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장 깨끗한 물과 위생시설 / 데이비드 새터스웨이트, 고든 맥그라나한
3장 도시에서 농사짓기 / 브라이언 함웨일, 다니엘 니렌버그

1. 도시에서 농사짓기 - 기본적인 생태, 싱싱한 것은 있는 자리나 가까운 곳에서 먹는다. 분권의 영농이 가장 안전하고 비용도 덜든다.  운송, 냉장고 등 저장시설, 가뭄 등 비상시 안전한 먹을 거리 공급, 온실효과 방지 등과 같은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쿠바가 식량 공급 중단에 맞춰 유기농으로 이런 시스템을 만들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 하지만 더 마음에 끌리는 이야기는, 사람들 사이에 대화가 10배이상 많아지고, 정서적, 서로 만나는 회수가 많아지는 사람들 사이, 정신적 치유에 증폭되는 효과가 더 크다한다.~ 물론 비만해소에도 좋다고 한다. 사회자본이 늘어나니 더욱 안전해질 것이고.

자급까지는 아니겠으나, 옥상을 놀리지말고, 아름다운 수선화키우기를 해서, 다른 마을에 한뿌리씩 분양해도 좋겠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각박한 도시의 하루, 일년에 꽃같은 마음들 나눴으면 좋겠다. 수선화데이라도... .. 골목길에 개울이라도 만드는 일은 그리 큰 돈은 들지 않을 것 같다. 구의원들있으면 공약이라도 내걸라고 하시구...(사진 엠파스에서 펌)

2. 요즘, 내몸이 내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이것 역시 오만인 것 같다. 빌어쓰는 것이라고 생각을 고쳐먹지 않고서는 몸이 파업이라도 할 것 같다. 세상은 만만한 것이 없나보다. 내몸도... ...

3. 지난 칠월 첫날, 3바퀴를 달려주다. 9.3k, 자*대, 목련잎이 더 무성해지니 이쁘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