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0209

빠문화와 분권 - 양립할 수 없는 것은 아닐까?  지나친 쏠림이 말하는 것은 무엇일까? 어디를 가던 이러한 편향은 지나치다 싶다.  자칭 진보도 그러하며 진보를 지향하는 사람들도, 진보를 비난하는 쪽도 그러한 것은 아닐까? 이념에 대한 쏠림도 그러하다. 이념을 지키는 것, 고수하는 것 역시 현실의 바다에서 경직성을 드러내며, 이념의 시선만을 고집하기 때문이다. 2mb빠까지 인식의 시선은 극단을 달린다. 하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그 빠문화 속에 자신은 생략된 경우가 많은 것은 아닐까? 끊임없는 의탁~. 스스로 서고 스스로 판단하고 스스로 나아가고 하는 일은 생략된 경우가 많다. 집단 속에 스스로 던진 것은 아닐까?

아픔을 느끼지 못하는 조직이나 모임은 부분의 합이 늘 전체보다 작게 나아간다. 느끼지 못하기에 시선은 늘 다른 쪽을 향해 있다. 아픔이 전체에서 나왔는데, 나는 느끼지 못하므로, 내것이 아니라 남의 것이다. 따라서 아픔은 다른 쪽의 탓이다. 아픈 것을 느끼지 못한 상태에서 백가쟁명의 토론은 한발 움직이는 것보다 못한 것은 아닐까?

지침이나 전망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면, 당신도 빠의 일원일 수 있다. 아직도 작은 소집단의 결정을 기다리고 다양하게 생각해보지 않는다면 당신은 빠의 일원이다. 그렇게 그것이 주류를 움직인다면, 그 정세판단을 기다린다면 당신의 조직은 요원할 수가 있다. 늘 경직성으로 판단된 전망을 기다려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당신이 그 집단지성의 힘이 얼마나 보잘 것 없는지 되돌아볼 수 있다면 우리는 가능성이 있다. 새로운 자료를 보는 것이 아니라, 낡은 자료를 되돌아보는 수고만 할 수 있다면, 어쩌면 경직성에서 조금 벗어날 수 있다.

거꾸로 거슬러 올라가 보자. 1년전에 2년전에 5년전에 10년전에 15년전에 20년전에, 당신은 조중동이 그러하듯, 너무도 확연히 느끼거나 알 수 있을 것이다. 우리의 판단이 얼마나 뒤쳐저 있는지? 얼마나 나를 따르라가 만연되어 있는지? 어김없이 스스로 빠의 문화에 젖어 있는지 느낄 수 있는 것은 아닐까? 아직도 당신의 판단을 의탁할 것인가? 아무것도 의탁하지 않는 시선은 변화를 볼 수 있지 않을까? 아무것도 의탁하지 않는 정신은 또렷이 세상이 흘러가는 것을 볼 수 있지 않을까?

나의 동선은 우리의 동선은 매몰되어 있는 것은 아닐까? 낡은 사고의 감옥에서 도저히 행동이 벗어나지 않는 반복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다수결 민주주의의 낡은 모델이 얼마나 함정이 많은지? 숙의 민주주의 모델과 심의 민주주의 모델이 얼마나 다른 각도에서 얼마나 빨리 서로를 알 수 있는지? 조직을 변화하는데 새로운 것, 소수의 의견을 지혜창고에 두고, 얼마든지 꺼내 쓸 수 있는 실험조차 하지 않는 것은 그 증거는 아닐까? 끊임없이 쳐다보고 자신의 행동반경은 끊임없지 제자리한 것은 또 다른 증명은 아닐까?

빠문화에선 권한을 나누거나, 질문이 주관식이 어렵다. 끊임없이 물어봐야 하기때문이다. 스스로 해보거나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기 때문이다. 큰 관료의 틀을 답습하기 때문이다. 부분의 합이 전체보다 늘 작을 수밖에 없다. 미래를 위한 투자. 새로운 것을 위한 시험. 다양한 아이디어의 잔치가 필요없다. 늘 작은 시선이 그곳에 머물기때문이다. 그 신경계는 산만신경계를 갖을 수밖에 없다. 서로 아픔이란 코드는 통할 길이 없다. 연결되지도 않는다. 끊임없는 내부로 시선. 구심력밖에 작용하지 않아 원심에선 무슨 일조차 일어나는지 느낄 수 없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당신이 움직인 동선에 대해 피터지게 절망하라(作)
    from 木筆 2008-02-24 11:24 
    지난 한주 스친생각들 크로키 지인들과 세번의 모임. 월 목 목. 일터 화수. * 탈당- 내지 않고 있다. 평당원에게 이들이 얼마나 관심이 있는지는 알길이 없으나 부쩍 신상에 대한 질문이 정도를 넘어서고 있다. 지난 2월2일인가 3일인가 어이없는 대의원대회를 보고 경직됨은 물론 기본적 자정능력을 잃어버렸다는 판단이 든다. 불처럼 탈당계를 내고 싶고, 탈당의 변이라도 남기고 싶었다. 그리고 일주일 지난 2월 9일 저녁, 아*** 분들과 이야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