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부터 아리스가와 아리스라는 추리 작가에게 빠지게 되어서 작품을 읽고 있는데 공교롭게도 작년과 올해초에 그의 작품이 그 이전에는 뜸하다가 번역출간되는 경우가 많았다.  <여왕국의 성>도 그랬고 어제 읽었던 <까마귀 어지러이 나는 섬>도 마찬가지.

 

 

 

 

 

 

 

 

 

 

 

 

 

 

 

 표지는 마음에 드는데 소설을 그저그랬다.  대부분 그저그렇다는 소감을 가지게 되는데 자꾸 읽는 이유도 무얼까? 나도 잘 모르겠다. 그냥 히무라와 아리스가와의 콤비에 대한 매력을 느끼는게 큰 이유인 듯도 하지만 뭐...

 

 

 

 

 

 

 

 

 

 

 

 

 

 

 

 1월달에는 엘릭시르에서 발간했던 셜록홈즈를 구입했는데  <주홍색 연구>와 <네 사람의 서명>을 읽었다. 뭐 그냥 그랬다.  예전의 기분을 느끼기에는 다른 더 정밀한 작품들을 본 탓일까? 그것도 그것이지만 아무래도 제국주의 시절의 영국의 저자와 등장인물들의 사고방식을 재미로 퉁치고 넘기기에는 역겨워 하기에 그런 탓이 크다.  물론 그렇다고 아예 재미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일정정도야 재미는 있지만 반감디 외었다는 이야기다.

 

 

 

 

 

 

 

 

 

 

 

 

 

 

 

 <조선의 가족 천개의 표정>은 방금 다 읽었다. 한꺼번에 읽기에는 부담 없고 나누어서 틈틈히 읽는 것도 부담 없는 분량의 책이다. 거기다 글 모두가 아주 부담없이 읽을 수 있는 것들이라 더 좋고.  저자도 지적을 하는 부분인데 조선사회는 너무 가족에게 의지를 많이 해버려서 후에 가문이 나라보다 중시되는 지경에 이르게 되지 않았나 한다.  공공성에 대해서는 논문이 책으로 엮여서 나온 것도 같은데, 내가 생각하는 그런것일지 모르겠다. 서점에 가면 한번 훑어나 봐야지.

 

그리고 또 하나 흥미로웠던 건 경국대전에 과부의 재가를 사실상 금지하는 조항이 있던 것과 함께 남자도 부인과 사별한 후 재혼을 하기 위해서는 1년간의 금지기간 있었던 사실이다. 물론 예외조항이 있고 잘 지켜지지도 않았겠지만.  아아, 그리고 조선에서 신분을 결정 짓는데에 어머니의 신분이 중요했던 이유가 결혼생활 과정에서 여성집안의 공조가 중요했던 탓도 있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적처의 권리를 배타적으로 지키기 위해서 합의된 사항일 것이라는 것이다.  아주 새로운 것도 아니긴 하지만 그래도 제목처럼 조선의 가족에 대한 여러가지 면을 읽을 수 있어 즐거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