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懷비悲


슬픔을 품다




1. 황정견 - 지인에게 초서 관련 괜찮은 책들을 물으니 이리 친절히 안내하고, 이력까지 꿰뚫어준다.  구양순, 안진경부터 얘기가 돌다가 초서 맥락을 언급하자 이리 집는다. 먼저 황정견의 글씨가 취중달필처럼 눈에 확 들어왔는데, 이어 회소에 관심을 보이자 하나 더 글씨를 덧보인다. 두 번째는 회소가 나았다. 


2. 부자 - 부자들 가운데 작은 부자들은 설친다. 부동산도 그러하고 많은 이들은 굳이 나설 필요가 없다. 전국이 들썩거려도 말이다. 보이지 않는 부는 탄탄하다. 시스템과 문화, 관리 노하우까지 붙어있다. 그런 관성은 하나의 회사라도 쉽게 볼 일이 아니다. 다들 개혁하고 바꾸겠다고 열심인 사람들은 그 문화의 문턱을 쉽사리 넘지 못한다. 그러다가 늘 체제내화하기 마련이다. 부유의 카르텔이 얼마나 공고한지 헤아리지 못한다면, 그것이 얼마나 매몰찬지 느끼지 못한다면 몇 걸음도 걷지 못할 것이다. 늘 있는 놈들이 더했다 싶다. 


3. 권력 - 대부분 남용을 탓할 뿐이지 정작 그것이 갖게되는 힘이 얼마인지를 가늠하지 못한다. 하지 않게 하는 것도 힘이고, 미처 생각하지 못한 것도 힘일 것이다. 평사원이 대리가 되는 것도, 또 어떤 이가 완장을 차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장애가 아니라 정상인으로 사는 것도 아프지 않기에 누릴 수 있는 힘이 많은 것이다. 조직이라는 것, 사회라는 것은 이런 헤아림의 과정이다. 저 자리가 어떤 것이라는 것은 연구하고 발견하지 않으면 안된다. 안타깝게도 보이지 않는 부자들이 힘의 미세한 부분까지 조율한다면, 선출된 권력들은 명예욕에 불타 올라갈 자리의 욕망만 가득해 무엇을 해야하는지조차 모른다. 이런 것이 허다하다. 그러니 그 다음은 남탓하는 것이다. 희생양으로 쓸 좀더 힘없는 자가 불쏘시개로 쓰여지는 것이다. 


4. 발견 - 그런면에서 동전의 양면처럼 비슷한지도 모르겠다. 안타깝게도 많은 이들은 슬픔에서 시작하지 않는다. 슬픔도 찾지 않는다. 슬픔의 힘을 차곡차곡 쌓는 것에도 관심이 없다. 그런 현실들이 세밑을 더욱 불우하게 만들고 있다. 약한 자, 아픈 자, 힘없는 자는 왜 눈길조차 받지 못하는가. 왜 힘있는 자는 더 힘을 갖는 것에만 신경쓰는가. 이런 빚들로 자신의 안녕이 구가되는 것조차 모른단 말인가. 눈치없는 인간들이 팔할이라니.. 상수의 <<생활의 발견>>, 형은 경수에게 사람이 인간이 되지는 못하지만 괴물이 되지 말라고 한다. 그 인간은 또 다른 친구에게 벌짓은 한 뒤 괴물은 되지말라고 조언한다. 꼬리를 물며..


송나라 4대 명필 가운데 한명인 황정견은 시에 능할 뿐만 아니라 서예는 그야말로 경지에 이르렀다. 글씨체에서 약간의 불우함도 느껴지는 듯싶다. 당나라의 회소도 또 다른 맛. 12/18


화제총람과 삼체 천자문이 먼저 도착했다. 12/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