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714 인권모임을 참관하다. 서로 나누는 이야기의 농도도 말씀하시는 요지도 알아듣기 쉽고 간결하다. 주장도 섞으며 톤이나 상대를 보는 눈빛도 한달 전쯤의 모습들이 아니다. 마무리 겸 왼쪽 책의 저자 초청강연이 있다한다. 이어지는 느슨하지만 짜임새있는 활동이 기대되기도 한다. 주관하는 모임, 연*부, 정*현, **현 모두 고맙다. 마음을 내어 온전히 들어야겠다. 나의 상식이나 인권 감수성에도 구멍숭숭 뚫린 것을 알기에 말이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93143163572749.jpg)
삼*이 밴드 뒤풀이에 끼다. 화사하고, 들뜬 사람들이 자기 색깔 너머를 보여주는 것 같다. 또 다른 눈이 생기는 듯...이런 면들이 주관에 가려 보고 있지 못했나 하는 점들. 다르게 모락모락, 뭉클뭉클한 것 같다. 끝까지 몸과 가슴의 언어를 듣다오다.
일터일이 약간의 여유가 생겨, 이발도 하구....몰아치는 어제의 감정들을 수습하고 숨을 고른다. 사과 한점, 커피 한잔, 샤워한줄기... 어제는 그렇게 잦아들고 몸에 스며든다. 마음 속에 차분히 챙겨둔다.
뱀발.
1. 사람들 사이의 관계는 사연이 생기고 어떻게 매듭을 짓는가?에 달려있는가? 사람들 사이의 관계는 또 다른 사람을 통해서 보지 않던 모습을 보게 되는 것일까? 또는 느끼게 되는 것일까? 나-너-너-나, 사람을 건드려주게 예민한 고리를 갖는 너-나는 누구들일까? 새삼스럽게 사람을 짚어내는 관계가 다르다. 그 관계의 다양성이 서로를 풍부하게 느끼게 할 수 있을까?
2. 나무에게 한 친구를 소개받는데, 여러차례 만남이 성사되지 않은 연유를 이제서야 알게된다. 미안하기도 하고 관계를 통해 좀더 다른 느낌, 다른 시선을 만들 수 있다는 배려이기도 한데, 너무 무심하게 뱉어낸 결과가 되었다. 좀더 가담듬고 예민해질 수 있는 관계는 책을 과속으로 읽는다고 해결되는 문제도 아닌 것 같다. 사람을 얼마나 읽을 수 있을지, 느낄 수 있을지, 가슴 속으로 빌려올 수 있을지...좀 먼너에게 관심갖는 일, 관심가져주는 일이 스스로에게도 남는 일이겠지 생각해본다.
3. 어젠 웃음, 가슴으로 토해낸 말들이 많다. 미소의 행간에 느껴지는 일...몸을 써서 다른 색이 가미될 수 있다는 점들. 평소에 볼 수 없던 모습이 이렇게 생기거나 자랄 수도 있겠다는 마음도 생긴다. 들뜸들 사이에 보여주는, 느낄 수 있는 언어들이 새삼스럽고 새롭다. 오랫만이기도 하구.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