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중략) 대부분의 사람들 일상에 밀접하기 때문에 6) 개인이 패스트푸드를 자제하는 것이 어렵다는 얘기도 나왔어요. 육식도 마찬가지고요. 그러고 보면 음식이 관계까지 배열하는 문화인 것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
이어 <패스트푸드의 제국>이 햄버거로 시작해 5) 미국사회의 시스템을 훑어가는 책이기에 우리 일상에서 대입해 볼 때 맞지 않거나 부족한 면이 있다는 얘기도 나왔고요.
'패스트푸드'가 음식에 대해서도 인간을 기계화시키는 것이 아닌가란 의문에서 그렇다면 1) 직접 음식을 해서 먹어야 하는지, 그렇게 주장할 경우 발생하는 2) 사회적 불합리(여성이 희생이 된다든지, 시간이 너무 많이 든다든지)는 어떻게 할 것인지 판단하기 어렵다는 얘기도 나왔고요. 잘 먹고 살기 위해서 일을 하는데 오히려 일 때문에 3) 음식에 쏟는 시간이 아깝다고 느낄 때가 있다는 얘기도 있었고요, 4) 음식이 어떻게 보면 즐길 수 있는 문화 그 자체일 수도 있고 중요하고 해야 할 일일지도 모른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생략) |
|
|
|
 |
1.
동치미 모임에 남긴 흔적 가운데 하나를 긁어 옵니다. 그리고 그대로 냉동시켜 봅니다. 어느 것이 맞죠. 내가 너가 선택할 수 있는 것에 대해 생각해봅니다. 그리고 우리라는 틀을 둬 봅니다. 어떻게 해야하지요? 그리고 나-너, 우리를 유럽 한가운데에 가져다보고, 기근이 한창인 아프리카에도 두고, 미국에도 옮겨봅니다. 그리고 우리의 엥겔지수도 덧붙여봅니다. 10분위에 나는 어떤 계층인가? 너는 어떤 계층인가? 우리는 어떤 계층인가? 하구 말입니다. 어떤 선택을 하여야 되는 것이죠?!!?
2.
여기에 그대로 두지 않고 다가올 주변이나 상황을 고려해봅니다. 우리의 삶이 점점 불안해진다면, 공황이나 전쟁의 그림자, 파시즘의 그림자에 드리운다면 나는 너는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할 수 있을까요? 무엇을 고려하는 것이 합당한가요? 순간 정지한 채 생각했던 것들이나 습관들은 안전한가요? 고민은 어떠신지요? 개울 물결, 바위틈에 끊임없이 떠있는 작은 공은 아닐까요?
3.
생각해보셨나요? 지금 이순간의 먹을거리, 그것과 환경과 그리고 방향이 갖는 함수에 대해서 말입니다. 생각이 나와 나의 가족, 나의 수입에만 머물러 있던 것은 아닌가요? 너와 너의 가족, 너의 수입에 관심을 갖게 되었나요? 우리와 다른 나라의 민족의 우리와 공통분모는 없을까요? 이땅의 우리에 너무 침잠해서 생각들이 갇혀버린 것은 아닌가요? 나-너에 머물러 별반 선택할 것이 없던 것은 아닐까요? 그래요. 한번 생각의 결을 먹을 거리의 결을 그것만이 아니라 연관된 관계에서 삶에서 고민해보도록 하죠. 진지하게 말입니다. 그런 연습을 해보면 어떨까 싶어 덧보탭니다.

>> 접힌 부분 펼치기 >>
어제 과음하신 분들도, 개인적 일을 도모하셨던 분들도 모두 안녕하시죠?
오늘은 정말 13일의 금요일 다운 포스를 주는 날씨네요. 사무실 화장실도 무섭습니다.
패스트푸드에 대한 얘기가 패티시즘으로까지 번질 정도로 다양한 분야를 오가며 얘기하느라 문득 정신을 차려보니 새벽 두시더군요.
간단한 갈무리를 해 볼까요? >_<
어제 세미나는 지식채널 e로 시작해서 영화 <패스트푸드 네이션>에 관한 민병훈님의 설명, <패스트푸드의 제국>를 읽고 느낀 점을 자유롭게 토론하면서 진행되었습니다. 소설적 구성이 재미있었다는 의견과 지명과 상호가 익숙하지 않아 몰입하기 힘들었다는 의견, 햄버거 하나에서 출발해 미국 시스템을 모두 훑어가는 통찰력에 대해 감명했다는 의견도 나왔고요. 패스트푸드가 단순히 영양적 면이나 환경파괴 만이 아니라 자본주의 다국적 기업의 횡포와 그 안에서 사회가 황폐화된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았다는 이야기도 있었습니다. 패스트푸드가 서민의 애환과 애정을 상징하는 동시에 싸구려 저질로 취급되는 이중의 잣대에 대한 얘기도 했고요. <봄날은 간다>의 라면을 예로 들어서요. 사랑이 막 시작될 때 "라면 같이 드세요"와 끝날 때 "내가 라면으로 보여!"라는 대목에서 그 두가지 잣대를 볼 수 있죠. 어쨌든 패스트푸드가 일상의 한 부분이기 때문에 무조건 부인할 수는 없다는 얘기겠죠. 대부분의 사람들 일상에 밀접하기 때문에 개인이 패스트푸드를 자제하는 것이 어렵다는 얘기도 나왔어요. 육식도 마찬가지고요. 그러고 보면 음식이 관계까지 배열하는 문화인 것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
이어 <패스트푸드의 제국>이 햄버거로 시작해 미국사회의 시스템을 훑어가는 책이기에 우리 일상에서 대입해 볼 때 맞지 않거나 부족한 면이 있다는 얘기도 나왔고요.
'패스트푸드'가 음식에 대해서도 인간을 기계화시키는 것이 아닌가란 의문에서 그렇다면 직접 음식을 해서 먹어야 하는지, 그렇게 주장할 경우 발생하는 사회적 불합리(여성이 희생이 된다든지, 시간이 너무 많이 든다든지)는 어떻게 할 것인지 판단하기 어렵다는 얘기도 나왔고요. 잘 먹고 살기 위해서 일을 하는데 오히려 일 때문에 음식에 쏟는 시간이 아깝다고 느낄 때가 있다는 얘기도 있었고요, 음식이 어떻게 보면 즐길 수 있는 문화 그 자체일 수도 있고 중요하고 해야 할 일일지도 모른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다음 모임에는 각자 주제발표가 있습니다.
참석하신 분들께서 각자 자기가 조사할 주제를 알려주셨는데요.
황주연 : 재래시장
손주영 : 음식광고
민병훈 : 스펀지 2.0
김영화 : 스타벅스
유은정 : 슬로우푸드, 정직한 소비
한상헌 : 조리와 날것의 문화사
이렇습니다. (이날 첫번째로 참석하신 고은아님께서는 여건상 조사는 없이 참석하시기로 했습니다.)
아직 정하지 못하신 분들, 하고 싶은 게 있으신 분들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또, 같은 사무실에 옆 단체 민언련이 26일 총회인 관계로 날짜가 25일로 변경되었습니다.
다음 모임은 25(수) 19:00 아카데미 책방에서 합니다. 양해 부탁드려요
다음 읽을 책을 아직 못 정했는데 아이디어 있으신 분들, 아이디어 팍팍 보내주세요. 스포츠도 괜찮아요 ^^
그럼 다음 모임때 뵙겠습니다.
날씨도 으스스한데 귀신한테 잡혀가지 않도록 조심하세요.
|
<< 펼친 부분 접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