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로 나온 넷우익 - 그들은 어떻게 행동하는 보수가 되었는가
야스다 고이치 지음, 김현욱 옮김 / 후마니타스 / 2013년 5월
절판


"한국인의 반일 감정에 충격을 받았죠. 공동 개최까지 했는데, 어떻게 일본이 졌다고 그렇게 기뻐할 수 있을까요? 그래서 한국이라는 나라에 불신감을 가지고, 인터넷을 통해 일본과 한국의 관계를 공부했습니다."
인터넷에는 교과서에 없는 '진실'이 넘쳐 났다. 그때까지 일본이 나쁘다고 생각했던 식민지 정책도 사실은 자랑스러운 역사라는 사실을 '알았다'. 언론에 세뇌되어 있던 자신의 무지를 '깨달았다'. -184쪽

공격하기 쉬운 목표를 찾은 데 신이 났는지도 모르죠. 재일 조선인은 불쌍한 약자이고 차별해서는 안 된다는 상식에 얽매여 왔단 우리에겐 터부를 깨는 쾌감이 있었어요. 비뚤어진 생각일지 모르겠지만, 저 자신도 터부를 깨뜨림으로써 세상의 권위나 권력과 싸우고 있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중략)
"솔직히 말해 취해 있었어요. 거대한 적과 싸우고 있다는 정의감에 취한 거죠. 지금 생각해보면 왜 재일 코리안을 미워했는지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198쪽

"인터넷에서 그대로 현실 사회로 나왔을 뿐이에요."
그제야 그는 불량배다운 험악한 표정을 보였다.
"인터넷과 현실의 구분이 안 되는 거죠. 그들이 금방이라도 폭주할 것 같은 이유는 일상생활에서 물리적 충돌을 경험하지도 않고 인터넷과 같은 감각으로 대처하려고 하기 때문이에요. 그 사람들에게 인터넷과 현실은 연속적이니까요"
키보드를 연타하는 것만으로 '상대방을 이겼다'고 생각하는 감각을 그대로 길 위에 가져온다. 하리야가 말한 이 연속성 때문에, 집회 때 반대하는 사람들을 둘러싸고 욕설을 퍼붓는 집단 린치도 블로그에 '악플'을 다는 정도의 의미밖에 아지지 않는다. '죽여버려'라는 말을 주저하지 않고 할 수 있는 것은 그 때문이라고 하리야는 말했다. -255쪽

"처음에는 다들 쭈뼛쭈뼛 활동에 참가해요. 어설프게 일장기를 손에 들고 익숙하지 않은 손으로 마이크를 잡죠. 가두연설 같은 걸 잘할 리도 없고요. 솔직히 말해서 엉망진창이죠. 그런데 연설 마지막에 구호를 외치면 다들 제창해 준단 말이에요. 이게 중독되는 거죠. 다음 집회부터는 마이크를 손에서 놓으려 하질 않아요. 한번 자신감을 가지게 되면 확 바뀌거든요. 저는 그런 모습을 몇 번이나 봤어요. 재특회에는 얌전한 아이를 전투적인 애국자로 바꾸는 힘이 있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실제로 술을 마시면서 이야기해보면 현실 사회에서 힘들어 보이는 젊은이들이 많아요" -327쪽

"지역사회에서 겉도는 사람, 지역사회에서 무시당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재특회에 모이는 겁니다. 그렇게 일장기를 손에 든 것만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새로운 사회에 안주하게 되죠. 거기서 인정받는 건 간단해요. 활동에 자주 참여하는 사람, 집회에서 큰소리를 내는 사람, 인터넷이든 뭐든 좋으니까 명분을 가져오는 사람, 그걸로 충분해요"
"그래서"라며 그는 말을 이었다.
"조선인을 쫓아내라는 외침은 제게 '내 존재를 인정하라!'라는 외침으로 들리죠" -339쪽

"최근들어 비정규직 노동자 비율이 급증했습니다. 정규직 자리를 두고 가혹한 의자 놀이가 시작된 거죠. 의자가 남던 시대라면 외국인에게 신경 쓰지 않고 관용적일 수 있었어요. 그런데 의자가 부족해지면서 먼저 앉아야 되는 건 일본인이라는 이야기가 나온 거죠. 그것이 언제부터인가 외국인은 나가라는 욕설로 바뀌었고요. '외국인에게 친절해야 한다' '외국인은 귀중하다'라는 상식을 뛰어넘으면 배외주의적 경쟁이 남을 뿐입니다. 이것은 민족주의자들이 주도한 것도 아니고 애국적인 관점에서 생긴 것도 아니에요"
즉 살아남기 위한 절규가 필연적으로 국민적인 요소와 결합했다는 이야기다. 익명이 원칙인 인터넷에서는 이런 주장이 아무런 검증도, 주저도 없이 순식간에 퍼진다. -350쪽

계약직이나 하청 같은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기본적으로 '사람' 취급을 받지 못한다. 많은 기업에서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담당 관리하는 부서는 인사부가 아니라 기자재를 다루는 부서다. 사람이, 노동력이 기자재 중 하나로 취급받는다. 그렇게 빈부 격차와 분열이 생긴다. 어디에도 소속되지 않는 사람들이 늘어난다. 이런 상황을 자각하든, 그렇지 않든 소속이 없는 사람들이 아이덴티티를 찾아 나선다. 그중 일부가 의지하게 되는 것이 바로 '일본인'이라는 불변의 '소속감'이었다. -35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