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레이] 혹성탈출: 트릴로지 스틸북 한정판 (3disc)
매트 리브스 외 감독, 게리 올드만 외 출연 / 20세기폭스 / 2018년 1월
평점 :
품절



이 영화가 시작되기 전, 시저의 죽음이 등장하는 혹성탈출 종의 전쟁이 나온 2017년은 도널드 트럼프의 등장과 함께, 미국의 지성인들이 큰 충격에 빠졌던 시기였다. 미국을 비롯해 온 세계를 휩쓴 혐오와 증오를 부추기는 정치가는, 영화 속 합리적인 리더의 전형, 시저의 정확한 대척점에 서 있는 유인원 코바를 통해 묘사되고 있었다.

스포일러이긴 한데.. 나는 저 제국을 세우겠다는 황제 유인원이 숭배하는 시저가 더 인상적이었다. 설마 추구하고 있는 시저가 그 시저가 아니라 로마의 시저일 줄이야 ㅋ 재미있는 반전이었다. 다리를 쓰지 못하는 인간이 그의 교육 담당을 맡았는데, 어떻게 교육시켰는지 모르겠지만 유행가 가사와 유인원 시저까지 짬뽕시켜서 연설이 뒤죽박죽이었다; 그럼에도 살기 위해 환호하는 노예들을 보면 확실히 정치적 메시지가 있는 영화같은데,(메이와 노아가 만나, 인간의 입장과 유인원의 입장을 각자 서로 고집하는 그 인상적인 씬에서 타협의 여지는 매우 희박해 보이기만 한다. 과연 인간과 유인원은 양립이 가능할 것인가. 이 질문은, 지금의 현실에서 과연 유대인과 팔레스타인인들은 한 장소에서 같이 살아갈 수 없는 것인지, 그리고 이슬람세계와 이스라엘은 양립이 불가능한 것인지, 바로 그 질문을 중첩시킨다.

또한 황제 유인원을 교육시킨 인간이 책을 펴드는 내용이 있는데, 묘하게 그 페이지가 성서를 연상시킨다. 구약성서의 토가 속에 나오는 십계명의 세 번째 계명이 바로 '너는 네 하나님 여호와의 이름을 망령되게 부르지 말라' 였다. 지금도 툭하면 "신이 그것을 원하신다"라며 자꾸 국민을 전쟁으로 몰아넣고 선동하는 정치인들을 보면 이 세 번째 계명이 자꾸 떠오른다.) 문제는 이 영화가 원숭이를 주인공으로 해서 4탄까지 끌어온 영화라서. 부티끄관을 가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사람이 적더라 쩝;;; 관람한 사람들이 어떤 부분이 싫은지는 확고히 알 수 있었다. 여자아이가 주인공 노아와 황제 유인원을 쌈싸먹는 걸 보면 헛웃음이 나긴 하더라. 그러나 수라장을 헤쳐나가려면 소녀던 할머니던 시체 한둘쯤, 아니 살면서 더 많이 처리해 나가야겠지.

게다가 한강의 기적에서 봤지만, 갑자기 인간의 유물들을 얻는다고 해서 진화에 성공하는 것도 아니고 말이다. 유인원 스스로가 알아내야 할 몫이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