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무 살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00년 3월
구판절판


야사에 따르면 그는 주로 칼끝의 속도를 한없이 늦추는 검술을 했다고 해. 병법의 허허실실이지. 그거 알아? 빠른 칼끝은 얇은 종이나 베지만 한없이 느린 칼끝은 구절폭포를 갈라 <마지막 롤러코스터>-57쪽

내겐 꿈이 있었어요. 어떻게 이 레일을 벗어나지 않고 플라잉코스터를 날아오르게 할 것인가? 재인씨와 같은 친구들은 스스로를 비웃고 친구를 비웃다가 결국은 레일 안에서 천천히 죽어갔고 살아남은 다른 친구들은 레일을 떠나버렸죠. 꿈. 그렇죠? 그것을 꿈이라고 말하면 왜 안되는 거죠? 아직 꿈에서 깨어나지 않았는데, 우리는 왜 다른 세계를 준비해야만 하는 거죠? <마지막 롤러코스터>-71쪽

밥을 먹을 때도 용변을 볼 때도 거울을 들여다볼 때도 그 이물감만이 시간을 증명할 뿐이죠. 그 이물감의 시간. 친구가 죽기 전까지의 시간만이 진짜죠. 그거 아세요? 돌이켜보면 모두들 그렇게 떠나버렸죠. 내가 사랑했던 친구도, 돌아오지 않을 세월도. 내게 남은 것은 그저 번데기처럼 목을 가로막는 죄책감뿐이죠. 죄책감만이 내 지난 시절을 증언해줄 뿐이죠. 죄책감에 사로잡혀 내가 스피드와 텐션에 젊음의 마지막을 바치는 사이에 수많은 별자리들은 천몇 번씩 천공을 휘휘 돌았고 까닭 없는 눈물들만이 숲을 감쌌죠. 사람들이 상처를 잊어버리는 동안, 사람들이 우리에게 총을 쏜 빌어먹을 개새끼들까지 용서하는 동안 인간의 목소리로 그 개새끼들의 이름을 부르는 동안 나는 더욱 더 스피드와 텐션에 몰두할 수밖에 없었어요. <마지막 롤러코스터>-72쪽

나는 그냥 아무것도 되고 싶지 않았던 거야. <뒈져버린 도플갱어>-94쪽

태어났던 시간으로부터 스무 해가 지난 어느 날 승민은 마치 그 사진처럼 허공에 멈췄다. 태어나던 때의 그 광채, 승민이 아직 갓난아기여서 세상의 모든 것을 경외심을 가지고 바라보던 그 때 승민의 눈 속으로 들어온 세상의 빛나는 모습처럼 빛을 발하는 그 광채가 스무 해가 되던 어느 날 허공에 멈춰버린 승민을 비추자 그 이후의 삶은 그림자로서의 삶이 됐다. 자신이 스스로 존재했었던 단 한순간이 있었고 이제 그는 그 순간의 그림자일 뿐이다. <뒈져버린 도플갱어>-103쪽

승민은 한 때 자신의 모습이었던 어떤 이미지를 본다. 그 그림자로서 승민은 이미지를 바라본다. 그 이미지는 지금 허공에 멈춰 있다. 그 이미지에 비쳐지는 아주 오래 전의 광채가 없어진다면 이젠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그림자다. 승민은 티셔츠 안으로 손을 넣어 맨살을 만진다. 차가운 살갗이 만져진다. <뒈져버린 도플갱어>-104쪽

재식에게 독일이란 자신을 당당하게 만드는 먼 곳이 아니었나 생각한다. <르네마그리트,<빛의제국>,1954년>-112쪽

오징어는 낙지보다는 암모나이트에 더 가까워요. 오징어도 아주 오래전부터 이 지구에 살아왔던 동물이죠. 아주 오래 전에는 오징어에게도 암모나이트와 같이 딱딱한 껍질이 있었대요. 그런데 어느 날 환경이 변한 거에요. 자신을 보호하던 그 딱딱한 껍질을 벗어던지지 않으면 절멸하는 위기가 찾아온 거죠. 어떻게 환경이 변했는지는 알지 못하지만 아마 그들에게는 심각했던 변화임에 틀림없어요. 왜냐하면 결국 껍질을 고수한 암모나이트 쪽은 지구상에서 사라지고 말았으니까. (중략)

그때가 궁금해요. 껍질을 버린 오징어가 마지막으로 숨을 거두는 암모나이트를 보았을 때 서로 무슨 생각을 했을까요? <죽지 않는 인간 - 카르타필루스>-174-175쪽

웬일인지 학교 다닐 때 내 주위의 사람들이 참 많이 죽었어. 건물에서 뛰어내려서 죽은 친구도 있고 군대 가서 자살한 녀석도 있고. 개네들이 죽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는 그런 생각을 했지. 치사한 자식들. 죽는 것은 너무나 쉬워. 하지만 살아남는 일이 더 어려운 거야. 하지만 그 길을 내려가다가 보니까 죽는 게 어렵다는 생각이 들더라구. 살아남는 것은 의외로 쉬운 일이야. 먼저 죽은 사람에게는 그래서 예의를 표해야 하는 거지. <죽지 않는 인간 - 기억의 어두운 방>-201쪽

내가 인식하는 이 세상 모든 사물이 온 곳, 바로 이미 죽은 것들이다. 이미 죽었으되 살아가는 것들은 이제 다시는 죽지 않는다. 아버지도 주고 J형도 죽지만 동굴을 지나온 나는 죽지 못하는 운명이다. 이미 죽었기 때문에! 착한 사람들은 모두 예수의 존재를 믿었고 예수 당대에 죽었지만 몇몇은 죽지 못하고 영원히 떠도는 것이다. 마치 껍질을 벗어버린 오징어처럼, 동포를 배반하고 살아남은 변절자처럼. 한 번 죽어 다시 죽지 못하는 중음신의 넋처럼.
동굴의 끝에 이르러 비로소 나는 엘리아데가 한 말을 이해할 수 있었다.
"입문은 요컨대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게 되는 방법을 배우고 새로이 부활하는 기술을 체득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이 세상에서 고통을 겪고 죽어야만 한다는 것을 계시해준다"
동굴을 지나온 사람은 이제 다시는 그 동굴에 들어가기 전의 자신으로 돌아갈 수 없다. 그는 '입문'했으며 그는 '죽었고' 이제는 그는 '영원히 죽지 않는 인간'이 되었다. <죽지 않는 인간 - 기억의 어두운 방>-203쪽

'꿈은 아니었을까?'
'꿈보다는 진하던걸요. 암만해도 잊힐 리 없겠네요'
'잘 지내?'
'잘 지내다마다요. 거긴 어딘가요?'
'낮과 밤처럼 거기와는 아주 다른 곳이야'
'지나가니 행복한가요?'
'.....'
<죽지 않는 인간 - 기억의 어두운 방>-206쪽

하늘은 붉다. 붉은 하늘 아래로 사람들은 제각기 자신들의 공간을 차지하고 들어앉아 웅크리고 있다. 저맘다 한 시대의 전조가 되고 한 시대의 징후가 되는, 자신들만의 무덤 같다. 공기는 서로 통하지 않고 어두워지지도 않는다. 그런 하늘 아래에서는 누구도 잠을 잘 수 없다. 밤이 깊어가도록 하늘은 더욱더 붉어지기만 한다. 어둠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자신이 가려지고 한 시대가 가려지고 운명이 갈지고 존재가 가려질 만한 그런 새카만 어둠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영원히 어두워지지 않는 붉은 조명 아래에서 우리는 영원히 건너갈 수 없는 바다를 건너가는 사람들처럼, 혹은 해가 지지 않는 사후의 세계를 떠다니는 중음신의 저주받은 육신처럼 90년대를 건너가고 있는 것이다. 바뀐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스스로 불임의 육신이 되어 멸종의 길을 택한 생물체처럼 누구보다도 나선 제 몸뚱이를 증오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를 거부하고 유령의 모습으로 떠다니는 것이다. 우리는 모두 죽었다. 죽은 몸으로는 더이상 피가 흐르지 않고 눈물도 말라버렸다. 유령의 삶은 어제가 오늘 같고 또한 오늘이 내일 같기만 하다. <구국의 꽃, 성승경>-232-233쪽

열심히 무슨 일을 하든, 아무 일도 하지 않든, 스무 살은 곧 지나간다. 스무 살의 하늘과 스무살의 바람과 스무 살의 눈빛은 우리를 세월 속으로 밀어넣고 저희들끼리만 저만치 등뒤에 남게 되는 것이다. 남몰래 흘리는 눈물보다도 더 빨리 우리의 기억 속에서 마르는 스무 살이 지나가고 나면 스물 한 살이 오는 것이 아니라 스무 살 이후가 온다. <스무 살>-237쪽

스무 살의 가을이 그렇게 지나가고 있었다. 스무 살의 가을이 지나가고 나면 다시 스무 살의 겨울이 오는 것이 아니다. 어떠한 연계점도 없는, 전혀 다르고 낯선 계절이 찾아온다. 그때 나는 아주 오랜 시간이 흐른 뒤에 스무 살의 가을을 생각할 나 자신의 모습을 떠올렸다. 열리지 않는 마음, 한 여자와의 우스꽝스러운 이별 등으로 떠오를 가을의 나를 말이다. -25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