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전기 지방사족과 국가 경인한국학연구총서 53
최선혜 지음 / 경인문화사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전기 지방사족과 국가> 읽었다.


제목에서도  책의 의도를 있는 것처럼 저자는 조선전기의 사회구조를 재지사족을 기반으로 하여 그들의 성립과정 중앙과의 길항관계를 통하여 사회적 구조를 해명하는데 있다그런데, 저자는 주로 사족이라는 명칭보다는 유향품관이라는 명칭을 자주 쓰고 있다유향품관은 중앙에 관직을 거치거나, 실제 중앙에서 관직을 가지지는 않았으나 관품을 가진 자들이 지방에 정착해서 세력을 이루고 있는 경우를 말한다어차피 사족도 벼슬을 지내던 이와 그의 가족들을 지칭하는 바였으니, 동일하게 쓰는 것도 문제는 없을 같지만그래도 사족이라는 명칭을 쓰는 같은데, 유향품관을 쓰는 지는 모르겠다.특별히 저자의 의도가 있나 싶지만서도 책에서는 별다른 설명은 없다


책을 읽으며 되짚어 보게 부분이 향리과 재지사족의 연원이 다르지 않다고 생각했던 점인데, 사실은 그렇지는 않다는 점을 알았다.(그런데 이게 정설로 굳어진 것인지 학자마다 견해가 다른 부분인지 역시 모르겠다.).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일파는 파트너로 지방의 세력을 잡고 있던 향리가 아닌  사족, 유향품관을 선택하였다. 그래서, 향리를 세력을 억제하며, 유향품관에게는 지방행정의 협조를 구하고 그만큼의 혜택을 주기도 하였다대사헌 조준은 상소문에서 신분은 신분에 맞는 직무를 다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하였고, 첨설직, 검교직, 동적직등의 산직[유향품관] 중에서도 실로 자신이 그럴만한 사람임을 증명하지 못하면 직첩을 회수 하도록 하기도 하였다. 아마 향리들도 관품을 가진자가 있어 솎아 내는 지점도 있었을 것이고, 또한 유향품관들에게 협조를 구하는 동시에 통제를 하는 측면도 있었으리라 본다.  


그리고, 과거를 응시할만 자격을  신명색이 조사하여 응시 가능 여부를 결정하게 하자는 논의가 있었는데, 그렇게 시행되었는지는 언급하지 않아 모르겠으나, 시행이 되었거나 되었거나 상관 없이 향리를 입사를 시키는 것에는 상당히 제한을 두었을 것이라 어렵지 않게 짐작이 된다유향소가 생긴 이유 역시 지방 내의 다른 세력인 향리를 견제할 목적도 있었는데, 그런 응시여부를 결정할 직임을 유향품관에게 주었다면 어떻겠는가.   


하지만 여전히 구체적으로는 크게 그림이 그려지지 않아 표현되지 못한 의문점이 있기는 같다


 

중앙은 향리를 억제하고 유향품관에게 권농관이나, 면리임, 신명색 지방행정에 적극 참여하도록 하였지만, 동시 통제를 위한 방법도 강구해야 했는데 그것이 관찰사의 파견이다관찰사는 2품인 중에 파견되었는데유향품관을 통제하는 것은 수령보다는 관찰사였고, 수령의 감찰 역할도 동시 수행하였다이전에는 2품의 관찰사보다 낮는 낮은 직급의 안렴사가 파견되고 있어서 높은 직급의 유향품관을 제어할 없는 측면이 분명 존재하였기 때문이다.  


주로 우리의 기존 인식으로는 훈구/사림의 대립의 이미지 때문인지 중앙에 대한 지방의 저항이라는 구도가 순간 그려지게 되는데, 그렇기 보다는 조화를 이루었다고 저자는 본다물론 책에서 인용되는 바와 같이 참람되게 지방관에게 폭력행사하기도 하는등의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 지방의 세력들이 순응하였다고 있다. 중앙의 권위에 금이 갈만큼 알랑 거렸다고 생각하면 될까?


그리고, 국가가 지방의 통치질서를 안정화 시키기 위하여 자신들을 정당회시킬 있는 성리학의 이념을 안착시켜야 했는데우선적으로 국가는 유향품괌을 대상으로 삼강이념을 강조하는 정책을 추진하였다고 한다우선 태조원년에서 부터 지방에 충신,효자,절부,의부 등을 가려 뽑아 문려정표를 내렸다. 이에 대한 혜택으로는 우선적으로 선정된 자를 발탁해서 기용한다고 하였다당시에 지방에서 발탁되어 벼슬에 갖게 기회가 있는 이들은 유향품관들이었다결국 삼강이념을 따르고 실천하도록 이끌고 싶은 대상은 유향품관이었다대두분 삼강이념의 실천자로 추천되어 상을 받은 이들은 유항품관과 그의 가족이었다. 물론 일반 백성도 있었으나, 저자의 인용한 자료에 따르면 극소수였던 같다여튼 이런 삼강이념의 정착와 안정화를 위해 노렸던 것은  군주권을 강조하고 가부장권을 옹호하는 새로운 통치제제의 구축이었다확실하게 잡더라도 지방의 세력들을 순치시킬 이유에서 였던 것이다. 물론 일반 백성들과 가장 접촉이 많은 유향품관을 통하여 자신들의 기획했던 바와 같이 완전한 성리학적 나라를 만들기 위함도 있다 것이다


또한 그들을 순치시키기 위함으로 산천제등의 정비도 필요하였다산천에 제사를 지낼 있는 자는 왕이나 왕의 대리자인 지방관 뿐이었다. 하지만 이것은 이전에 지내왔던 바여서 폐하는 것은 어려웠고, 국가에서 지정된 바를 지키면 인정하는 정도에서 끝냈던 같다흥미로운 점은 유교이념을 표방한 유학자들도 뒤로는 그들이 음사라 비난했던. , 야제등을 지내고 무격인들과도 자주 교류를 하였다는 점이다그리고 음사를 유학자들이 음란하다 하였는지 알게 점이그들이 음사라 칭하는 제사에는 격을 따르지 않는 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