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렌>, 탄소가 모여 이뤄진, 원통형이나 공모양의 나노입자에 조금 관심이 있었다. 벌써 10년이다. 그 무렵 서울대 모교수가 합성에 성공하였다는 소식 등이 언론을 떠돌던 기억이 난다. 그로부터 10년, 인근 아카데미 기증도서관에 비치된 한권의 책, <나노재료 과학>이란 번역서를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책을 간략히 살펴보아도 생산효율은 높고, 가격은 비례하여 낮아지는 기술혁신의 속도가 놀랄만 하였다. 미국, 일본, 최근 우리나라도 그 속도를 더욱 높이고 있는 듯하다.

과제에 참여하고, 채택되고, 성과를 내어야만 하는 연구원이나, 관계된 사람의 심정은 어떨까? 점점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게 되면, 어떨까?  기술의 수평상 연결고리나 연계된, 연계될 기술들이 의외로 나노만이 아니라, 통섭의 학문처럼, 여러분야에 걸쳐있다고 하면 어떻게 하여야 하는 것일까? 결과는 내어야되고, 확인할 부분은 있지만, 또 거액의 금액을 받아야 한다면, 수직적으로 개발하는 속도와 수평적으로 확인해야할 기술들이 점점 드러나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아래 접힌 기사에서 처럼 뉴욕타임즈는 미래의 재앙이 될 수 있는 기술 가운데, 기후변화, 유전자변형물질, 그리고 나노기술을 꼽았다. 기후변화는 몸으로, 삶으로 겪고 있으니 그렇다하고, 나노기술까지 그러하다는 사실은 어떠한가?

미리 준비되거나 예측할 수 없는 위험. 이 문제는 한 연구원의 노력, 한 집단의 노력, 한 부서의 노력, 한 국가의 노력으로 해결될 수 없는 것은 점점 자명해진다. 더구나 현실의 위험을 몸으로 직접 겪고 있는 현 세대는 단순한 경각심이 아니라, 새로운 그물과 새로운 시도,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의 단초를 만드는 일을 하지 않고서는 무서운 수직적 지향만 고려하는 자본과 근친한 과학기술의 속도를 따라잡을 길이 없을 수도 있다.

한 젊은 기자는 <세바퀴가 달린 과학자전거>란 책에서 우리사회가 빠트리고 있는 하나를 지적한다. 두발 자전거를 타기엔 너무 미숙한 것이 현재 인류일지 모른다. 앞에 난간이 있는지, 절벽이 있는지, 강이 있는지? 어두컴컴한 그뭄밤 자전거 속도에 취해 무작정 달리고 싶어하는 마음만 잔뜩 있는 것은 아닐까?

멜로드라마, 격투기, 텔레비전과 팝콘도 좋지만, 그 관심을 조금씩 떼내어 무한질주만 하는 이 과학기술에도 던져야 한다. 위험성을 파악하는 실험은 의외로 어렵지 않고 쉬울 수 있다. 집값이 떨어져 아쉬워하며 결속하는 만큼의 몇백분의 일에 대한 관심만 있어도, 최소한의 속도를 늦추거나 제어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당신이 은나노세탁기에 마음을 뺏기고 있을때, 그 만큼 더 좋은 것을 줄 것처럼 자본과 과학기술은 <괴물>을 놀라운 속도로 키우고 있는 것이 현실인지도 모른다. 당신의 화장품이 안전하다고 확신할 수 있을까? 전량 리콜한 어린이의 장난감처럼... ...

 

>> 접힌 부분 펼치기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