된 노동이 그 물건의 ‘객관적’ 속성, 즉 가치로 나타나는 것은 오직 역사적으로 특수한 발전단계에 속하는 일이다. 바로 그러한 발전단계에서 노동생산물이 상품으로 전환된다.
|
<< 펼친 부분 접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