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2월 러브테마 내맘대로 좋은 책
그에게서는 언제나 비누 냄새가 난다. 소녀 시절, 단 한 줄의 문장으로 나를 사로잡아버린 소설. 언젠가 김혜수, 손창민 주연의 TV문학관 드라마로도 방영되었다. 나는 여러 가지 감정이 뒤범벅이 된 혼란상태에서 자기를 건져 내야 한다고 어두운 강물을 바라보며 늘 생각하는 것이었다. 마음 가는 대로 몸을 내맡길 수 없는 것이 나의 입장이고 또 그 마음 가는 일 자체에 대해서도 분열된 생각을 수습할 수가 없었다. 사춘기의 풋사랑이 혼돈인 까닭은 ‘미지’이기 때문이다. 미지로 향하는 자기분열 속에서 한층 촘촘해지는 나이테.
앙드레 지드의『좁은 문』과 더불어 플라토닉 러브의 정수를 보여주는 소설. 평생 누워 지낼 수밖에 없는 소녀를 사랑하게 된 한 남자의 외침. 너의 오빠라도 좋고 너의 아버지라도 좋다. 아니 너를 위해 세상의 무엇이라도 되고 싶다. 나의 것이 되어달라고 요구하는 게 아니라 너의 것이 되고 싶다고 말하는 종교적 사랑. 사랑으로 아플 때, 욕심을 버려야 할 때, 참선하듯 떠올렸던 소설.
윤대녕의 작품들은 방황하던 내 젊음의 한때와 맞닿아 있다. 나는 떠날 용기를 내는 대신 그의 책을 집어 들곤 했다. 그의 첫 장편인『달의 지평선 1·2』는 알듯 말듯 참신한 은유로 가득한 연애소설이다. 사막 같은 남자를 사랑하는 아이스크림 같은 여자. 어르고 찌르기를 반복하는 선문답 같은 대화. Ever After를 우아하게 비껴감으로써 오롯한 미적 성취를 이루는 연애. 사랑의 빛과 이면의 그림자를 동시에 그려 보이는, 불안했던 내 젊음의 기념비적 소설이다.
젊은이들은, 경험을 했다는 건 하나의 패배라는 것을, 모든 걸 다 잃고 나서야 겨우 뭔가 좀 알 수 있다는 것을 모른다. 사회가 갈라놓은 사람들을 고독이 서로 결합시켜 주는 것이다. 인식은 포화 상태에 이르렀으나 그것을 표현할 수 있는 절제력은 기르지 못했을 무렵 카뮈의 문장들을 빌려 내가 하고픈 말을 해야 했다. 처음엔 나를 표현하려는 열망에 그의 글에 기대었지만 카뮈를 꾸준히 읽으면서 나 자신을 인정하고 사랑하게 되었다. 그를 알고 나서 나는 변했고, 책 속에 길이 있다는 말을 믿는 건 오로지 카뮈 때문이다. 큰 일에 임해서는 자신의 원칙을 세워 그에 따를 것이요, 작은 일에는 자비심만으로 족하다. 이 문장처럼 살고 싶다.『안과 겉』의 세계관은 현재의 나에게도 여전히 유효하다.
내가 바로 히스클리프야. 만약 다른 모든 것이 없어지더라도 그가 남아있다면, 나 역시 존재하는 거야. 그는 나보다도 더 나 자신이야. 이 괴이쩍은 로맨스를 읽으며 영원한 사랑을 꿈꿨다. 일찍이 소울 메이트였던 히스클리프와 캐서린에게 육체, 재산, 결혼으로 상징되는 물리적 세계란 아무런 의미도 없다. 히스클리프는 캐서린이고, 캐서린은 곧 히스클리프이기에 그 외의 사람들은 들러리에 불과할 뿐 아무런 힘도 없다. 마침내 육체의 속박을 벗어나 황야에서 영혼으로 재회하는 두 사람. 당신은 나보다도 더 나 자신이에요. 감히 그렇게 말할 수 있는 사랑. 워더링 하이츠의 두 영혼이 오래도록 잔영으로 남아 외롭고 높고 쓸쓸한, 그러나 절대적인 사랑을 그리워했다.
갓 구워낸 연어 한 점에 정종 한 잔. 또는 데친 두부에 따끈한 정종 한 잔을 떠올리게 하는 부드럽고 담백한 연애담. 아내를 잃고 적적한 선생님과 잃을 사람조차 없어 울적한 쓰키코의 우연한 재회. 뜨거워질 만큼 뜨거워져 시커먼 재로 남는 사랑이 아니라, 언제 불을 지폈는지도 모르는데 은근한 불씨가 오래오래 남아 두 사람을 따습게 밝혀주는 사랑. 뜨거움과 뜨거움이 만나는 게 아니라 외로움과 외로움이 마주쳐 서로를 알아보고 안아주는 것. 그런 사랑도 있고 혹은, 그게 사랑인지도 모른다.
연민에서 시작되는 사랑도 있겠지만 한편으로 사랑의 정점이 연민은 아닐까 한다. 중년 혹은 노년에 이른 주위 어르신들을 보면 정으로 산다, 의리로 산다, 그리고 연민으로 산다는 말씀들을 종종 하신다. 나한테 미쳐서 결혼했다는 남편도 언젠가는 심상한 어투로 그런 말을 하게 될지 모르는 일. 박완서 할머니가 쓰신 책 중에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이 책에는 <워낭소리>의 할아버지, 할머니처럼 오래 산 부부들의 모습이 나온다. 인생의 늦가을 풍경으로 가득한 단편들을 읽으며, 짐승 같은 시간들을 함께 보내면서 상대의 누추한 그늘까지 받아들이고 보듬을 수 있을 때, 감히 사랑했노라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 문득 겸손해졌다.
사랑이란 이 세상의 모든 것
- 에밀리 디킨슨 -
사랑이란 이 세상의 모든 것
우리가 사랑이라 알고 있는 모든 것
그거면 충분해, 하지만 그 사랑을 우리는
자기 그릇만큼 밖에는 담지 못하지.
That Love Is All There Is
- Emily Dickinson -
That Love is all there is,
Is all we know of love;
It is enough, the freight should be
Proportioned to the groove.
가끔씩 이 시를 떠올린다. 자기 그릇만큼 밖에는 담지 못하지. 정말, 그런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