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가장 최근에 작곡한 작업은 연극 <밤으로의 긴 여로>를 위한 무대음악이다.
작품이 가진 유머러스하면서도 무게감 있는 '비감(悲感)'의 강도에 호응하기 위해서나, 또는 연극 작업에 으레 따르게 되는 여러 '실무적'인 문제들을 헤쳐가기 위해서나, 내게는 무척이나 지난한 작업 과정이었지만, 어쨌든 결과적으로는 내 스스로도 상당히 마음에 드는 음악이 나왔다. 살인적인 스케쥴 속에서 그 과정은 무척 힘들었지만, 배우들의 호연에 힘을 실어줄 수 있는 음악을 만들었다는 생각에 마음은 기쁘다.
연출가 임영웅 선생과 함께 하는 작품은 이번으로 세 번째이다. 유진 오닐의 이 희곡은 책으로만 몇 번 읽어봤을 뿐 실제 관극의 경험은 한 번도 없었는데, 이번 작업을 계기로 개인적으로도 이 연극에 더 가깝게 다가가게 된 느낌이다.
얼마 전 명동예술극장이 새로 개관하고 나서 그곳에서 한 번 작업하고픈 욕망이 있었는데, 생각보다 기회가 빨리 와서 또한 개인적으로 소중한 경험이었다. 극장의 시스템은 만족스러운 수준이다. 레퍼토리 선정에 있어서 너무 '고전'에 치중하고 있다는 인상과 지적이 있는데, 이러한 '편중'은 향후 명동에 터를 둔 이 극장의 연혁이 다시금 새롭게 쌓여감에 따라 다양해지고 풍부해질 것이라 예상하고 기대해본다. <밤으로의 긴 여로> 이후에도 스즈키 타다시 연출의 <시라노 드 벨쥬락>(10월)과 필립 켄 연출의 <세르쥬의 효과>(11월)가 현재 상연이 예정되어 있는 기대작들이다.
연극 <밤으로의 긴 여로>:
명동예술극장에서 9월 18일(금)부터 10월 11일(일)까지 상연된다.
(화, 목, 금: 7시 30분 / 수, 토, 일: 3시 / 월요일과 10월 2~3일 공연 없음)
손숙, 김명수, 최광일, 김석훈, 서은경이 출연하여
15분의 휴식시간을 포함, 3시간 동안 공연한다.
하여 관극(觀劇)과 일람(一覽)을 권해본다.
ㅡ 襤魂, 合掌하여 올림.
서지 검색을 위한 알라딘 이미지 모음: