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은 벌써 익어버리고,   숲으로 들어서면 곧 잊혀질 듯.
마음이 숲으로 번져 마음이 숲의 색을 뚝뚝 떨어뜨릴 듯.


#1.

몇권의 책들을 조각내어 보다. 물끄러미 응시하지만 읽은 단어들이 달라붙지 못한다. 언제나 그랬듯이 몸과 이물감을 갖는 언어들과 책들은 늘 낯설다. 바람결처럼 내리는 아카시아향들만 몸을 환기시켜 몸을 불러 세운다. 며칠 내리는 비 사이로 지난 주를 돌이켜본다. 비가내리는 주말 아침 참*, 점심 뒤 참* 세미나, 간만의 항*씨는 여전하다. 공부의 깊이가 더했는지 세미나의 설명이 거침이 없다. 별똥별...의 저자님도 부군과 함께 해주셨는데 큰 질문은 없었지만 신선하고 공감가는 듯 싶다. 질문의 방향이 모임에 대해 직접적 대응이 몇꼭지 있다. 이로인해 뒤풀이에도 모임이나 공동체, 조직의 자정기능이나, 순방향의 예스만이 좋지 않다는 매듭을 엮는 듯하다.

 #1.1  *국장하구 좀 급하게 마실 술 덕분에, 공동체와 모임과 조직을 생각하는 수준이, 게임이론도 좋지만 기본적인 인식이 기계적이거나 물리적인 한계에 머무는 것은 아닌가 싶다. 기계라는 말도 식상하지만 모임기계 그 수준이 아닌가 싶다란 이야기를 건넨다. 거기에 덧붙여 모임이기주의라는 말까지 첨언한다. 생태이거나 생물이거나 식물이거나 하다는 시선이라도 있다면, 모임을 조직을 자라게 하기위해 키우기위해 해야하거나 통증을 느끼는 것이 비슷하지 않은가 하고 말이다. 모임기계주의자들은 여전히 자신의 모임에 집착하고, 경계를 열어줄 때의 기준을 통증으로 삼지 않는다. 유불리만 따질 뿐, 자신을 증식하기 위해 여념이 없다. 그래서 결국은 얻으려는 것도 얻지 못한다. 서*샘이 비가 짙어질 쯤, 막걸리 한잔을 더하고, 이야기 한 술을 더 더한다.

 #1.2  멀리있는 분들을 호출해놓고, 이야기보단 몸에 눅은 술만 관심있는 것인지? 이야기의 밀물과 고민의 밀물들은, 언제 그랬냐는 듯이 썰물처럼 빠져나간 것인지? 그저 달이 저편으로 진 것인지? 달이 또 차오르면 또 다시 고민은 풀려나오는 것일까? 왠지 미안한 마음들만 희미해져가는 기억들 곁에 짙어진다. 100522

#2.

잠깐 태울관에서 독립영화 상영이 있다. 얼굴이나 볼겸 잠시 들르다. 약속이 겹쳐 함께 하지는 못했지만, 자리를 지키는 이들이 정겹다. 한** 강사의 숙제가 있어 참여율이 높다는 말들. 보지 못하는 영화들이 아쉽다. 100521

 


#3.

새것에 대한 찬미, 아니면 공감에 대한 갈증, 그런데 정말 공감에 대한 굶주림일까? 시란 영화, 화려한 휴가를 비롯해 보지 못함이 과잉을 만드는 것은 아닐까? 애석하게도 공감의 갈증은 그 굶주림만큼이나 본 뒤에 회자되지 않는다. 여전히 새것에 대한 대기, 굶주림만 키우므로 누리거나 회자는 이 세상에 덕목이 아니다. 진득하게 썰을 푼다거나 작품을 곱씹는다는 일 역시 무리에 가까운 일이다. 또 다시 일용할 날 것을 찾기만 하기 때문이다. 뉴스에 출몰할 뿐, 출몰하는 것으로 연명하는 것이 일상과 닮아있다. 사람들도 일회용을 닮아간다. 생각들도 벌써 재활용할 수 없다. 그래서 저기 폐기할 즈음 되는 것들이 새것의 옷을 입고 나타나도 새것인지만 안다. 그렇다고 그것이 부활하거나 날것이 곰삭은 맛을 내는 것이 아니다. 그것도 그저 새것일 뿐이다. - 그것도 못봤어, 그것도 몰라에 반기가 아니라 백기를 들고 싶다. 그런데 네가 대체 아는 것은 뭣이냐??

#4.

결혼식과 상가를 오가면서 몇줄을 읽지 못하다. 몸도 가라앉은 연유도 있지만, 낯선 말들에, 날선 말들에 몸이 담아낼 수 있는 것들도 걱정이다. 100523

#5.

딸래미와 책을 살 겸 나들이다. 동네서점을 들러 모임에서 언급되었던 책들을 고르니 오늘은 비교적 수월하게 찾을 수 있다. 기억을 더듬어 몇권, 주제별 부스에 가니 있어주어 고맙다. 점심, 데이트 그리고 책마실. 몇년 뒤, 그래도 어제 모임 뒤풀이에 나온 꼬마 대학생의 모습을 보니 여러 느낌이 다가선다. 100521  100520

#6. 

상가에 돌아오는 길 문자를 받다. 아시는 전*조 샘이 민**을 후원했다는 이유로 6월 말일자로 파면된다는 소식, 복직을 하려해도 일년반은 족히 걸릴 것이라는 소식. 미*광이짓을 눈을 뜨고 봐야한다니 정도를 넘어선다. 1005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