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등의 맞은편에 가슴이 있습니다. 손등의 맞은편은 손바닥이라고 하지만 손가슴이라 부르는게 맞습니다. 발등의 맞은편은 발바닥이라고 하지만 발가슴이라 부르는게 맞겠습니다. 그래서 귓등의 맞은편은 귀가슴, 눈등의 맞은편을 눈가슴, 콧등의 맞은편을 코가슴이라고 부르고 싶습니다. 본다는 것은 세상의 의미 있는 것을 눈가슴으로 끌어안는 것입니다. 듣는다는 것은 세상의 수많은 소리 중에 가치 있는 소리를 끌어안는 것입니다. 또한, 걷는다는 것은 대지를 끌어안는 것입니다.
그 본질에 있어 낯선 것인 세계와 내가 소통하는 방법은 그처럼 ‘끌어안음’을 통해서만 실현됩니다. 그러나, 끌어안음은 한 사상가가 표현했듯이 ‘목숨을 건 비약’입니다. 내게 목숨같이 중요하던 관성을 성찰을 통해 뒤집을 수 있을 때 비로소 낯선 세계와 만날 수 있습니다. 낯선 세계에 대한 사람의 포옹속에 ‘아름다움’이 있습니다. 아름다움은 낯선 세계와의 포옹을 통해 만들어지는 ‘결’입니다. 낯선 세계일뿐인 ‘물’은 나와의 포옹을 통해 ‘물결’이 됩니다. ‘바람’은 ‘바람결’이 됩니다. ‘숨’은 ‘숨결’이 됩니다.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존재로서의 예술가는 ‘결’을 만드는 존재입니다. 예술작품으로서의 ‘결’은 금강저의 투철함과 천의무봉한 선녀옷의 한없는 부드러움을 동시에 갖습니다. ‘결’은 알을 깨고 나오려는 새끼새의 부리질과 밖에서 알을 깨주려는 어미새의 부리질이 정확하게 일치하여 새끼새가 세상에 태어나는 ‘즐탁동시’의 절묘함이기도 합니다.
‘결’을 창조하는 예술가의 작업은 매체에 대한 숙련성만으로 달성되지 않습니다. 미야고프스키‘가 말하듯 ‘시어 하나가 창조되는 것은 수십톤의 흙을 걸러 1g의 라듐을 만드는’과정이며, ‘노신‘이 말하듯 ‘소가 취하는 것은 거친 풀이나 세상에 내 놓는 것은 젖’인 것처럼 감상자가 눈물을 흘리기 위해 창작자는 피눈물을 흘리지 않으면 ‘결’은 창조되지 않습니다.
저의 창작관은 ‘90%의 학문과 9%의 실천과 1%의 영감’으로 사진은 창작 된다는 것입니다.
사진가는 혹은 예술가는 시대의 본질을 관통하는 주제를 끌어안을 줄 알아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당대에 이룩된 학문적 성취를 뛰어넘는 독자적인 학적세계와 시대의 본질에 대한 견해를 가져야 합니다. 그러나 그것은 학문일뿐 아직 예술일 수 없습니다. 자신의 견해가 실천을 통해 확인되고 검증되지 않으면 안 됩니다. 그러나 그것은 운동일 순 있어도 아직 예술일 순 없습니다.
공자님은 논어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아는 것은 좋아하는 것만 못하고, 좋아하는 것은 즐기는 것만 못하다’ 아는 것이 학문이라면 또 좋아하는 것이 가치를 실현하기위한 실천이라면 즐기는 것은 이론과 실천의 통일이며 체화입니다. 즐거움은 이론과 실천을 통해 이르고자하는 궁극이며 ‘결’의 속성이기도 합니다. 즐거움의 단계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예술이 됩니다. 예술가가 학자의 모습으로, 운동가의 모습으로 비출 수 있는 것은 현실발전의 법칙과 예술발전의 법칙이 결코 분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아래줄임, 이시우 옥중편지 07.05.01 가운데)
|
|
|
|
|
후기
0. 해콩님 서재에서 옮겨오다.
1. '가슴, 결, 끌어안음, 아름다움', 우리말이 좋다. 복잡하게 개념어를 공부하지 않아도 '가슴'에 다가와서 더 좋다. 새로움을 낳는 방법도 그지없이 단순하고 편하다. 오감에 가슴을 덧붙이고, 보고 듣고 맛보고 냄새맡고 느낄 것에 한걸음 나아가 편하게 '끌어안을' 것을 요구한다. 오감은 부지불식간에 세상을 끌어안게 되어버렸다.
2. '아름다움' 또한 타자를 끌어안을 때만 생긴다. 그 접점이 '결'이고 예술가의 존재이유라 한다. 타자를 끌어안기도 벅찬 데, '결'이라~ . '물결', '바람결', '숨결', '사람결'. '결'을 다시 가슴에 안게 만든다. 새로나온 말, 새로나올 말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은어, 속어만이 아니라, 쿨하고 시크한 것만이 아니라, 우리 관계를 새롭게 느끼게 만드는 우리말들이 지금 호칭할 수 없는 풍부함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새롭게 관계짓고 만드는 사회적 삶을 충만하게 하는 새로운 말들이 말이다.
3. 자본의 끝자락의 욕망을 강화하는 신조어들이 아니라... ...
4. '학문'과 '예술'과 '운동'의 경계도 이렇게 '결'이란 한단어로 쉽게 설명해낸다. 그 차이는 '즐거움'밖에 없다. 정말 쉽지 않은가? 철학책, 사회과학, 인문과학 서적 수백권보다 더 쉽지 않은가? 혼자 생각은... ... 또 그 같음에 대해서도... ...
5. 사진때문에 옥고라. 늘 어이가 없어지는 세상이지만. 국가라는 틀로 힘의 행사가 볼수록 가관이다. 더욱 땅을 단단하게 다지는 일만 하는 어리석음을 범하는 것은 아닌가? (자본-네이션-국가)는?
6. 혼자 좋아하는 말들은, '몸', '마음', '꿈', '머리', (나-너), ... ..이다. 단음절의 말은 위험에서 보호하기 위해, 의사소통의 적확성으로 인해 생긴 말들이라 한다. 땀, 숨, 몸, ....밥... 어쩌면 이렇게 압박하는 삶, 사회적 삶이 불가능한 세상살이에 그것을 깨는 단음절의 무엇을 외쳐야 살아남을 수 있는 것은 아닐까? 욕이되든, 관계를 복원하는 단음절이 되든... ...
7. 이시우님을 검색해보았다. 사진 한 점,
시린 하늘 저편으로 날아가는 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