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주의자들은 서양의 중세를 암흑 시대로 보았다. 이런 중세관의 근저에는 고전 문화에 대한 동경의 감정이 있었고, 자신들의 시대를 적극적으로 평가하려는 근대 특유의 세계관이 있었다. 이런 부정적인 중세관은 18세기 계몽주의 시대와 19세기, 심지어는 20세기 전반부까지 이어졌다......최근 몇십 년 동안 중세사 연구자들이 거둔 중요한 연구성과가 서양 중세의 역동성 이다. 상식적인 역사가라면 중세 사히를 야만과 무지가 지배하고 기술과는 거리가 먼 사회라고 말하지 않는다. 늦어도 9세기부터 생산 방법상의 수많은 기술이 혁신되었고, 이는 고전 고대에 비해 커다란 진보를 뜻하는 것이었다. "몇 세기 동안의 비밀스런 혁명"이란 표현을 쓰면서 강조한 중세의 전반적인 발전에 대해 대부분의 역사가들이 동의하고 있다....서양 중세 사회를 올바로 이해하려면 중세사회의 역동성의 핵심을 이루는 기술 발전과 그에 따른 사회변화를 알아야 한다.

 
   

 

   
 

 셰익스피어는 독특하게도 근대인, 고대인, 기독교인의 교차점에 서 있다. 그는 또한 종종 이교도적인 것과 기독교적인 것을 뒤섞어 버린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비판적이지 않고 교육받지 못한 사람이 쉽게 저지르는 단순한 '실수'가 아니라 다양하면서도 통합된, 인간 본성 그 자체의 재현을 보여주는 주제표현 방식이다. 셰익스피어의 입지는 그리스인의 호메로스의 입지, 로마인들엑 베르길리우스의 입지, 이탈리아인에게 단테의 입지, 에스파냐인들에게 세르반테스의 입지와 같은 것이 아니다. 그의 시적 상상이라는 거울을 모든 자연과 역사에 비춘다. 그는 자신이 발견한 것에 우리를 초대한다.  그의 시선은 인간의 넓은 세계 전체에 뻗어있는 동시에 인간 감성의 가장 깊숙한 움직임을 포착한다. 그는 '실재한 인생'의 이야기, 즉 역사적 인간으 생애가 신화적 이야기만큼이나 많은 이야기를 담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의 천재성은 인물묘사에 일차적으로 표현되는데 900명이나 되지만 각각 다른 인물로 환원될 수 없는 개인이며, 각자 자신의 삶을 가지고 있다. 45-46 

베르길리우스(로마, BC70-19년)의 서사시 [아이네이스]는 호메로스의 모방물인 동시에 그것과 매우 다른 시도다. 호메로스의 서사시는 시의 여인 무사가 노래하지만, [아이네이스]는 전쟁과 영웅을 내가 노래한다는 행으로 시작한다. "내"가 노래를 부른다. 아이네이스의 운명은 호메로스의 영웅들의 운명과 같은 종류가 아니다. '모든 유럽의 고전'이라고 부른 것은 이런 방식으로 전통에 개입했기 때문이다. 문학을 개인과 사회의 투쟁으로 삼은 것은 이것 만한 것이 없는 것이다. 40 

근대인들은 인간이 에덴동산에서 신에게 내쫓긴 것이 아니라 자신의 선택에 따른 것이라 주장한다. ..'자연상태'에서 가지고 있던 '자연권'이 시민사회에서도 보장된다는 이야기가 우리에게는 뻔한 것으로 들릴지 모르지만 사실 이것은 혁명적인 개념이다. 83

 
   

  

   
 

 한국인들은 현대 사회에 이르면서 자기의 마음 속에 여러 가치들을 공존시키고 있다. 때로는 샤머니즘적, 때로는 불교적, 때로는 기독교적 가치를 그리고 때로는 전통적 가치를, 혹은 현대 서양적 가치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그런 것들이 자기의 마음속에서 정제되어 나름대로의 통합된 자아를 형성치 못하고 낱개로 흩어져 공존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특히 최근 20-30년 사이에 일어난 한국 사회의 급작한 변화 속에서 더욱 확연하게 표출되고 있다. 상가를 가면 때로는 목사님이 설교를 하고 그 뒤에 바로 스님이 와 염불을 하며 대개의 조문객은 유교식의 예를 올린다. 모든 가치가 함께 공존하고 있다. 그리고 자기 편리에 따라 이 가치 저 가치를 내세우고 있다. 그러면서도 이상하게 마음의 갈등을 느끼지도 않는다.  

이러한 여러 가치의 공존은 자아를 괴롭힌다고 말하고 있는데 우리 사회의 특징은 조각난 자아의 고통도 못 느끼고 있는 것 같다. '동시 다중적 자아'라고 표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동시성적 자아는 역사적 현실에 영향받은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런 혼란기는 대세의 편에 자기의 생각을 맞추도록 작동하면서, 자신은 애매하면서도 타인에게 분명한 것을 요구하는 흑백논리를 부추겼다. 

이러한 동시성적인 자아는 사회적 논쟁이나 갈등에 있어서 논리적 일관성을 파괴하고 상황에 따라 자기편에 유리한 방향으로의 변명을 부추기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런 무의식은 목적 강조를 위한 과정의 무시, 그리고 감성 위주의 비논리성과 함께 상승효과를 내면서 퇴행적 양태로 변모되기 쉽다. 한국사회에 있어서 보수와 진보의 갈등도 이러한 퇴행성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74-77 요약

 
   

 

뱀발.  

1. 마지막 책은 58쪽 이후 한국인의 집단무의식-병리원인 장이 읽을 만하며, 다른 장은 너무 보수-진보를 정신분석적의미로 해석을 하여 착 달라붙는 맛이 없다.  

 2. 인문학스터디는 인문공부의 필요성을 문학,예술-철학정치에서 긴밀도가 있으나 역사학과 기독교사상은 필요성과 소개의 간극이 너무나 큰 것 같다. 강유원이 서구정치사상 고전읽기에도 언급한 내용이지만, 고전을 읽는 이유, 그 맥락에 대해 요긴한 책들이 없었던 것 같다. 사람이 왜살고 어떻게 살고, 어떤 관점에서 세상을 보고, 관계를 형성한 시대의 흐름은 여전히 중요한데, 지금 이곳을 살아내는 사람들은 시선이 고정되고 몸도 고정되어 아예 다른 관점조차 없는 것으로 여기는 것은 아닐까? 현대인이 일차원의 인간을 제조해내고 그렇게 살아지는 것이 삶이라면, 조금만 시선을 달리해도 너무도 다른 시선 관점, 열정, 마음, 손발의 차이를  결과가 아니라 과정에만 맞춘다고 하더라도 지금여기를 위한 자양분은 넘치는 것은 아닐까? 

3. 이념교육이든 커리큘럼이든 르네상스의 배후 중세, 근대인이 소멸시킨 공동체나 공적인 장, 지금의 다른 곳, 나라의 삶에서 얻으려하지 않고, 늘 알량한 조명등으로 늘 재단해버린 것은 아닐까? 

4. 늘 원전보다 어려운 해설서에 답을 구하려했던 것은 아닐까? 인문의 요지가 지금을 어떻게 살 것이라면, 늘 수평면에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는지에 대해 궁금하지 않으면 인문의 진보는 없는 것은 아닐까? 인문학을 한다면 나름 무장해제를 하고 온몸으로 고대-중세-근대-지금의 맛보고 느끼고 그 차이, 그 숨결에 더 가까워져야하는 것은 아닐까 싶기도 하다. 이렇게 말로만 하는 조각난 자아의 나, 너, 나-너를 치열하게 비교 감수할 생각을 하면서...우리의 퇴행을 하나하나 벗겨나가면서... ...


댓글(0) 먼댓글(1)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낭만적 사랑의 변천사(ing)
    from 木筆 2009-04-02 17:28 
    낭만적 사랑의 변천 - 사랑,결혼,섹스(성) 1. 열정. 어떻죠. 위험한가요? 개인이란 존재감이 없는 시대라면, 신에 대한 사랑만이 이해되었다면? 일방을 향한 열정은 어떻게 이해되었을까요? 그것도 주체할 수 없다면? 말입니다. 아마 이상한 취급을 받았겠죠. 2. 중세에는 어떠했을까요? 기사와 귀부인의 슬픔을 감수하는 로망(마조히즘적 사랑이라고도 하더군요.) 물론 결혼은 번외였습니다. 결혼과 사랑을 같이 생각한다는 것은 별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