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이 만든 공간 - 새로운 생각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유현준 지음 / 을유문화사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다지 선호하는 작가는 아니지만,  구입도서 목록을 작성하는 중에 흥미가 일어 이 책과 최근에 나오는 저자의 신간을 구입했다.   책의 구성은 마치 제래드 다이아몬드의 총균쇠,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와 같은 거대한 세계문명의 흐름을 잡아보고자 한다. 


 책에서 저자는 총균쇠와 마찬가지로 지리와 기후에 따른 영향을 강조한다.  가령 강수량의 차이가 농사 짓는 품종의 차이로 드러나는데(강수량이 1천밀리미터 이상이면 벼를,  그 이하면 밀을 재배한다)  그 품종에 따라 재배방식이 달라진다.  벼농사의 경우 물을 대기 위한 치수 작업이 필요한데, 이때  여러사람의 힘이 필요하다. 거기다 시기를 놓치면 안되므로 여러 사람의 협력이 필요하다. 반면, 밀농사의 경우 집중호우 없이 두루 고르게 내는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씨를 뿌리는 행위 역시 땅위를 걸어다니며 혼자서 한다.  이 탓에 개인주의적인 성향을 가지게 되는 것으로 보고 벼농사를 짓는 곳에서는 집단주의적인 성향이 드러난다고 본다.

  탈헴름이라는 교수의 연구도 인용하는데, 농사품목에 따라 가치관이 결정됨을 증명하기 위해 중국한족의 학생들에게. 기차, 버스, 철길 이 세 개념을 그룹지어 보라 하였을때  중국 내에서 밀농사를 짓는 지역 학생들은.  기차와 버스를,  벼농사를 짓는 지역 학생들은 기차와 철길을 골랐다.   벼농사 짓는 지역 학생의 경우 관계성을 중시했다는 결론을 내린다.  여기서 더 나아가서.  유럽의 경우. 벽중심의 건축을 지어 밖과 안의 경계를 분명히 하였고,  그것은 비를 흘러내리려는 기능을 하는 경사진 지붕이 필요로 하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했다.  반면 강수량이 많고 집중되어 있는 경우 비를 흘러내리는 기능을 하는 경사진 지붕이 필요로 했고, 기둥을 중요한 건축 자재로 하게 되었다. 이러한 자재의 선택에 따른 건축물은 밖과 안의 공간을 모호하게 만들고, 최대한 자연과의 관계를 중시하였다고 본다. 


이러는 가운데 여러 교통수단의 발달로 저자의 표현대로라면 공간의 압축이 일어나 문화 혼종이 이루어지게 되기도 하였거니와 철근과 콘크리트 및 엘리베이터라는 건축 자재들의 등장으로  지리적, 기후적 환경에서 비롯한 건축의 유형들을 혼합하는 방식으로 공간을 창출하여다고 한다.  르 코르뷔지에, 안도 다다오를 비롯한 몇명의 건축가를 예로 들었다. 공간의 이종교배라고 표현하는데  이부분은 흥미로웠다.


이와 같은 이야길르 다루는데 우선적으로 큰 세계의 흐름을 일별하고자 하는 작업들에 대해서는 인상깊지 못한 점이 아쉽다.  여기저기 억지춘향식으로 지나치게 흐름을 종합하려 한다는 점.  그리고 책 서두에서 편의상 극동아시아를 한중일로 묶어 논한다고 하였는데, 석가모니를 언급하는데 있어서 전혀 이에 대한 부연 설명이 없기도 하고,  중국불교와 인도불교의 경우 그 성격이 생각보다 달라  대비시키려는 그 성격(관계 중시)에 있어서 적합한게 맞나 싶기도 했다.    그리고 우리가 사는 이 곳을 극동아시아로 표현하는 것도 당황스러운 일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