쓸데없는 생각꼬리들

1. 성명서를 다르게 쓰고, 지금과 다르게 하고, 딱딱하게 굳어버린 이념의 굳은살을 넘어서는 일들은 무엇일까? 문화의 힘이란 무엇일까? 단단하게 굳은 근육들을 풀어 유연성을 발휘하게 하려면? 어떻게 타고 넘으면 재미있을까? 부담도 느끼지 않고 아닌 듯, 그런 듯 할 수 있는 것일까? 과연 문화라는 속살은 어떤 것일까? 혹 문화에는 끓는 점이 없는 것일까? 우회하는 듯하지만 우회하지 않으면서 차곡차곡 온도를 높이는 것도 문화의 뜨거운 속성은 아닐까? 단단하게 굳은 굳은 살과 경직된 근육에 유연성을 회복하는 일들, 유연성 경쟁이라도 벌일 수는 없는 것일까? 문화의 힘이 유유히 이념의 얼음판을 녹이고 보듬을 수 있을까?

2. 문화의 힘이 그러하다면 예술의 힘은 어떠한 것일까? 그것도 바람처럼, 안개처럼 부유하기만 하는 것일까? 아니면, 문화의 막힌 퇴로를 뚫어주면서 그것도 채곡채곡 온도를 높여주는 것일까? 섬처럼 일상의 동선에 겉도는 것이 아니라 모임의 결 사이로 스며들거나 배이는 것은 아닐까? 아니 배여야 되는 것은 아닐까? 뜨겁게 데워지거나 펄펄 끓게 만드는 것은 아닐까?

3. 문화의 막힌퇴로와 예술의 켜로 재워지는 일상은 깊은 맛이 우러날까? 그 맛이 듬뿍 배인 이념의 굳은 살은 유연해질까? 단단하게 담처럼 뭉친 이념의 경직성은 유연성을 회복해, 오히려 외피가 문화의 혼과 예술의 말을 닮을 수 있을까? 080905  오전

세미나 뒤풀이 가운데



4. 샘이 건넨다. 제도권 안이 있고 그 현실을 인정한다고 하자. 그러면 그 경직성을 비껴나는 것들은 없을까? 그런 시도를 해본 적이나 있을까? 제도곁이나 제도밖의 사고, 상상력에 멈춰섰던 것은 아닐까?  초등학교-중학교, 시키고 싶어도 시킬 수 없는 사람들이 부지기수다. 시킬 수 있는 사람들이 부지기수가 아니다. 그렇게 하고 싶지만 할 수 없는 현실. 그 순간에 멈춰서보자. 제도의 틀에 정지하고, 그 순간에서 그 상황을 여러 겹으로 나눌 수는 없는 것일까? 제도가 추구하는 것 같는 것 달라지는 것. 부모가 할 수 있는 것들을 엄밀히 살펴볼 수는 없는 것일까? 그 겹들을 물을 발라 더 겹겹으로 나눌 수는 없는 것일까? 제도안에 대해 고민을 공유하거나 현실을 주부들의 입장에서 나눠본 적이 있는가? 설명해보라고 한 적이 있는가? 이*선 샘의 발제에 이어 문제의식이 깊이 다가선다.   080905 저녁 축시인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