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제비노정기]는 고종 때 활동했던 서편제의 명창 김창환의 더늠으로 알려져 있다. 더늠이라는 말은 '더 넣다'라는 말에서 나온 것인데, 말 그대로 한 사람의 명창이 새롭게 짜 넣은 판소리의 특징적인 대목이나 음악적 스타일을 의미한다. 52쪽
산조는 서양의 소나타같이 완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다. (중략) 산조는 누구든 자신의 가락을 첨가할 수 있는 열린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스승으로부터 배운 가락에 자기 자신의 가락을 덧붙여 음악을 만들어나가는 전통음악 특유의 전승방식에서 비롯된 것인데, 이런 적층구조가 산조의 가장 커다란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서양음악은 논리, 우리 음악은 감정이라는 말을 많이 하는데, 이것은 곧 우리 음악에는 논리가 없다는 말처럼 들리는데, 실제로 산조를 분석해보면 이런 이분법적 사고가 얼마나 잘못된 것인지 깨달을 수 있다. 산조에도 나름대로 논리가 있다. 비록 서양음악같이 객관화된 용어를 가지고 있지는 못하지만 산조는 우리의 정서적 감흥이 흘러가는 방향을 가장 효과적으로 요리하는 치밀한 음악적 계산의 결정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60-61쪽
예술가란 그런 것이다. 예술가는 언제나 시대의 전방에 서서 새로운 흐름을 수용한다 - 거문고 산조는 백낙준이라는 거문고의 명인이 만들었다고 한다. 그는 천한 속악을 따라함으로써 거문고의 품위를 떨어뜨렸다는 비난을 감수하면서까지 거문고 산조를 만들었다. 사실 그 전까지만 해도 거문고로 세속의 가락을 타는 것이 금기시되어 있었다. 그것은 자신의 예술적 자존심을 파는 행위이자 거문고를 배반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97쪽
김혜란 명창이 멋들어지게 부르는 [창부타령]을 듣고 나서 나는 우리음악의 양지인 경기 소리가 좋아졌다. 그 전에는 그 양지를 양지로 즐기지 못했었다. 아마 후천적으로 세뇌된 '노는 것'에 대한 죄의식과, 선천적으로 타고난 그늘 없는 소리에 대한 경멸이 이런 거부감을 불러일으켰던 것 같다. 하지만 이제는 놀이를 그냥 놀이로 즐기고 싶다. 노는 데에도 그럴듯한 명분과 의미를 부여해야 직성이 풀렸던 나의 결벽증에 이제 작별을 고하고 싶다. 143쪽
|
|
|
|
|
www.jinodissey.co.kr 로 가시면 전곡 다 들으실 수 있어요.
가야금산조 김창조의 진양조 양승희 연주
뱀발.
1. 서울 가는 길. 인근 도서관에 들러 아이 독서카드로 대출받으려니 쉽지 않다. 총각이 아니라 아주머니의 눈썰미 있는 도움으로 간신히 빌려오다. 짬짜미 보았는데, 행여 놓쳤다면 어이할까하는 아쉬움이 있을 뻔한 책이다. 나비야청산가자의 소개곡을 다 담고 싶다. 아마 진중권의 누나라고 들었는데, 책을 보는내내 삽화로 들어있는 꽃과 나비그림에 신경이 곧추 선다.
2. [프로메테우스의 후예들]은 부친이 둘째외숙 회갑잔치에 갔다가 받아 온 책이다. 재가진폐환자는 3만명이 훌쩍 넘는다고 한다. 미처 알지못하고 있었는데 기사나 많은 싸움이 2005년 대책위가 구성되면서 진행되었고, 국회에 법적 상정을 앞두고 있는 것 같다. (어머님당숙)할아버지의 사진이 연신 올라와 있고, 맹문제 시인들의 시들도 함께 있다. 부친 생각의 마음도, 가끔씩 그곳에 가 있는 마음들이 편치 않았는데, 이런 소식들에 한편 마음이 짠하다. 후원이라도 해야겠다. 전화를 드릴까~.
3. [음악과 청중의 사회사] 모두와 말미를 보는데 갈등이다. 볼까말까 대충요지는 알겠는데, 맺음말이 연구결과 상식에 벗어나는 대목이 몇군데 있다.
4. 더늠, 산조, 양주별산대, 지역색.....이나 방법이 연이어 걸린다. 음이 그래도 색깔이나 분권의 나눔의 맛을 온전히 품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음악에 경계도 없고 문턱도 없는데 그 경계를 지어놓은 무의식적 강박이 풍요로움을 늘 방해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서열을 매기고 경중을 따지는 습관 역시 이 장애에 한몫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그리고 늘 놀이에 대한 강박이 있는 나로 인한 것이 제일 큰 것 같다. 시각중심장애...인가? 마음의 벽이 가장크다.
제비노정기
>> 접힌 부분 펼치기 >>
흥보가 중 제비노정기
판소리 흥보가 중 제비노정기 : 소리 김창환
신나라 판소리 5명창 김창환 SYNCD-103
(중중모리)
흑운을 박차고 백운 무릅쓰고 거중에 둥둥 높이 떠 두루 사면 살펴보니
서촉(西蜀)은 지척이요 동해 창망하구나 축융봉을 올라가니
주작이 넘놀고 상위토(上緯土) 과역표(過驛標)
오작교 바라보니 오초동남 가는 저 배 북을 두리둥 두리둥 둥둥-
어기야 자 어기야 어기여 저어가니 원포귀범이 이 아니냐
백구백로 짝을 지어 청파상 왕래하니 석양천이 거의 노라 회양봉(淮兩峰) 넘어
황능묘(黃陵廟) 들어가니 이십 오현 탄야월에 반죽가지 쉬어 앉아 두견성을 화답하고
봉황대(鳳凰臺) 올라가니 봉거대공(鳳去坮空) 강자류(江自流)라 황학루(黃鶴樓) 올라가니
황학일거(黃鶴一去) 불부반(不復返) 백운천재(白雲天載) 공유유(共悠悠)
금능을 지내어 주사촌 들어가니 고주창가(沽酒娼家) 도리개(桃李開)라
낙매화를 툭 차 무원에 펄렁 떨어지고 종남산을 넘어 이수를 지내 계명산 올라가니
장자방 간 곳 없고 남병산 칠성단이 빈터 연조지간을 순식키 지내 장성을 지내
갈석산 넘어 연경 들어가 황극전에 올라 앉아 만호장안 구경하고
경양문 내달아 상달문 지내 봉관을 들어가니 산미륵이 백의(白衣)로다
요동 칠백리 순식간 다 지내 압록강을 건너 의주를 다달아 영고탑 통군정 올라가니
안 남산 밖 남산 석벽강 용천강 좌호령(左虎嶺)을 넘어 부산 파발 환마 고개
강동 다리를 건너 칠성문 들어 가니 평양의 연광정 부벽루를 구경하고
대동강 장림을 지내 송도를 들어가 만월대 광덕전 박연폭포를 구경하고
임진강 시각이 건너 삼각산에 올라 앉아 지세를 살펴보니 청룡의 대원맥 충령(忠嶺)으로
흘리져 금화금성 분개하고 춘당영춘 휘돌아 도봉 망월대 솟아 있다
문물이 빈빈하고 풍속이 희희하여 만만세지가 금탕이라 경상도 함양이요 전라도는 운봉이라
함양 운봉 두얼품에 흥보가 사는 지라 저 제비 거동 봐라
박씨를 입에다 가로 물고 남대문 밖 썩 내달아 칠패 팔패 청파 배다리 애고개
승방을 지내 남태령 고개 넘어 두 쭉지 옆에 끼고 수루루- 번뜻 흥보 문전에 당도 흥보 문전에 당도, 안으로 펄펄 날아들제 들보위에 올라 앉아 제비말로 운다 지지지지 주지주지 거지연지 우지배요 낙지각지 절지연지 은지덕지 수리차로 함지표지 내지배요 빼드드드드드드득
(중모리)
흥보가 보고서 좋아라 반갑다 내 제비 어디를 갔다가 이제와 당상당하 비거비래 편편이 노난거동은 무엇을 같다고 이르랴 북해흑룡이 여의주를 물고 채운간으로 넘논 듯 단산봉황이 죽실을 물고 오동속으로 넘논 듯 (지곡청학이 난초를 물고 송백간으로 넘노난 듯) 안으로 펄펄 날아들제 흥보 보고 고이여겨 찬찬히 살펴보니 절골 양각이 완연 오색 당사로 감은 흔적이 아리롱 아리롱 허니 어찌 아니가 내 제비, 저 제비 거동을 보아 보은표 박씨를 입에다 물고 이리저리 거닐다 흥보양주 앉은 앞에 뚝 떼그르르르르르 떨쳐놓고 백운간으로 날아간다
(다음 청산 김성호블로그에서 옮김)
|
<< 펼친 부분 접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