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간다
이인휘 지음 / 창비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소설 속에서 두번이나 아주머니들을 멋대로 해석했다. 공장의 불빛에서는 돈 몇푼에 목을 매며 죽은 듯이 지내는 사람들로 묘사했고, 폐허를 보다에서는 한 여인이 절망적인 세상을 봤음에도 다시 공장으로 쉽게 돌아갈 수 없을 거라는 생각을 하면서 썼다. 나의 주관적인 오만한 생각이 그들을 나약하고 무력한 존재로 규정했던 것이다.



 


 

개인적인 관점으로는 결혼한 사이일 때 남자가 아프면 여자가 병간호해 주는데 여자가 아프면 대체로 남자들이 병간호를 잘 안 해줌. 그러면서 자기 내조해주는 건 완전 당연한 걸로 생각하던데. 근데 연애 초기에는 잘 해줌 솔직히 사기 아니냐 ㅡㅡ


소설에 나오는 왕언니도 아무 일의 고됨도 모른 채 손주 손을 잡고 나들이하러 가다 호떡을 사려고 하는 삶을 원할지 모른다. 이 문제는 그녀가 출세하는 것만으로 해결될까? 아마 아닐 것이다. 그녀는 이미 그것을 만들며 사는 사람의 고됨을 알기 때문이다. 만일 그녀가 최저임금보다 더 돈을 많이 주는 일자리를 요행이 찾아 공장을 떠난다면, 다른 어려운 사람이 그 자리를 대신할 것이다. 일베 사람들은 자신들이 노예처럼 잘 일한다고 하며 삶이 힘들다고 사회에 책임을 돌리는 자들을 이해할 수 없다 했다. 그들은 이미 자신이 그 자리를 떠날 수 없음을 잘 알고 있었다. 한국은 이미 자신에게 주어진 계급을 벗어나는 걸 상상할 수도 없는 계급사회이기 때문이다.

 

문득 동생이 '플랜카드 걸고 1인 시위해도 소용없어. 누나가 뭔데? 아무도 누나 이야길 들어주지 않아'라고 했던 말이 생각난다. 인간이 사회적 동물인 만큼, 아무도 자신이 하는 이야기를 들어주려 하지 않는, 아니 그보다 이해를 못 하는 건 형벌이나 다름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사람이 당연히 누릴 수 있을 권리를 못 누리는 것에 대해 분개하고 항의하는 이유는 그 가슴 속에 용기가 있기 때문이다. 내가 평범한 사람이기 때문에, 오히려 내 안에 있는 용기가 다른 사람들에게 촛불 시위를 할 용기를 돋구었으며, 여럿의 용기가 더 많은 사람들을 끌어들인 것이다.

 

일면 이인휘 소설가의 글을 왜 주변 사람들이 제대로 해석 못하는지 이해는 한다. 그 사람들은 현장에 없었기 때문이다. 이인휘 소설가는 소위 돈을 잔뜩 모아 책상에 엉덩이 붙이고 글만 쓰는 그런 세련된 소설가들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는 공장에서 차별받는 아주머니 할머님들을 누님이라 부르고, 그녀들은 이인휘 소설가를 오빠라 부른다. 그는 현장에서 일하면서 글을 썼던 것이다. 나도 고모가 현대자동차 노조에서 일하고 있고, 외할머니께서는 약을 드시며 미아리촌에서 일하는 기생분들의 한복을 짓다가 최근 허리를 못 쓰시게 되어 병상에 눕게 되셨다. 그래도 이인휘 소설가를 난 이해하지 못했고, 그래서 그 분을 차마 뵙질 못하겠다. 현장을 겪지 않았고,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나는 그분이 냉철한 마음으로 세상을 꿰뚫어보고 있다 생각한다. 그래서 그의 작품을 읽는 게 몇몇은 괴로운 것이다. 그의 소설에선 환상이 없다.

 

물론 그것은 기생충과 다르다. 소설의 제목은 '건너간다'이다. 소설에서 정태춘은 아무도 자신을 눈여겨보지 않는 길거리에서 노래를 부른다. 최근 관심을 받으려 하는 짓거리들이 관심을 받지 못하는 것보다 힘들다 여기는 유투버들을 생각할 때, 그것은 매우 힘든 일이라 생각한다. 그런 처절함을 희망이라 부르는 것일까. 혁명이라 부르는 것일까.

 

내가 젊은이들에게 한마디 하는 것도 좀 꼰대같긴 한데. 그래도 환상 이야기를 하다보니 생각나서 말한다.

세상이 니 머리와 니 얼굴로 성공하기란 존내 어려운 세상이다. 아, 돈은 좀 있네. 근데 그렇다고 아버지가 삼성전자 회장임? 그런 것도 아니면서 벌써 꼰대소리하고 친구를 몰아세우고 그러는 모습 보기가 안 좋다. 분수를 모른단 소린 안 하겠지만, 재벌들 얼마나 똑똑한지 아나? 제발 거울 좀 보고 정신차렸음 좋겠다. 어느 스님이 그랬지. 제발 거울에 때가 꼈음 좀 닦고 관리하라고. 페북질이란 말도 웃기지만, 스마트폰 꺼내는 충동 눌러도 충분히 자기가 하기 싫고 듣기 싫은 교육 받으며 생각 정리할 수 있다. 쓸데없는 환상 품지 마라. 메이져 편 든다고 니가 메이져 되는 게 아님. 나도 공감능력 딸리긴 한데 다른 사람들보다 더 다양한 지식을 쌓고 노력을 하면 충분히 커버 가능하다. 너 자신을 알고 수양하기를 바람. 악플다는 인간들은 거기서부터 시작해야 할듯.

 

노동하는 손이 과연 아름답냐고 이인휘 소설가가 묻는 것 같은 느낌이 나는 들었다. 쥐의 똥오줌이 아름다운가? 곰팡이가 아름다운가? 이에 답하려면 내 레벨로서는 많은 생각과 내공이 필요할 것 같다.

 

소설가 분이 페친이시지만 딱 불평 한마디만 하자면 난 화자가 왜 창녀촌을 가는지 지금도 이해가 안 간다. 그러고서 페미니즘 소설을 쓰는 것도 모순적이긴 하지만 남자가 힘들면 무작정 술과 여자를 찾는 방법밖에 없나? 당구라던가 다른 데서 스트레스 풀면 되지 않나 하는 생각도 든다. 그리고 계속 비슷한 화자가 반복되다 보니 살짝 질리는 면이 있다. 그나마 음악 가사나 책에 나온 구절이 흥미를 돋구는지라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이 읽으면 더욱 이 책을 재미있게 볼 수 있을 듯하다. 그나마 최근에 쓰신 두 권의 책은 기존의 책들과 좀 다른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어 다행이라는 생각이 든다.

 

영화관 안은 캄캄했다. 형은 내 손을 잡아끌어 자리에 앉혔다. 사람들이 웅성거리고 엿과 찹쌀떡과 사탕을 파는 판매원이 목판을 들고서 돌아다녔다. 형이 사탕을 사서 내 입에 넣어주었다. 나는 영화가 상영되기 전에 대한뉴스가 스크린에 펼쳐지며 말들을 쏟아내자 충격을 받았다. (...) '새벽종이 울렸네, 새 아침이 밝았네'라는 노래가 전국토를 울리던 그 시절 우리는 학교 조회시간마다 '국기에 대한 멩세'를 외워 복창했다.

"나는 자랑스러운 태극기 앞에 조국과 민족의 무궁한 영광을 위하여 몸과 마음을 바쳐 충성을 다할 것을 굳게 다짐합니다."

(...) 그럴 때마다 재범이는 "퍽큐!"를 외쳤다.

 




 


 

혹시 모르지만 유신 좋아하시는 분이 글을 읽고 계실까봐 생략하긴 했지만 퍽큐는 그분의 사진에다 하셨다 합니다. 무튼 이 대목을 읽으니 어머니와 아버지의 말이 많아지네요 ㅋㅋㅋ 힘들었지만 아이들이 왕따시킬 틈도 없고 몸도 건강해져서 좋았다나요. (물론 이 말씀을 하신 어머니는 외할머니가 죽어라 버신 돈으로 매우 좋은 학교를 다니셨다 합니다 ㅋ... 왕따는 안 시켰는지 모르겠지만 열심히 두들겨 패던 시절이었고, 예전 학교 폭력이 훨씬 심했는데 지나고 나니 기억 못하는 사람들이 많은 듯.)

 

당시 대한민국 위장취업자 구속 1호였던 강원대 출신 박인균은 태백에서 광부로 활동하고 있었다. 보안사는 그를 간첩으로 몰기 위해 프락치를 시켜 탄광 폭파를 계획한 주범으로 몰려고 했다. (...) 박인균이 노동운동은 공장과 노동자를 함께 살리는 운동이라고 설득하자 프락치는 그의 머리를 쳐 미인폭포 밑으로 떨어뜨렸다. (.. ) 그는 병원으로 이송돼 치료를 받은 뒤 구타와 물고문 그리고 잠 안 재우기 고문 등 견디기 어려운 고문을 당했다. (...) 천주교에서는 정부를 향해 광산 간첩단 조작 사건의 진상 조사를 강력히 요구했다. 그러나 이듬해 87년 1월 대학생 박종철이 남영동 대공 분실에서 고문을 받다가 사망하면서 이 사건은 묻혔다.



 


 

근데 이런 거 보면 차라리 난 광부같이 목숨 걸고 힘들게 일하는 직업은 돈을 좀 많이 줬음 좋겠다. 외국에서는 광부가 말 그대로 억소리 나게 번다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작년 광부 연봉 평균이 3500만원 정도 된다고 한다. 그러면 사고나도 왠만하면 죽지 않을 체력의 젊은이들 인력으로 쓸 수 있고 말이다. 쓰다보니 또 열받는데 자유한국당같이 국회 일 못하게 하는 국회의원들 월급 떼서 그 사람들한테 주면 안 되나? 일하지 않는 자 먹지도 말라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