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에 읽었던 새롭게 읽는 서양미술사 내용이... 거의 생각이 안난다.  음 왜 이러지. 


다음 기회에 다시 한번 읽어보고, 요즘에는 김한규 교수의 <요동사>를 꺼내들어 읽고 있다. 


역사공동체론을 들며 요동 지역에 있던 역사를 한국사도 아니고 중국사도 아닌 요동사라는 또 다른 역사체계로 세우고자 하는 책으로 당연하게도 출간 당시에도 논쟁적이었던 책으로 알고 있다. 


일독 한것은 아니고 100여페이지 정도 넘기고 있는 중이라 더 말할 것은 없지만 고구려사는 한국사이니 중국의 지역사이니 하는 이야기들은 그냥 현재의 시점에서 정치적인 이유에 따라 재구성된 것에 가깝다고 생각하며 그런 주장이 가지는 정치적 필요성은 공감하면서도 독서인의 입장에서는 기꺼이 음미할만한 주장이라고 생각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스피 2025-09-25 08: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동이란 땅이 참 애매하긴 하지만 현재는 중국땅으로 편입되어 있지요.하지만 역사적으로 요동이란 땅은 고조서-고구려-발해-거란(요)-금(영진)-원(몽골)-청(여진)이 지배하던 땅이 었지요.실제로 요동땅을 중국이 지배한 적은 긴 역사속에서 청멸망이후 얼마 안되는 시간입니다.
특히나 금이나 청의 경우 자신들의 조상을 스스로의 역사서(금사나 몽골비사)에서 신라의 후예로 자처하고 있으니 요동은 우리가 잃어버린 옛 땅이라고 해도 무방하지 않을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