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를 사랑하는 세계인으로
문선명 지음 / 김영사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통일교회. 위키백과(http://ko.wikipedia.org/wiki/%ED%86%B5%EC%9D%BC%EA%B5%90)에서 검색해보니깐 다음과 같은 내용이 간략하게 나온다.

통일교회(統一敎會)는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世界平和統一家庭聯合)이라고도 불리었으며, 1940년대에 대한민국에서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世界基督教統一神霊協會)의 이름으로 문선명이 창시한 기독교계 신흥 종교이다. 주요 경전은 성경에 기초한《원리강론》,《천성경》 등이 있다.

1954년 단체의 설립 당시 정식 명칭은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였고, 세간에는 약칭 '통일교회'로 알려졌다. 한편 1994년 대한민국에서 '세계평화가정연합회' 및 1996년 미국에서 '세계평화가정연합'을 창설하여, 1997년 기존의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를 '세계평화가정연합'과 통합하며 공식 명칭을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으로 출범하였다.

그러나 기존과는 상이한 교리가 많은 신흥 종교였기에 배타적인 성향의 여러 기성 개신교 종파들로부터 초반부터 이단 논쟁이 발생했으며, 지금까지도 대한민국의 기독교계에서는 논란중인 상태이다.

뭐 통일교(이후 이렇게 부르겠다)에 대해서는 많건, 적건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필자의 통일교에 대한 첫 접촉(?)이라고 한다면, 대학교 3학년때였을 것이다(안지 얼마 안 되었다고 해야 하나?). 모 대학 인문학과에 입학한 필자에게 '북한학과'라는 생소한 분반이 배정되었고, 거기에서 1년 여를 보냈던 필자는 군대를 전역한 후 고고미술사학과로 전공을 정했지만, 예전 학과 선배에 대한 소식을 우연히 듣게 되었다. 예전 과 대학 선배 중에 평화자동차 회사에 취직한 사람이 있었고, 그 선배가 북한학과의 취업 문제와 관련된 앞으로의 미래성(장래성?)을 강의하기 위해 학교를 방문한다는 플랜카드를 봤기 때문이다. 그래서 평화자동차가 뭔지 궁금해했던 기억이 났고, 누군가 옆에서 통일교에서 북한에 평화자동차 공장을 건립하고 휘파람이라는 자동차를 만들고 있다는 얘기를 해 줬다. IMF 당시 한국의 국교를 통일교로 정해주면 문선명이라는 총재가 한국의 부채를 탕감해주겠다는 제안을 했다~라는 얘기와 더불어 말이다(사실인지 아닌지 모르겠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별로 신경을 쓰지 않았는데, 어느 날 경제 관련 잡지에서 문선명 총재에 대한 기사가 있어 읽게 되었다. '워싱턴 타임즈'가 통일교 꺼라니...와우...그리고 통일교에 대한 이야기가 주욱 나왔는데 정말 어마어마한 종교구나~하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 그리고 몇년 후 친한 친구의 졸업식때 학교를 찾아가보니 바로 선문대였다. 그렇게 통일교에 대해 알게 모르게 조금씩 알아가면서 어느덧 30년 가까운 시간이 지났다.

오랜만의 휴가를 맞아 집에서 쉬면서 시원한데서 공부나 하자~는 심정으로 학교 도서관을 며칠 찾았다. 그런데 학교 앞에서 누군가가 책을 나눠주는 것이었고, 그 책이 바로 이 책이었다. 이름, 연락처, 주소를 적고 받아가라는 얘기에 별 생각없이 책을 받아서 전철에서 읽어봤다. 한 이틀 정도 전철에서만 왔다 갔다 하면서(참고로 집에서 고대역까지는 전철로 40여분 정도가 걸린다) 읽었는데, 뭐 내용이 어려운 것도 아니고, 분량이나 글자가 빼곡한 것도 아니라서 부담없이 읽을 수 있었다. 집에 갔더니 어머니가 농담조로 "너 통일교 들어오라고 전화오면 어떡하냐?"라고 해서 '설마? 그런가?' 싶었지만, 이내 신경끄고 책장을 넘겼다.

자서전이다 보니 약간의 과장된 내용과 각색된 내용이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나 이런 사람이요~'라고 나의 잘난 점을 소개하는 것도 자서전이라면 당연한 것이니 그냥 넘어갔다. 그냥 최대한 객관적인 사실만 살펴보고, 이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를 살펴보면서 책을 읽어 나갔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책을 다 읽은 지금은 문선명이란 사람을 단순히 '이단'이라는 한 단어로 단정짓고 더 이상의 평가나 비평을 하지 않는 것은 잘못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책을 다 읽은 다음, 인터넷 서점 싸이트의 서평들을 보니 극과 극의 평가가 확인되었다. 심지어 김영사(출판사)가 실망이라며 거기서 나온 책을 다 버려버리고 싶다는 분부터, 잘 몰랐는데 대단한 사람이라는 평가(필자와 뭐 크게 다르지 않은 듯), 역시 대단하신 분이라는 사람(아마 통일교를 믿으시는 분인 듯한 냄새가 났다) 등등 다양한 평가가 있었지만, 대부분은 대단한 사람, 사이비 교주 뭐 이런 식의 양분된 평가였던 것 같다. 그래서 홈페이지가 있나 해서 한번 들어가 봤더니(http://www.tongilgyo.org/), 뭐 일반적인 종교집단과 큰 차이가 없는 것도 같았다. 그것이 신흥종교집단이냐, 수천년의 역사를 가진 전통종교집단이냐의 차이랄까?

필자는 개인적으로 기독교를 좋아하지 않는다. 개신교나 카톨릭 뭐 상관없이. 유일신을 믿는 일신교로서 자신만이 최고고, 타종교에는 지극히 배타적인 그런 자세가 마음에 들지 않아서이다. '예수천국 불신지옥'이라고 떠드는 사람들도 싫고 말이다(물론 기독교 집안의 친구말로는 그런 사람은 기독교라고 할 수 없다고 하지만, 그 사람들이 기독교의 탈을 쓰고 그런 짓을 하는 이상 전적으로 책임이 없다 할 수 있을까?). 그럼 천국에는 전부 기독교인들만 있단 말인가? 필자는 그동안 통일교가 기독교의 탈을 쓴, 나만이 메시아요, 내가 새로운 신이다~라고 떠드는 그런 이상한 신흥종교인데 좀 잘 나가는 것 정도로만 인식하고 있었다. 뭐 문선명 스스로 마호메트와 같은 메시아라고 얘기하는 것 같기는 한데 그것까지 잘못이거나 문제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잘은 모르지만 가끔 聖靈의 신묘한 이치를 깨닫고 종교활동에 전념하는 분들이 계시지 않은가? 마치 신내림으로 무속인의 삶을 살아가는 분들처럼 말이다. 그런데 이 통일교의 이치가 참 재미있다. 전 세계는 하나가 되어야 하며, 종교나 인종의 구분이 없어야 한다고 역설하고 있기 때문이다. 뭐 설령 지금의 시각으로 봐서는 기독교의 교리나 구조와 비슷하지만, 기독교와는 다른 오직 하나님만을 모시고 경배하는 종교집단인 셈이었다.

'흠. 정말 기성 교회집단에서 싫어할만 하겠다.'

이런 생각을 하면서 책을 읽어 나갔다. 일단 문선명 개인의 삶은 굉장히 어렵고 고난의 연속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그 역경을 딛고 그는 자신의 어렸을 적 꿈인 세계 평화와 박애 등을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 다신교 국가이자, 신교라는 독특한 신앙체계가 존재하는 일본에는 신흥 종교가 너무 많아서 하루에도 수십개가 나고 진다고 한다. 우리나라에도 말세기적 상황에서 몇몇 신흥종교가 크게 세를 얻어 전국적으로 사회적 문제를 일으켰던 적도 있고 말이다. 하지만 적어도 통일교의 경우에는 아직까지 그런 모습은 크게 보이지 않는 것 같다. 통일그룹에는 (주)일화, (주)선원건설, 용평리조트, 세계일보 등 누구나 들었음직한 계열사들이 존재하며, UPI 통신, 워싱턴 타임즈, 뉴스 월드, 세까이니뽀 등 국제적인 언론회사들도 갖추고 있어 그 사업에서 나오는 수익으로 종교활동을 꾸준히 진행할 수 있었다. 그 모습이 조금 특이했다. 수익사업을 하는 종교집단이라. 불교나 대종교, 원불교, 기독교, 개신교, 이슬람교 등등 우리나라에 기존에 있던 종교집단과는 다른 형태였다. 언뜻 칼뱅(칼빈, 캘빈 등등)주의가 떠올랐다.

또한 리틀 엔젤스가 통일교와 관련되어 있는지 처음 알았으며, 북한에 평화자동차 말고 보통강호텔을 경영하는 것도 처음 알았다. 브라질에 축구팀을 갖고 있는 것까지 말이다. 그나저나 구 소련의 고르바쵸프 대통령, 미국의 부시 대통령, 북한의 김일성 주석 등 정말 대단한 세계적 명사와 안면이 있고, 그들과 굵직굵직한 국제적 사건들을 벌였다는 것이 신기했다. 한-소 국교 성립과 방북 후 북한의 핵사찰 합의, 펠레와의 만남 이후 창설한 피스컵 대회 등등 이 모든 것에 통일교와 문선명 총재가 관련되어 있었다는 것이 신기했다. 그 사람이 이단이든, 아니든, 사리사욕을 위해서든 아니든 그가 한국사 혹은 세계사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는 사람이라는 것은 변함이 없었다. 그리고 통일교에 대해서 이전보다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있게 되었고, 다른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 이 책을 읽은 후 얻은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 점이 가장 크게 작용해서 별 4개를 주고 싶기도 하고 말이다.

예전에 문선명 총재에 대한 기사를 봤을때 그가 모든 것을 다 이루고 나이가 엄청 많은 지금도 매일 새벽 3시에 일어나 기도하고, 하루종일 바쁜 스케쥴을 소화하느라 정신이 없다는 내용을 본 적이 있었다. 우리나라 거대 기업의 CEO들이 그렇게 지냈다면 이해를 하겠지만, 한 종교 집단의 최고지도자의 일상이라고 보기에는 너무 바쁘고 빠듯한 일정이 아니었나~싶기도 했었다. 암튼 그의 사상이나 교리를 떠나서 그가 어렸을 때부터(아니면 적어도 청년 이상의 나이가 되었을 때부터) 열심히 노력하고 자신의 뜻을 위해 전진해 나갔다는 것을 충분히 알 수 있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한 사람이 일생동안 이처럼 거대한 종교집단과 기업조직을 일궈낸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지 않은가? 그럼 그만한 이유가 있는 것이 당연하며, 그것은 객관적으로 평가받아야만 한다고 생각한다.
 
종교와 종파, 교리와 사상을 떠나 통일교가 어떤 종교집단이며, 그 종교집단을 일궈내기까지 문선명 총재가 어떤 삶을 살았는지 알아보는 좋은 자료라고 생각한다. 물론 그렇게 열심히 사는 모습을 보고 느낀 바도 많이 있었지만, 아무래도 종교적인 이야기와 결부된 내용이 많다보니 그 부분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도록 하겠다(참고로 필자는 불교이며, 타 종교에 관용적인 입장이다). 음. 이 정도면 이 책을 읽고 난 소감으로는 충분한 듯 싶다. 개인적으로 사서 읽으라면 안 읽었겠지만, 우연한 기회에 좋은 책을 봤다는 생각은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