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즈번드 시크릿
리안 모리아티 지음, 김소정 옮김 / 마시멜로 / 201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자니는 충격을 받았다. 존 폴이 안쓰러워 자니의 얼굴도 빨개졌다. 자니는 그네를 쳐다보았고, 자신이 낄낄대는 소리를 들었다. 이상하고도 듣기 싫을 정도로 톤이 높은 웃음소리였다. 이건 자니의 버릇이었다. 잔뜩 긴장해 있을 때, 조금도 우습지 않을 때 튀어나오는 습관이었다.

 

  

평점을 어떻게 줘야할지 몰라서 한참동안 머릿속에 굴러다니는 책이 있다.

이 책이 바로 그런 경우다. 

 

 문제는 이 소설 하나에 너무 많은 걸 담으려고 했다는 것이다. 어떻게든 사회 현상과 스토리의 박진감을 균형있게 맞물리게 하도록 노력한 티는 난다. 하지만 무언가 훈계를 너무 많이 하려 노력해서 통일성이 없어진 것 같다는 기분은 든다. 가해자 가족과 피해자 가족, 여성차별, 나이 든 여성 특유의 소외감, 남자의 모멸감과 여자의 모욕감을 너무 한꺼번에 드러냈다. 다소 드라마 '위험한 주부들'과 요시다 슈이치의 소설 <퍼레이드>에 많이 영향받은 듯한 분위기가 풍긴다. 하지만 명백히 주인공은 한 명인데, 딸아이 셋을 두고 있는 존 폴의 아내 세실리아 피츠패트릭이다. 솔직히 레이첼의 이야기는 보다가 실소가 날 정도로 어이가 없었던 데가 있었다(...) 바람 핀 남편을 떠나 고향으로 갔다가 거기서 불륜을 저지른 테스는 또 지독히 현실적이어서 공감이 가지 않았다. 특히 삶을 살아야 한다느니 사랑은 환상 결혼은 현실 어쩌고 하는데서 아주 신물이 났다. 뚱뚱한 몸매 때문에 테스에게 열등감을 느꼈던 사촌 펠리시티에 조금 더 조명을 하면 충분히 퀴어적인 줄거리를 이어나갈 수도 있었을 텐데, 그런 요소가 전혀 나오지 않은 것도 아쉬운 점 중 하나이다. 아마도 가족 내부의 이야기에 초점을 맞추는 것 같으니 그렇게 했으면 안 그래도 헝클어진 주제가 더 복잡해질 수도 있었겠지만.

 아무튼 이 소설에서 가장 맘에 든 인물은 딸아이 셋을 둔 존 폴의 아내 세실리아 피츠패트릭이었다. 주인공이기도 하다.

 

 

 

  세실리아 피츠패트릭은 어느 날 남편이 옛날에 자신의 앞으로 쓴 편지를 발견한다. 존 폴은 거기서 자니라는 소녀를 죽인 자신의 죄를 고백한다.

 

 자니는 레이첼의 딸이며 레이첼은 세실리아가 세 아이를 보내는 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다. 혼란 속에서 세실리아는 존 폴에게 이런 말을 던진다. '내 입으로 내 남편이 자신의 딸을 죽였다고 말하라니, 어떻게 그럴 수 있어?' 남편이 살인자임을 따지지 않는 게 이상해보일 수도 있다만, 한편으로는 이것이 인간이 느끼는 감정의 본질임을 적나라하게 드러내고 있다. 햄릿은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자신의 어머니가 숙부를 만나고 있다는 사실을 눈치챘을 때 혼란 속에서 이런 식으로 이야기한다. '절조 없는 어머니를 둔 나에 대해 사람들이 뭐라고 수군거릴까!' 아마도 세실리아와 햄릿이 느끼는 감정은 모욕감일 것이다.

 존 폴은 왜 자니를 죽였는지에 대해 설명하는데, 자니가 다른 남자에게 가기 위해 자신을 버렸으며 비웃었고 그에 대해 분노해서 일어난 '사고'였다고 주장한다. 그녀를 죽인 죄에 대해선 인정하지만, 그는 끝끝내 자니의 그 웃음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실상은 저 위의 글귀와 같았는데도 말이다. 게다가 지금 아내 세실리아는 결코 그 당시 자니가 지었던 표정을 보지 못하고, 만일 볼 수 있더라도 존 폴과 같은 느낌을 받지 못했을텐데도 말이다. 모멸감은 그 당시 분위기와 표정 등을 봄으로서 일어나는 감정으로, 직접적으로 욕을 먹는 모욕감과는 달리 그 느낌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는 특징이 있다. 어쨌거나 자니는 죽었으므로 모욕감도 느끼지 못하겠지만, 아마 존 폴은 그때의 모멸감을 평생 잊지 못할 것이다.

 그래서 불쌍한 그 남자는 한때 자신이 사랑했던 자니를 빗치라 부르고 다니며(이것도 내 믿음인데, 카사노바는 있어도 빗치계 캐릭터는 실제하지 않는다. 그저 환상 속에서나, 죄책감 속에서 만들어질 뿐.), 세실리아에게 그 모멸감을 전해서 자기혐오를 덮기 위해 본능적으로 편지를 쓴다. 세실리아는 자신의 남편에게 자백을 권유할지 말지의 선택을 해야 한다. 존 폴에게 떠밀려서. 성차별인지도 모르겠지만, 자신감이 없는 남자들은 대게 그런 꼴불견적인 행동을 한다. 결정을 남에게 맡기는 것이다. 그는 그 이후로 평생동안 속죄하듯이 살아왔다고 하지만, 잘 생각해보면 이게 실질적으로는 자신의 인생에 즐거움도 느끼지 못하고 책임도 지지 않은 채 살아왔다는 소리가 된다. 불쌍한 세실리아는 말문이 막힌다. 그녀는 어떤 식으로 살인자 남편과 같이 살고 있는 자신을 '합리화'시킬까? 그리고 결말의 반전은 어떤가? 잘 생각해보라. 불우한 사람들은 정말 자신의 상황이 불우하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사실은 그 사람들은 상황 자체보단 자신이 느낀 모욕 모멸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 않을까? 일종의 자기합리화에 의해 자기 스스로 더 깊은 우울의 수렁에 빠진 게 아닐까?

 

  

  

 

  

  범죄자의 가족이라는 이유로 풍파에 시달리는 불쌍한 인간들(여성인 경우가 많다.) 이야기는 허즈번드 시크릿 말고도 많다. 개인적으로 다큐멘터리 식으로 쓰여진 가해자 가족, 히가시노 게이고의 편지, 소설이 원작인 영화 케빈에 대하여를 추천한다. 

 

 이 소설에서는 상당히 위험한 이야기가 등장하기도 한다. 사실 마지막 장을 보면서부터 내내 내 뇌리를 떠나지 않는 글귀가 있었다. 남자가 여자를 목졸라 죽이는 데엔 7초에서 14초밖에 걸리지 않는다는 소리다. 그러나 이 소설에서 나오는 한 여자는 단단한 금속으로 만들어진 자동차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남자를 죽일 수 없었다. 난 요즘 여성우대에 관련된 남성들의 여러가지 헛소리가 상당히 웃긴데, '여성들은 남성들을 잠재적 범죄자로 취급한다'라는 말이 그 중 하나이다. 만약 '잠재적 가해자'가  만약 이 여성을 죽이면 내 미래의 가족이 어떻게 살게 될지 아주 잠깐이라도 고민을 한다면, 그 여자는 살 수 있다. (사실 많은 운 좋은 여성들이 그 때문에 어떻게든 살아가고 있다고 생각한다.) 문제는 7초에서 14초 내에 분노를 가라앉히고 생각을 떠올려야 한다는 것인데, 요즘 욱하고 무언가가 치밀어오르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으니 참으로 딱한 일이다. 괴물이 되지 않고 자기 자신을 변화시키는 방법은, 이런 순간적인 충동들을 아침에 일어날 때부터 밤에 잠자리에 들 때까지 억제하고 또 인내해 나가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내 생각인데 결과적으로 존 폴이 자기절제를 잘 했더라면, 그리고 적극적으로 자신의 죄를 인정했더라면 생각보다 무거운 벌은 받지 않았을 것이다.

 

김정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