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공공 정치철학 강좌가 열리다. 처음. 며칠 뒤 꿈자리엔 풀뿌리 멤버가 옆자리에 있다. 마음에 드는 이들을 만난다는 자체가 쉽지 않다. 하물며 활동하는 친구들과 진지하게 생각을 섞을 기회는 더 쉽지 않다. 좀더 보태어 생각의 타래를 한번 쯤 함께 어루만져야 할터인데 그런 일들은 영원히 놓친 듯하다. 그들 각자의 길을 빠른 속도로 통과만하고 있는 것이 지금의 상황은 아닐까?

샘이 김규항의 [야! 한국사회] 칼럼을 복사해서 나눠준다. 그리고 한마디 마디 읽어간다. 원칙적인 좌파라고 여기지만 그는 시장을 인정한다. 핀란드의 사례에 밑줄은 긋다. 그리고 또 따라가면서 밑줄은 긋는다. 그는 대중과 엘리트의 관계를 어떻게 규정하는가? 대중은 우매하다? 씨알인가?

그리고 똥벼락이란 동화책을 건넨다. 부자에게 똥벼락을 내리고 돌쇠아범편을 든다. 내용인즉 기본적인 재산권을 인정한다. 공공 정치철학 측면에서 보면 고전적 자유주의 사상을 다룬다. 반면 레위기의 희년 이야기는 49년동안 토지를 이용하고 토지를 다시 돌려줄 것을 이야기한다. 전통적인 사회주의 사상이다.

시장과 민주주의를 인정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면 우리는 얼마나 다르게 판단하고 이야기할 수 있을까? 무슨무슨 주의자란 딱지를 붙이기 전에 나누고 확인해볼 수 있는 것은 없을까?  그렇게 우리들의 사상이나 이념의 지도를 그려내고 구분해내어 보는 일이 함께 나눌 과제이자 강좌의 포인트라고 한다. 자신의 궤적을 돌아보기도 하면서... ...

 

 

 

 

2.

총회다. 곡절을 담은 터라 안스럽고 답답하기도 하다. 삼성 백혈병관련한 이야기가 나오다가 뒤풀이에 다시 한번 되짚게 된다. 한국타이어 사망자대책도 직접적인 관련자가 있어 견주게 된다. 해결이 아니라 지원이란 사실을 잊고 있던 것은 아닌가? 우리는 그래도 시간에 대해 안달을 하는 것이 아니라면? 위상을 달리 생각해볼 수 있는 것은 아닌지? 공정별 유해물질, 그리고 유해물질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부수적으로 행해져야 한다면,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제조공정을 파악할 수 있고, 공정별 자료와 데이터를 모아둘 수 있다. 굳이 삼성이고 한국타이어가 아니더라도, 제조과정에 미치는 영향은 동일하다. 삼성과 한국타이어의 사자의 넋을 달래주지 못하더라도 유사한 공정에 지금 당장 일하는 이들을 위해, 그리고 사회에게 경고카드를 날려줄 수 있다. 배워서 그들에게 줄 수 있는 경로가 있다. 일터로 가기전 실험하는 실험실의 위험도 알려줄 수 있다. 



뒤풀이를 하다가 자*론 강좌이야기를 나눈다. 그런데 다들 강좌엔 선입견이 있는가 보다. 주최가 누구이며? 의도가 무엇인가?라고 말이다. 결과가 아니라 함께하는 이들과 나누게 되는 과정에 방점이 있다라고 설득하는데도 한참이 걸린다. 사람들의 생각을 겹치게 하고, 이왕이면 그것을 계기로 다양하게 가져가면 좋겠다. 사심이라면 이것이 사심이겠다 싶은데 말이다.

3.

공정여행 사회적 기업의 청년과 만남 그리고 느낌들... 


스물다섯. 그리스인 조르바를 군대에서 읽었다 한다. 인상적이어서 옥상에서 눈오는 날 맨발로...그리고 물리도록 먹게 만드는 방법에 진*샘, 그리고 조르바댄스를 보여준다. 이야기가 무르익을 무렵 청년은 386세대론을 묻는다. 꽃이 핀이들이 아니라 묵묵함과 그 빙산을 바치고 있는 나머지를 나눈다. 느낌이 조금 겹칠 수 있을까? 외삼촌의 아픔을 계기로 선택한 일과 공부를 또 다른 각도에서 보려는 열림이 마음에 든다.  

 

 

 

 

뱀발. 

1. 느낌에 대한 이야기를 반복해서 나눈다. 활동(운동)하는 이들 역시 머리란 표준어만 쓰려고 노력한다. 일을 좋은 결과만 해석해서 자신의 단체에 적용하려는 것이 유행이다. 하지만 모임마다 유사한 일을 하는 것이 의미가 있느냐는 반론이 있다. 모임과 모임이 서로 기댈 줄 아는가? 이렇게 소통이 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린 사투리를 폄하한다. 가슴의 말과 느낌의 말들이 있는데, 그것들은 쌓이고 저축되지 않는 것이라고 착각한다. 그래서 생각을 가다듬을 때면 모든 사고를 사투리는 걷어내고 머리란 표준어만 들이댄다. 그래서 안된다. 느낌도 겹치면 온도가 오르는 것이며 뜨끈뜨근해졌을 때가 되어서야 이제 머리를 불러들이는 것이다. 무슨 일을 해야 되는지? 말이다. 

호객행위가 그쯤 되어서 가능하다.  대부분 지식이란, 공부를 하고싶단 생각은, 불쑥 예쁜 여선생님이나 총각선생님에게 반해 설레임에서 시작한다. 아니면 머리를 한대 맞은 듯 불쑥 느낌이 들어서야 허겁지겁 거꾸로 지식을 탐하게 되기도 한다. 청춘이란 것은 나이의 많고 적음에서 기인하는 것은 아니다. 피카소가 늙다고 창조성도 열정도 없다고 할까? 젊다는 것은 있는 것에 얼마나 예민한가의 문제이기도 하다. 느낌이 화끈화끈거려 무엇인가 하지않고 못배길 젊음이 생기게 하는 것은 나이와 큰 연관은 없다. 

지역의 모임들을 생각해보면 지나치게 냉정하기 때문이고, 두번째는 서로 기댈 경험이 부족하고, 세번째는 결과보다 과정을 보는 눈들이 지나치게 부족하다는 점이다. 그 점들만 깨우친다면 벌써 저만큼 성큼성큼 더 멋진 행보를 하고 있을 것이다. 느낌들이 모이다보면 생각을 끓게 만들 것이다. 그리고 서로 궁금하고 필요해서 안달하게 될 것이다. 아마!!! 

2. 참터 총회를 하다가 낙서를 한다. 그리고 지운다. 아무래도 이건 아니지....정말 아닐까? 

앎이 끓어야 느낌을 낳고, 느낌이 끓어야 깨달음을 낳고....느낌이 부딪쳐야 앎을 낳고, 느낌이 빚져야 기대게 되고, 몸이 겹쳐야 뜨거움을 낳고, 뜨거워져야 너-나를 구분짓지 않고.. 

3. 일터일, 모임들이 겹치고, 겹치기 출현 등등 바빴다. 곤한 잠이 그리웠는데 꿈자락에도 연신 일을 해대어 잠도 밉다.


댓글(2) 먼댓글(1)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거미줄과 이슬
    from 파란여우의 뻥 Magazine 2011-04-04 20:10 
    낮에는 꽃샘바람이 쌀쌀하지만 아침엔 봄기운이 확연하다. 울타리의 수수꽃다리는 연한 초록 새순이 멍울이 져 있고 개나리도 조금씩 몸을 키운다. 매화나무는 눈에 띄지 않는 속도로 더디게 부풀어 오르고 수선화는 좀 더 기다리라고 주문한다. 집 앞의 벚나무에 아침마다 참새, 박새가 날아와 구애의 휘파람을 불고 간다. 곧 팝콘같은 환한 꽃망울을 퐁퐁 터트릴 것이다. 꽃을 보고 싶은 여념으로 예전에 찍었던 이슬 사진을 모아봤다. 거미줄에 매달린 이슬이다. 이슬..
 
 
쥐똥나무 2011-03-27 21: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우리 서로 '생각'을 묻지말고 '느낌'을 물어보자.
생각을 물으면 '머리'로 답하고
느낌을 물으면 '가슴'이 답한다.

오늘 하동 아지메님댁에 다녀왔어요.
이제 죽음을 향해가는 인생고개에서 노년의 삶의 에너지는 어디서 오는걸까?
생각이 많았는데
섬진강 매화꽃 속에서 그런 생각이 들었어요.
'생명을 키우는 일을 해야겠구나...."
그게 나무를 심는 일이든, 교육하는 일이든,사람과 관계맺는 일이든....
봄도 됐으니 신성동 번개한 번 하시지요^^*

여울 2011-03-28 08:49   좋아요 0 | URL
매화가 남녘엔 벌써 도착했군요.
이곳은 짓굳게도 아직이더군요. ㅎㅎ 꽃번개 함 해야겠군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