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금 1장을 읽었다.  조선시대에 음서제와 대가제를 다룬 장인데, 매우 흥미롭다. 음서는 기본 한국사 상식을 가졌다면 다들 알 것이다.  공신이나 3품이상의 대신들의 자제들에게 일정 이상의 관직에 제수하던 것으로 조선시대에는 고려때와는 달리 왕족의 후손들은 제외가 된 것 같다.   


  조선초기만 해도 음서로 관직에 입사한 이들이 재상에 오르기도 하였으나 후기에는 드문 일이었고 평판도 좋지 않았던 모양이다.  그리고 어린나이에 현직을 제수 받기도 한 것이 문제가 되어서 논의 끝에 성종대에는 문음의 자제 중 20세 이상의 자제가 매월 초에 취재에 응시하여 합격한 자는 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고 한다. 


위에 적은 것처럼 음서로 입사한 이들은 평이 좋지 않기도 하였고, 사실상 모든 음자재에게 실직을 줄 수가 없어 한계가 분명하였다. 그래서 과거나 음서로 관직에 나아가지 못한 양반의 자제들의 불만을 충족하기 위한 제도가 대가제였다.  대가제는 문무의 현직자가 자궁(정3품 당하산계)이상이 되면 자신에게 별가된 자급(자궁이상은 가자를 할 수 없었던 것 같다.)을 대신 아들,사위,동생,조카등의 친족들에게 1명에게 줄 수 있도록 마련한 제도이다. 비록 산직이기는 하였으나, 실제 입사하였을때 산계는 그대로 인정을 받았다고 한다. 그런데 경국대전 등에 규정된 제도는 아니고 관습적으로 행해졌던 것 같다. 처음 시작은 세종의 세자(문종)의 치유를 기념하며 백관들에게  산직 1자를 가한 것이 었고, 이후에 빈번했던 것 같다. 이후 관직의 체계를 지나치게 문란하게 한다 하여 대가제로 나아갈 수 있는 산계는 건공장군(종3품)까지였으나, 1623년 이후에는 정5품계(통덕랑, 과의교위)까지 가능했다. 그런데 참상(정3품과 종6품사이)에 있는 자가 산계는 자궁에 이르기도 하였다 하여 실직과 산직의 격차가 큰 경우도 있었다 한다. 


대가제가 관직의 체계를 문란한다 말은 많았으면서도 조선후기에 이르러서도 혁파되지 않았음을 보면 이러한 제도가 양반의 존재양태에 중요한 역할을 했음은 분명해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