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에서 발견할 것이 책 말고 또 뭐가 있을까? 굿즈? 굿즈는 우연히 알게 되는 것이 아니면 관심이 없고, 커피까지 알라딘에서 주문해 마실 형편도 안 되니 구경하는 건 늘 책. 그래도 자꾸 자제하려는 마음이 앞서서 그런가? 대부분 눈으로 쓰윽 흩고 지나가는데 이런 책은 관심이 간다. 


제목이나 표지는 그닥 끌리지 않지만, 먹는 것은 늘 큰 화두이다.

더구나 어떤 것을 먹을지는 우리에게 즉각적인 영향을 미친다. 더 건강해지고 싶은가? 더 맑은 정신을 갖고 싶은가? 더 선량한 마음을 갖고 싶은가? <진리의 발견>을 읽는데 마리아 미첼이 그랬다. 


명예에 마음이 흔들리거나 하지는 않았다. "별의 빛에 비하면 메달은 사소한 것이다." 훗날 미첼은 쓴다. "이 세상에 정말로 중요한 것은 단 하나인데, 그것은 바로 선량함이다." - P55


설마 음식이 그 정도까지 영향을 미칠까?라는 생각을 갖고 계시는 분이라면 다시 생각해 보시길 권한다. 자기가 먹는 음식이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알려면 일단 음식에 대해 알아봐야 한다. 그렇다면 내가 음식에 대해서 알아서 이런 말을 하는 것인가? 그건 아니고 나는 알지는 못하지만, 환자들을 보면서 느껴졌다. 선천적인 건강은 말 그대로 선천적이지만, 후천적으로도 달라질 수 있다고 알게 되었다.


이 책의 소개 글 중 하나를 보다가 빵 터졌다. 

식사를 할 때마다 세계를 구하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읽어야 할 책. 

이라는 것을 보고. ㅎㅎㅎ 이 글을 쓰면서도 웃고 있다. 나는 식사를 할 때마다 아무 생각이 없지만, 만약 생각을 한다면 식사를 할 때마다 나 자신을 구하고 싶다는 생각 뿐일 것 같다. 어쨌든 식사를 할 때마다 세계를 구하고자 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겠구나 싶긴 하다.  


음식이 우리의 존재 자체에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서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어쨌든 앞으로는 내가 무엇을 먹을지에 대한 고찰이 우선 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이 말은 사실 나에게 하는 말이다. 요즘 아이스크림 너무 많이 먹고 있는 나에게.


음식은 우리보다 앞서 존재하고 우리의 앞을 내다보며,

우리를 살아가게 하고 우리보다 오래 계속될 것이다.

우리를 사랑하는 사람과, 살아가는 세계와 묶어주는 이 관계는

결국 인류의 가장 큰 희망이다.

―7장 <시간> 중에서


이 책의 원 제목은 How Food Can Save the World이다. 한국 제목과 너무 딴 판이다. 나는 영문 제목이 더 좋다. 어쨌든 음식이 세계를 어떻게 구원할 수 있는지를 떠나서 먼저 음식이 나를 구원할 수 있기를. 


캐롤린 스틸은 왜 음식에 주목하는 것일까? 이유는 간단하다. 우리가 함께 생각하고 행동해서 세상을 더 나은 방향으로 바꿀 수 있게 하는 가장 강력한 수단이 음식이기 때문이다. 인류의 조상이 인간으로 진화하기 훨씬 이전부터 음식은 우리의 몸과 습성, 사회와 환경을 형성해왔다고 캐롤린 스틸은 이야기한다. 음식이 미치는 영향력은 워낙 광범위하고도 심원하기 때문에 그 실체를 제대로 바라보기 힘들지만, 한편으로는 우리 자신의 얼굴처럼 익숙하다고 볼 수 있다. 음식은 훌륭한 매개체이자 삶의 질료이며 가장 손쉬운 삶의 비유다. 이렇게 다양한 세계와 사상을 아우르는 포용력 때문에 무엇과도 견줄 수 없는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삶을 변모시킬 가장 강력한 수단이라고 해도 부족함이 없다.

-알라딘 책소개


그래서 알랭 드 보통의 <사유 식탁>도 읽어보고 싶었다. 그런데 이 책의 영문판은 2019년에 나왔구나!! 

영문 표지가 훨 이쁘다.

함께 요리하는 거 좋아하는 딸아이 부부에게 크리스마스 선물로 이 책을 줘야지.

영문판 표지와 비교하니까 한국어판의 표지는 넘 지저분해 보이고 싸 보인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리의화가 2022-11-09 16:2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요즘 대충 되는 대로 먹고 있는 저... 반성 좀 해야겠네요. 먹는 게 중요하다고 듣긴 하는데 귀찮다는 이유로 잘 챙겨먹지를 못하는 것 같습니다^^; 책만큼 먹는 것에도 진심을 다해야 할텐데ㅎㅎㅎ

라로 2022-11-09 16:45   좋아요 1 | URL
저도 반성하는 의미로 이 책을 생각했어요. 저는 요즘 환자들을 보면서도 아이스크림을 주로 먹;;; 음식에도 진심을 다해야 한다는 말씀 넘 좋아요!! 계속 노력하다 보면 그렇게 되겠죠??^^

바람돌이 2022-11-09 21:3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알랭 드 보통의 책 한국어판 표지도 좀 아니고, 제목 번역도 좀 아닌듯요. 그냥 원제 그대로 가져오는 것도 괜찮았을듯 하네요. ^^ 식탁에서 세계를 구할 생각은 안하는데 먹는데 저는 진심이라서 먹는것이 인간 행복의 반 이상이라는 생각은 늘 합니다. 그래서 남편을 부리기 위해 항상 그의 입을 신경쓰는 사람이 접니다. ㅎㅎ 입만 신경써주면 나머지 모든 가사노동을 자동로봇처럼 수행하는 남편만들기요. ㅎㅎ

라로 2022-11-10 10:09   좋아요 0 | URL
그죠그죠!!!(바람돌이님이 동의해 주시니 완전 신났음.ㅋㅋ) 원제 좋죠? 저 역시 먹는 것엔 진심인데 아이스크림에 대한 유혹과 케이크,,, 그 것들은 왜 거부할 수가 없기는 커녕, 쟁이고 먹는 것인지... 그런 비결이!!! 두둥~~~~. 남편의 입을 보살펴라!!! 이거 완전 신혼 주부에게 줄 수 있는 최고의 팁 아닐까요??? 입만 신경써주면 나머지 모든 가사노동을 자동로봇처럼 수행하는 남편만들기!!!^^;;; 이거 많은 분들이 읽어야 하는디!!^^

psyche 2022-11-09 22:1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정말 <어떻게 먹을 것인가>보다 원제가 더 좋네요. 어쩐지 <어떻게 먹을 것인가>라고 하면 지루할 거 같은 느낌이.....
저는 먹는데 진심이긴 하지만 몸에 좋은, 건강한 음식을 먹지는 않는 거 같아요. ㅜㅜ

라로 2022-11-10 10:10   좋아요 0 | URL
그죠!! 제목과 표지가 5할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라 그런지 좀 실망했어요,, 그래도 저 지은이의 사진은 믿음이 가 보이시긴 해요.^^;; 프님은 그래도 남편분이 손수 많은 음식을 하시잖아요!! 부러워요!!!

레삭매냐 2022-11-10 09:2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만고불변의 진리이지요.

고저 먹을 게 쵝오다!
안 먹고 사는 사람은 없으니깐요.

이번에 광산에 갇히셨다가 생환
하신 분들도 커피믹스랑 물을
아껴 드셔서 돌아오실 수 있었
다고 하더라구요.

말씀해 주신 대로 책의 원제가
훨씬 더 와 닿네요.

라로 2022-11-10 10:12   좋아요 1 | URL
고저 먹을 것이 최고!!ㅎㅎㅎ

아! 정말 두려우셨겠어요!!
휴~~~ 그런 경험을 하신 분들은
앞으로 다른 인생을 사실 것 같아요.

두 책 모두 원제가 훨 낫죠!
번역이 가끔 깎아먹는 경우가 있어요..

얄라알라 2022-11-10 10:4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간만에 알라딘에 들어왔는데, 라로님의 이 글이 로그인 페이지에서 바로 보이네요^^ 무슨 기능인지는 모르지만 신기해요.


먹을 때마다 세상을 구하고자 하는 이들 ㅋㅋ빵 터지셨다는 라로님, 저도 마찬가지네요. 먹으면서 우선 저부터 생각하는데요^^

라로 2022-11-10 12:37   좋아요 0 | URL
방가방가 얄님!!!^^
무슨 말인지 모르지만 신기한 것 같아요, 저는 안 보였거든요.^^
먹을 때마다 세상을 구하고자 하는 것 너무 피곤할 것 같아요. 저는 그냥 얌전히 저만 구하는 것으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