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호프 단편선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70
안톤 파블로비치 체홉 지음, 박현섭 옮김 / 민음사 / 200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러시아 소설 중에서 3번째로 이 체호프 단편선을 접했다.  첫 번째는 톨스토이의 단편집이였고, 두 번째는 푸슈킨의 단편집 이였다. 둘 다 나름대로 재미를 느꼈지만, 이 체호프의 단편들이 더 마음이 간다. 이 단편집에 수록되어 있는 단편들을 보면, 희극 속에 비극이라는 느낌이 많이 들었다. 드러나기에는 유쾌하고 웃긴데, 결말은 죽음으로. 허전한 느낌이 많이 든다. 하지만 그런 점이 더 웃기고, 충격적인 것 같다. 특히 [관리의 죽음]과 [드라마]의 경우는 더 그런 것 같다. [드라마]의 마지막 부분인 배심원들은 그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라는 부분에서는 웃어 버릴 정도였으니까. 그 외에도 [공포]나 [베로치카]의 경우에는 애매모호한 느낌을 받았고, [배짱이]와 [내기],[주교]의 경우에는 순수하게 이야기적 측면에서(?) 재미있게 봤었다고 할까. [내기]의 경우에는 올드보이를 연상케 했었다. 어떤 변호사와 은행가가 사형에 대해서 격한 토론을 벌이다가, 정말 엽기적인 내기를 걸었던 것이다. 사형이냐 종신형이냐. 하는 논쟁에서 젊은 변호사와 같이 둘 다 비윤리적이고 생명을 국가가 빼앗을 권리는 없지만, 흉한 범죄를 저지른 범죄자들과(사이코 패스 같은?) 격리 시켜야 할 의무(?)가 있기 때문에 쉽게 판단하기에는 힘든 것 같다. 사형은 개인적으로 반대하지만, 연쇄살인이나 강간사건이 일어날 경우에는 그런 마음이 흔들리기도 한다.  [베짱이]는 이 책에서 가장 많은 분량인데, 올가라는 부인이 베짱이처럼 놀고, 바람을 피다가 결국에는 정말 재능 있고 사려 깊은 이를 놓쳐버렸다는 것을 알게 된다. 항상 그렇지만 어떤 이의 진면목은 한 눈에 들어오지 않는 법이지.


 처음 [관리의 죽음]이라는 단편을 접했을 때는 뭔가 당황스러운 느낌 이였다. 잘 못 골랐다 싶기도 하였고. 하지만 써내려 간 것처럼 아주 재미있었다.  뒤에 해설을 보니 그는 농노의 자식 이였고, 중학교정도의 나이에 가세가 기울어서 어쩔 수 없이 글을 써야 했던 경력이 있었다. 그 글은 유머 글들 이였고, 그래서 그런지 그런 그의 재능과 경험들은 그의 단편들에 더 잘 들어나 보이는 것 같달 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