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략) 대부분의 사람들 일상에 밀접하기 때문에 6) 개인이 패스트푸드를 자제하는 것이 어렵다는 얘기도 나왔어요. 육식도 마찬가지고요. 그러고 보면 음식이 관계까지 배열하는 문화인 것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

이어 <패스트푸드의 제국>이 햄버거로 시작해 5) 미국사회의 시스템을 훑어가는 책이기에 우리 일상에서 대입해 볼 때 맞지 않거나 부족한 면이 있다는 얘기도 나왔고요.

'패스트푸드'가 음식에 대해서도 인간을 기계화시키는 것이 아닌가란 의문에서 그렇다면 1) 직접 음식을 해서 먹어야 하는지, 그렇게 주장할 경우 발생하는 2) 사회적 불합리(여성이 희생이 된다든지, 시간이 너무 많이 든다든지)는 어떻게 할 것인지 판단하기 어렵다는 얘기도 나왔고요. 잘 먹고 살기 위해서 일을 하는데 오히려 일 때문에 3) 음식에 쏟는 시간이 아깝다고 느낄 때가 있다는 얘기도 있었고요, 4) 음식이 어떻게 보면 즐길 수 있는 문화 그 자체일 수도 있고 중요하고 해야 할 일일지도 모른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생략) 
 
   

 1. 

  

동치미 모임에 남긴 흔적 가운데 하나를 긁어 옵니다. 그리고 그대로 냉동시켜 봅니다. 어느 것이 맞죠. 내가 너가 선택할 수 있는 것에 대해 생각해봅니다. 그리고 우리라는 틀을 둬 봅니다. 어떻게 해야하지요? 그리고 나-너, 우리를 유럽 한가운데에 가져다보고, 기근이 한창인 아프리카에도 두고, 미국에도 옮겨봅니다. 그리고 우리의 엥겔지수도 덧붙여봅니다. 10분위에 나는 어떤 계층인가? 너는 어떤 계층인가? 우리는 어떤 계층인가? 하구 말입니다. 어떤 선택을 하여야 되는 것이죠?!!?

2. 


  

여기에 그대로 두지 않고 다가올 주변이나 상황을 고려해봅니다. 우리의 삶이 점점 불안해진다면, 공황이나 전쟁의 그림자, 파시즘의 그림자에 드리운다면 나는 너는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할 수 있을까요? 무엇을 고려하는 것이 합당한가요? 순간 정지한 채 생각했던 것들이나 습관들은 안전한가요? 고민은 어떠신지요? 개울 물결, 바위틈에 끊임없이 떠있는 작은 공은 아닐까요?

3. 

 

생각해보셨나요? 지금 이순간의 먹을거리, 그것과 환경과 그리고 방향이 갖는 함수에 대해서 말입니다. 생각이 나와 나의 가족, 나의 수입에만 머물러 있던 것은 아닌가요? 너와 너의 가족, 너의 수입에 관심을 갖게 되었나요? 우리와 다른 나라의 민족의 우리와 공통분모는 없을까요? 이땅의 우리에 너무 침잠해서 생각들이 갇혀버린 것은 아닌가요? 나-너에 머물러 별반 선택할 것이 없던 것은 아닐까요? 그래요. 한번 생각의 결을 먹을 거리의 결을 그것만이 아니라 연관된 관계에서 삶에서 고민해보도록 하죠. 진지하게 말입니다. 그런 연습을 해보면 어떨까 싶어 덧보탭니다.



 


  

 

>> 접힌 부분 펼치기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