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읽고 있다. 지금 상황이 상황이니 만큼 집중해서 볼 시간이 자꾸 안 난다. 문중과 아당이 나뉘는 기준도 처음 알았다. 재지세력들의 경제적 차원에서 공고화를 위하여, 그러니까 가산이 여러 자손들, 사위들에게 나뉘어 영세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적자에게만 그 가산을 집중했다. 제사의 의무는 물론이고. 그러나 이러한 수직적 친족관계는 다른 친족들의 비협조로 이어지기도 하였다. 그러하여 조직된 것이 문중이다.
이들은 '대종의 경제적 건전성'을 보장하는 역할도 하였다 한다.
1587년에 내앞의 종가가 불탔을 때, 동일한 김씨 친척들이 동원되었고, 무덤 앞 비문이 새겨진 묘석을 세우는 프로젝트에도 여러 친척들이 참여하였다. 그 외에도 가문의 적자가 혼자서 제사의 의무를 다지는 것도 시간적 여유도 없었을 것이다.
경제적차원에서 재지세력들이 공고화 되는 장면 그린 장을 읽으면서 마치 현재 집값 떨어지는데 영향을 줄 시설이 주변에 설치된다고 강력하게 항의하는 주변 시민들의 모습과, 부동산 투기꾼들을 떠올렸다.
물론 이렇게 가산이 흩어져 종국에는 빈한해 질 것을 우려하여 특별한 제도 및 습속을 가지는 것을 특별한 일이 아니기는 하다. 고대의 형사취수제나 자매연역혼 등도 그러한 이유가 있었지 않았나.
워낙에 드문드문 읽다 보니 일관되게 정리가 되지 않는다. 틈나는대로 한 장씩 읽되, 나중에 여유가 생기면 전체를 다시 일독해야 겠다.
오늘 동명왕편을 집어 들었는데, 고려의 문인인 이규보의 동국이상문집에 수록된 것이다. 익히 들은바와 같이 고구려의 건국영웅 주몽을 다룬 서사시이다.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동명왕편을 지은 동기가 흥미로운데, 이규보의 구관을 위한 시라는 것이다. 구직을 위해서 자신의 능력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것. 당시 무신정권이라는 상황을 보자면 그들의 구미에 맞는 소재를 선택한 것이고. 물론 다른 내적,외적인 동기가 있음도 충분하지만 이러한 동기야 교과서에서 잘 알려주지는 않으니까.
아름다운 이야기. 신화적 세계의 상세한 묘사는 그곳이 내 앞에 있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며칠 전에 페이퍼로 글을 쓴 이후로 못 읽고 있다. 어서 읽어야 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