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영혼은 자신이 행하는 바를 행한다


완독. 제목은 저자가 1987년 1월 18일에 쓴 서문의 마지막 대목이다. 


1. 책친구들 - 어제 친구들을 집에 모셨다. 과메기와 육전, 치맥까지 퇴직을 기념해서 모였다. 40대초반과 30대후반인 분들. 모짜르트 연주에 푹빠져있는 모습이 최근 근황이었다. 근황을 물어보기에 막 서예와 연애에 빠졌다고 했다. 그리고 이 책에서도 언급하는 중립자의 철학를 폐기하는 놀라운 레비나스 다시보기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연주에 빠져있는 책친구는 소개해준 도나 해러웨이 저작을 깊게 훑고 있었다. 포스트-휴먼이론의 선두주자인 이 양반은 브루노라투르와 더불어 다원론, 다양성의 존재론적 전회를 맛보게 하는 일대 사건의 배후자들이기도 하다. 하지만 휴먼을 너머가기가 아직 아닌 것 같아, 이 분 저작에 매진하고 있다고 했다.


2.페르난도 페소아 - 조용미시인의 시집. 나의 다른 이름들 마지막 시의 제목이었던 것 같다. 실제 다른 이름으로 살아간 페소아. 그의 저작들에 푹 빠졌던 기억들. 그런 면에서 더 파격이었던 테스트씨란 폴 발레리의 작품을 한 번 보시라. 그 매혹.에 빠져나오기 힘들 것이다. 레비나스가 이 책에서 폴 발레리의 테스티씨를 다시 불러내었다. 이렇게 나란히 두게된다. 과거는 이렇게 미래에 온다 싶다.


3. 몇 구절을 소개할까 싶었는데, 훌륭하게도 이 책의 서문은 제일 뒤에 있다. 도덕이나 윤리가 제일 철학이라고 하면서 말이다. 그가 영향받은 저자. 하고픈 요약을 정말 아름답고 숭고하게 적은 듯 싶다. 며칠 뒤면 서문을 쓴 지 34년이 된다. 


어찌 그를 사숙하지 않을 수가 있을까. 2021년의 가장 추운 날은 이렇게 기억에 남는 날이 되고 만다. 레비나스!! 사랑에 대한 사랑의 철학자. 마음을 두드려 줘서 감사.


탈은폐된 것의 즉자와 대자 너머에 인간의 벌거벗음이 있다. 세계의-풍경들의, 사물들의, 제도들의-외부보다 더 외재적인 벌거벗음, 세계에 대한 자신의 낯설음을 외치는 벌거벗음. 그 벌거벗음은 스스로를 드러내면서, 감춰진 자신의 비참이 지닌 부끄러움을 절규한다. 그것은 영혼에서의 죽음을 절규한다. 이 인간의 벌거벗음은 나를 호명한다. 그것은 나인 그대로의 나를 부른다...얼굴은 낱말들에 앞서 이미 언어다.....인간에게 주어진 명령 가운데 자리 잡은 인간적 명령의 이념. 들을 수 없는 언어, 전대미문의 언어, 말해지지-않은 언어. 성서! - P467

베르그송은 무엇보다 현상학의 대가들이 중요한 입장들을 내세울 수 있게 해준 철학자다. 그는 지속의 개념을 통해 시간을 천문학에 대한 복종에서 해방시켰으며, 사유를 공간적인 것과 고정된 것의 집착으로부터, 기술적 확장과 이론적 배타주의에 대한 집착으로부터 해방시켰다. - P464

데카르트가 [제1철학에 관한 성찰]의 <제3성찰>에서 자신의 노에마에 상응하지 않는 하나의 노에시스와, 자신의 사유대상에 상응하지 않는 하나의 사유와 마주쳤다는 유념해야 할 사실이 이 책의 저술에 관통한다.직관의 명증에 머무는 대신 철학자에게 눈부심을 주는 한 관념. 진리에 의해 사유하는 것보다 더 많이 사유하는 사유. 자신이 사유한 무한에 대해 응답하며 또한 경배하는 사유. - P469

후설은 스스로 물었다. ‘지혜-의-사랑‘에서의 사랑, 그리스에서 비롯한 철학인 사랑에 정말 소중한 것이 대상을 에워싸는 지식의 확실성인지, 아니면 이 지식에 대한 반성에서 오는 한층 더 큰 확실성인지를. 또 철학자가 사랑하고 기다리는 이 지혜가 인식의 지혜를 넘어서는 사랑의 지혜인지 아니면 사랑을 대신하는 지혜인지를. 사랑에 대한 사랑으로서의 철학. 다른 인간의 얼굴이 가르치는 지혜! - P470

타자의 벌거벗음과 비참함 속에서의 명령. 이것은 타자에 대한 책임으로의 명령이다.존재자. 존재-론의 너머. 신의 말. 배후-세계들의 피안에 대한 어떤 사변으로부터도 나오지 않는, 지식을 초월하는 어떤 지식으로부터도 나오지 않는 신학. 얼굴의 현상학. 필연적으로 신에게로 거슬러 올라감. - P46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