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일)클럽

시집 한권 읽다보니 시가 쓰고 싶어집니다.
커피 한잔 마시다보니 마음이 나누고 싶어집니다.
마음 한켠 나누다보니 친구들이 보고 싶어집니다.
떠오르는 친구들 사이로 차 한잔, 시 한편 보듬고 싶어집니다.
시 한잔, 눈물 한홉, 지난 흔적 한말을 나누어도
밖은 칼바람부는 추위를 멈출줄 모릅니다.

 


뱀발.  

1. 지난 년말. 아직 참*송년모임의 잔향이 오롯이 남아있던 날, 추위로 햇살이 무척이나 가늘게 보였습니다. 아*** 사무실은 개벽을 하고 있는데 딴청을 부려봅니다. 차 한잔이 익을 무렵 여러 지난 흔적들이 겹쳤습니다. 따로 곰곰히 생각할 여유는 없었는데 좋은 사람들을 두루두루 살펴보니 시간을 놓치거나 잘못하는 것들이 한올 두올 드러나기 시작하더군요. 쓴 소리들이 이어지고 덧셈의 사다리로 오르내리는 줄 알았는데, 말들은 벌써 그들로 그들을 저편으로 밀어내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내가 쓰는 말들이 이렇게 험악해 뺄셈으로 주르륵주르륵 흘러내리는 것을 목격합니다. 그_들_사_이_에 너도 나도 넣고 싶지만 눈물만 주르르 흐릅니다. 그 들의 성벽은 너무도 높아 다닐 곳이 없습니다. 그들은 진열 잘 된 윈도우에 가지런히 앉아 있어 볼 수만 있습니다.
 
그들은 보이지 않습니다. 서울이란 망원경을 통해서만 볼 수 있습니다. 서울이란 경로를 통해서만 교류를 해내는 우리들이란 과연 무엇일까? 그_들_은 여기에 있지만 지금 없습니다. 그들은 지역에 살지만 지역을 살지 않습니다. 우뚝선 그들은 아직도 지역을 살아내지 않습니다. 서울은 자석과 같아서, 자성이 있는 모든 것을 끌었다가 내었다가 붙였다가 밀쳤다가 합니다. 어쩌면 무극성을 그들에게 이식시켜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니면 힘의 균형을 갖는 모임들의 긴장된 반대편의 힘이 필요한지도 모르겠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을, 좋아하는 사람을 지켜보지 말아야 되는 이유가 한가마니입니다. 그들의 시간과 좋아하는 사람의 자장도 늘 그리로 향하기 때문이죠. 아마 그들은 말로만 주의자죠. 말로만 그들을 껴안듯이. 그와 나는 이제서야 공통점이 생긴 것이죠. 말로만 연대. 몸으로도 연대를 향할 필요를 이제서야 느낀 것이겠죠. 반공 표어만큼 빛바랜 낡은 구호를 보게되진 않겠죠. 어느 것도 그의 마음에 닿지 않는 현실을 목도하지 않게 해줄 것이란 희망을 품어봅니다. 

"지역적으로 사고하고, 
 지역의 것을 사고,  
 지역 사람이 되자." 



2.  그리고 이곳 둥지틀고 있는 분들도 꼭 올해엔 목요클럽에서 차한잔 하셔야 합니다.  

3.  함께 한 분께 남다른 감사.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0-01-04 19:0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1-05 10:09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