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하와 천조의 중국사 - 하늘 아래 세상, 하늘이 내린 왕조 이와나미 시리즈(이와나미문고)
단죠 히로시 지음, 권용철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국하면 무슨 생각이 들까?  대한민국을 비롯한 인접국에는 크게 좋은 이미지는 아닐 것이다.  동북공정을 비롯한 서남공정, 서북공정등을 통해서 정치적 안정성을 얻고자 하여 인접국에 크게 분쟁을 일으키고 있으며,  남중국해에서는 실제적인 영토분쟁도 일으키고 있다.  그리고 ‘중국몽’과 ‘일대일로’라는 거대한 그들의 꿈은 마치 전근대 시절 구가하던 중국의 영토내에 명멸해갔던 왕조들이 지녔던 위치를 되찾으려는 듯 하다.


 이 책의 저자는 그러한 태도는 예전의 화이관/중화사상에서 기인한 바가 있다고 하여.  고대 주나라부터 생겨난 회이관/중화사상의 역사적 궤적을 살펴 보고 있다.


 우선, 그 시작은 주나라 시절  분봉을 받은 제후국들 사이에서 언어와 습속이 비슷한 이들이 서로를 하나의 동류로 생각하고 다른 이들은 이적으로 생각하는 분리의식이 생겨나면서이다.  우리와 비슷한 사람과 다른 사람을 분리 생각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분리 의식은 상대방을 승냥이로 묘사하여 경멸하는 차별의식으로 나아갔다.  그리고 차별하는 그들은 우월감에 가득차 있었다.  여기서 화와 이의 차이는 민족적,지역적 차이는 물론이고 문화적 차이를 포함한다.  


춘추전국시대를 거치며  진/한이라는 최초의 중화제국이 탄생하면서 전근대 동아시아 세계의 게임의 룰이 형성되었다.  그것은 천하라는 세계는 하늘의 아들인 천자가 다스리며,  천자는 천명을 받은 자이다.  그러므로 천자는 위로는 하늘을 받들며, 아래로는 만인을 다스린다.  천자에게 천명이 내려간 것은 오로지 그에게 덕이 있기 때문이며,  천자는 덕화에 힘써야 한다. 만약 그러한 덕이 사라진다면 하늘은 천명을 새로 내려 천자를 갈아치울 수 있다. 물론 이것은 하늘의 뜻이 아니라 하늘의 뜻을 가탁한 여러 왕조의 개창자들이 주장했던 바이다. 


 이 게임의 룰이 얼마나 강고하였는지 ‘한’의 멸망 이후에 오호가 중원 지역이 들어와 왕조를 개창하였을때는 이런 화이관을 강하게 의식하여 스스로를 헌원씨의 후예라고 하거나,  비록 오랑캐의 지역에서 연원하나 천명이 주어지는 전제조건인 ‘덕화‘를 펴기 위한 정치를 하며, 중화의 문화를 체득하였으니  비로소 ’화‘가 되었다고 여기기도 했다. 그것은 정복왕조인 요,금, 원,청의 지배자들도 마찬가지였다. 물론 강한 콤플렉스만이 아니라 한인들을 지배하기 위한 정당화 작업이기도 했다.  


이런 화이관은 시대젹 배경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기도 하였다.  대원에 이어 등장한  대명의 주원장은 ’그들(원)이 쫒겨난 것은 그들의 덕을 잃었기에‘그렇다는 주장을 하였다.  단순히 민족적/지역적 차이를 강조한 것이 아니라 문화적 차이를 든 것이다.  당시 나라의 인적구성이 다민족이 잡거하는 상황이었기에 그런 것이 아닌가 한다.  이렇게 화이관에 기초한  중화사상은 정치적 정당화에 중요한 핵심요소 였으며, 인접국가들의 지배층의 정치적 정당화에도 원용되었다.  중원에 있던 왕조의 천자에게 책봉을 받으면서 정치적 권위를 얻음과 동시에. 자신이 천명을 받았다는 사실을 대내적으로 알리고자 하였다. 


그것의 방법으로는 주로 자신에게 내조해오는 이들을 통해 자신의 덕화를 증명했다. 가령 명나라의 자체의 정당성 확보는 물론이고 비상식적인 자신의 즉위의 정당화가 필요 했던 영락제 주체가 정화함대를 보내 수 많은 입공국을 만들었던 이유이며,  조선의 세조가 자신의 대에 이르러 대거 여진의 내조를 받은 것도(변경의 울타리를 만들기 위함도 있었으나) 자신의 비상식적인 즉위가 천명에 따른 것임을 증명하기 위한 것이기도 했다.  


저자는 중국몽이나 일대일로, 남중국해 등에서의 영토분쟁이  자신들의 천하관에서 정화 함대를 보내 국제질서를 구축하려 하였던 예전의 중화제국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이런 움직임은 예전과 달리 순탄할리는 없다. 일단 예전과 달리 게임의 룰이 달라졌으며,  경제적/군사적 우월을 제외하고는 그들에게 어떠한 문화적인 우월을 엿볼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이적의 군주가 중원을 점령하면서 느겼던 열등감을 현재의 우리와 주변국들이 느낄리는 없다. 


 중국의 형성이라고 할 수 있는 중화사상의 역사적 궤적 속에서도 여전히 자신들의 민족정체성을 잃지 않고 있는 이들을 하나의 용광로에 넣어 중화민족을 만들고자 하는 노력은 그 때문에 작위적이고 폭력적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