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몇가지 스며드는 질문.]

- 소비자가 아니라 생산자라면 어떻게 하겠다란 풍부한 가정이 스며들지 않는다면?
- 출혈 경쟁의 늪과 출판사-..갑-을-병-정의 수직적 관계의 해소 전망이 없다면 ?
- 이것을 하고자 하는진보의 운신의 폭은 어쩌면 자본량에 비례한다면?
- 진보와 자본의 공생이 가능한 범위는 어디까지일까? 기부가 할 수 있는 일은 어디까지 일까?
- 도서운동의 최대 소비처, 저자, 출판사. 공급망. 저자 쌍방이 서로 남는 방법은 없는 것일까?
- 동네서점을 살리는 것과 인터넷 서점을 살리는 방법은 없는가? 인문서점이 급속히 소멸되었다면?
- 소극적 참여든 적극적 참여든 그 곁가지에 있는 관심은 더 큰 범위로 발화될 수는 없는 것일까? 윤리적 소비뿐만이 아니라 윤리적 생산(공급)에 대한 가정을 해볼 수 없는 것일까? 그 자본의 먹이사슬과 장점이 교집합이 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논의를 더할 수는 없는 것일까?
- 제3세계에 대한 생각은 터질 수 없는가? 그 아이들과 마을이라면 책운동이 불가능한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 이는 누구인가? 아니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할 수 있다면 어떤 조건들이 충족되어야 하는가?


2. [활동에 대한 몇가지 다른 생각들.]

지금 활동이나 [하고자한 것들]이 공유될 수는 없는가? 언제든 한가닥을 끄집어내어도 정말 다시 해볼 수는 없을까? 불매가 아니라 좀더 서로 덧셈이 조금이라도 되는 방법이 없을까? 인터넷서점의 비정규직 채용에 대한 규약 및 동네인문서점을 살리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이라든가? 구매시 몇 %을 동네서점 살리기에 쓴다라든가? 서로 인터넷서점이 판매만이 아니라 책으로 연결하여 생각을 키우는 활동에 동참해마지 않는 방법으로 진화할 수는 없는 것일까? 시간은 없고, 지나가는 것이 아니라 언제든지 다시 자랄 수 있는 것이라고 여길 수는 없는 것일까? 날이 선 비판을 좀더 세련되고 익숙한 방향이나 아이디어로 점화할 수는 없는 것일까? [불매]가 아니라 [선택]되는 구매, 공공서재에 대한 인문학 서적의 점유율이란 목표로 관의 무능에 대해 발랄함을 날릴 수는 없는 것일까?



3. [ 몇가지 더 생각을 해봤으면 하는 문제들]

소비사원에 들어선 우리는 선택의 강박에서 벗어날 수 없다. 하지만 소비만으로 단락을 차단한다는 발상도 좋지만 그 자본의 맥락과 현상을 좀더 날카롭게 분석하여 그 흐름에 무너지고 부서지고, 결국 우리에게 불편을 감수하게 하는 것들에 대해 시선을 모으고 돌리는 수고가 필요한 것은 아닌가? 서비스의 품질도 중요하겠지만, 과도한 관심으로 흘러가는 자본의 이기로 이미 만들어진 것, 만들어지고 있는 것에 대한 관심을 놓치는 한 별반 할 것이 없다. 끊임없이 꼬리만 탓하거나 그 꼬리만 보고 탓하게 된다. 저 몸통은 또 다른 곳으로 몸을 돌린지가 오래되었는지도 모르는데 말이다.

4.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이참에 독서운동-비정규직-사라져가는 것들-자본의 몰려다님-갑을의 관행-제도권의 무능에 대해서도 함께 깊숙히 들여다보는 혜안을 가졌으면 좋겠다. 그 분노와 아픔이 저 끝에까지 예민해졌으면 좋겠다. 너무 시간이란 함수에 연연하여 하고자 한 것, 하려한 것들의 가능성에 대해 묻어버리지 않았으면 좋겠다.

5. [뜬금없는 진보-자본의 유대(진보의 살림살이)에 대해]

진보는 얼마나 자본주의적이어야 하는가?/소비자의 진화/얼마가 있으면 하고싶은 일을 하면서 지금 대한민국원주민으로 살아갈 수 있을까?/돈들이지 않고 함께 살아낼 수 있을까?/진보를 자칭하기까지 얼마나 살림살이에 명민해야하는가?/R라딘에 선택적 소비를 하는 것이 진보적인가? 소비를 한다는 자체가 진보적인 말일까?/몽상과 공상/자본가가 얼마나 진보적일 수 있을까? 귀농이나 사회활동을 하거나 공간을 만들어나가는데 얼마만한 자본이 필요한가? 자본대비 기업, 자본에 대비하여 얼마나 효율이 큰가? 얼마나 살림살이를 드러내지 않는가? 얼마나 자본의 실핏줄을 타고 가면서 생각해야 하는가? 얼마나 돈의 향기 속에서 사고하지 못하는가? 진보의 막장은 여기서부터 출발하는 것은 아닐까?

6. 나는 요구한다. 당신이 그 시작부터 끝까지 돈에 너울치는 현실을 꿰뚫어보려는 계산이 있다면 당신의 진보는 다시 시작할 수 있을지 모른다. 당신에게 친자본을 요구한다. 나에게도 나의 시선에 대한 무능에도 칼을 들이민다.

7. 다른 시선, 다른 관점이 섞이거나, 정신이 만나 열매를 맺으려면, 더구나 칼날같은 날 것이란 자본주의의 시선이 칼바람처럼 부는 곳에서, 새로움이 움트려면 그 날 것이 속속들이 재워지고 채워지고 칼날이 무뎌지고 바래지고 익혀 겨우 발효가 될 쯤, 제대로 익은 맛을 나려면...그렇게 자본주의의 양분을 필요로 할 수 밖에 없다. 조금 다른 맛이 나려면 말이다.

8. 아~ 하는 사이. 어~ 하는 사이. 우리는 자본의 홍수로 너무 떠밀려내려왔다. 자본으로 호흡하지 않을 수 없다. 최소한 정신도 자본으로 호흡하는 방법을 배워야하지 않을까? 50만원으로 100만원으로 살아가는 방법을 미리 계산해내지 않는 이상. 살림살이가 비교되지 않는 이상. 진보는 자본의 진창을 헤엄칠 수 없다. 자본으로 경중을 가려보지 않는 이상. 그 힘을 입체적으로 판단하지 못하는 이상. 어쩌면 활동이란 것이 몇발자욱 딛기도 힘들 것 같다. 

뱀발. 소극적 불매에 참여한지는 꽤 되니 이것저것 불편하다. 기부라는 것도, 참여라는 것도 하고싶은 것, 갖고 싶은 것을 나누는 것일 것 같다.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해 미안한 마음이 들지만 생각들은 내내 가시지 않아 혼자 품고 있을까 하다가 질문들을 던져본다. 이렇게까지 번지리라고 생각지 못했다. 하지만 아픔을 제대로 딛고 이익을 좀더 넓게보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고, 좀더 예민하고 깊이 타산하고 품어야겠단 반성이 많이 들고, 많이 배우게 된다. 앞장선 분들 마음의 짐으로 가져가지 않았으면 좋겠다. 인터넷이란 공간은 대화하기 힘들다. 그 무서운 복기와 물기... 대화는 구술이란 말, 문자를 독해하는 능력이 아니다. 만나지 않고선 그리 할 말이 없다. 설마 나도 물릴 것 같다. 그럼에도 이렇게 남겨야겠다. 몇년 뒤 다른 일로 복기가 가능할 것이라고 여겨지기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