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우를 확 섞어버려야..." 



세여자 2권은 1939년 경성부터 해방, 친탁반탁, 한국전쟁, 북한의 남로당파, 소련파, 연안파 숙청까지 조선공산당의 역사를 축으로 정숙이 사망한 1991년의 흔적까지 살펴볼 수 있다. 1990년 한소수교이후에야 많은 자료들이 개방되었고  비비안나 박의 방문으로 주세죽의 유배사실도 밝혀졌다 한다. 주세죽은 2007년에서야 대한민국 건국훈장을 받게 된다. 대신 훈장은 받은 그녀도 6년 뒤에 세상을 떠나게 된다고 한다.


1. 봄 - 저자는 소제목으로 20세기의 봄이라고 적어두었다. 20세기. 그리고 봄이다.라고. 백년전 출발한 청춘들의 삶의 이력이라고 보다는 우리 아픈 역사를 품에 안는 것 같아 더 가슴이 아프다. 어느 하나로 정리할 수 없는 다기한 상황과 삶들은 여전히 진행중인 것 같아 안타깝기만 하다. 왜 봄이라고 했을까. 


2. 횡단열차 - 타고싶다. 그저 끊임없이 펼쳐지는 평원이나 평화로운 모습들은 아닐 것이다. 이렇게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출발한 열차는 느릿느릿 사과나무의 발원지 카자흐스탄. 그 안의 크질오르다를 거쳐 우랄산맥의 역들과 모스크바. 그러다가 다시 우랄산맥을 넘어 끝도 없는 시베리아로 읽고 느낀 사연들을 배고 베이면서 갈 것같다. 온전한 여행은 되지 못할 것이다. 관광은 더 더구나. 



3. 미세 - 먼지. 플라스틱. 균. 20세기는 전쟁의 시대였고, 여전히 21세기도 전쟁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워져 있다. 어쩌면 또 다른 전쟁을 치루고 있다. 비만과 우울. 건강과 삶의 질은 원인도 모른 채 더 많은 희생을 치뤄내고 있는지도 모른다. 원자력이든 반도체든 가습제든 편리와 편이는 과학의 이름으로 찾아와서 그렇게 만들어진 사물은 여러 형태로 오염원이 되어버린다. 그리고 수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난 뒤에야 과학이라는 이름으로 그 원인이 찾아지는 것이다. 새로운 것은 새롭지 않다는 사실들을 염두에 둘 때만 조금 비껴갈 수 있는 것은 아닐까 싶다.  




볕뉘. 


1. 그랬으면 좋겠다. 좌우라는 것이 허울이고 섞여버렸으면 좋겠다 싶다. 용서가 되고 다시 시작할 수 있다면 말이다. 하지만 그렇게 좌나 우로 나눌 수 없는 것이 현실일 것이다. 그러니 그 말은 올바른 표현이 아니다. 섞일 수는 없는 것이고, 설령 섞인다면 더욱 다양해지는 것이고 달라져야 하는 것이겠다 싶다. 그리고 달라진다는 것이 서로를 표적으로 삼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삶의 온도가 올라가게 하는 일이 우선 일 것이다.  


2. 정치란 무엇일까, 권력이란 무엇일까, 삶이란 무엇일까, 목숨을 경각에 달리게 한다는 것은 어떻게 봐야하나, 역사와 사람, 권력을 보는 태도, 시대를 보는 안목들로 서로 벼르지 않는다면, 조직이 만든 목적에 늘 경도될 것이다. 권력을 탐하고 권력의 사생아들만 영웅이란 이름으로 나타나기만 하는 것은 아닐까. 그 역시 소모품으로 쓰일 것이며 사물에 대한, 삶에 대한 태도 , 윤리는 어느 구석도 비집고 들어갈 구석이 없다. 


3. 정치는 어쩌면 한 번도 우리를 목적으로 가진 적이 없는지도 모르겠다. 정치는 그들의 목적만으로 그들의 시간만 가지고 흘러갔고 우리를 늘 수단으로 여기는지도 모르겠다. 정치는 홀로 똑똑해질 수 없는 사물이다. 20세기, 21세기. 백년은 지극히 짧은 시간인지도 모른다. 그래도 봄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품고 있는 지는 의문이다. 복기를 한다면 또 다른 가능성과 길은 있을까. 그 많은 갈래길이 새롭게 자라는 뿌리로서 자랄 수 있을까. 우리의 삶들이 아둔한 정치와 이데올로기에 희생되지 않으면서... ... 또 다른 이름없는 생명들의 삶을 담보삼지 않는다면...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